
흥선대원군의 통상수교거부정책을 한·미 FTA와 비교해보고, 우리나라 국호가 대한제국에서 대한민국으로 바뀐 이유를 탐구해 보는 역사수업이라면, 재미없고 지루하다는 편견이 싹 날라 가지 않을까. ‘우당 청소년 토요역사교실’에서 역사 수업으로 교육기부를 실천하고 있는 서울 양정고 이두형(52·사진) 교사는 이렇게 운을 띄웠다.
“역사를 ‘외우는 과목’으로 생각하고 시험을 위해서만 공부하는 많은 학생들에게 다른 강의를 접할 기회를 제공하고 싶었다”는 이 교사는 “우리역사교육연구회 회원들과 2년간 준비해온 프로그램을 현실화 시킬 수 있는 기회를 준 우당역사교실에 감사하다”고 말했다.
이 교사는 “처음에는 일반 학교수업과 비슷할 것이라 생각했던 학생들도 이제 독도, 동북공정 등에 대한 특강을 따로 열어달라는 요청을 할 정도로 열의 높게 수업에 참여하고 있다”며 “‘진도’에 맞춰가는 수업에서 포인트를 바꾼 것이 비결”이라고 설명했다.
이 교사는 “우리나라 역사교육의 가장 큰 문제는 ‘식민사관’에 젖어 암울하고 부정적인 측면만 강조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우리 역사에도 멋지고 긍정적인 면이 많다”며 “역사 속 우리 민족이 대처했던 상황과 ‘나는 어떻게 행동했을까’를 생각하게하면 자연스럽게 시야를 넓힐 수 있다”고도 덧붙였다.
‘우당역사교실’은 우당기념사업회와 우리역사교육연구회가 공동 주관하는 프로그램으로 총 12차시로 구성되며 3차시의 현장답사가 포함돼 있다. 3월 시작된 1기에는 38명의 학생이 수강했으며, 수업과정 중 소논문 공모전도 열어 서울 중산고 박진우 학생이 ‘독립운동가 우당을 통해 얻은 마음가짐’으로 최우수상을 받기도 했다. 오는 12일부터는 4주 일정으로 2기 역사교실이 운영되며, 수강료는 무료다. 문의=우당기념관 홈페이지(www.woodang.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