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5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선생님 기자단> 읽기가 안 된다? 그럼 ‘들려주자'

NIE(신문활용수업)시간에 ‘석유자원 고갈에 대비할 수 있는 방법을 쓰세요’라는 물음에 대부분 학생들은 ‘대체에너지 개발’이라는 답을 썼다. 틀린 답은 아니다. 허나 서술형 평가에서는 높은 점수를 기대하기 어렵다. 알맹이가 없는 맹탕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바로 읽기 부재에서 오는 결과다.

언어영역 문제를 풀 때도 마찬가지다. ‘다음 지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라고 명시가 되어 있지만, 요즘 아이들은 객관식에 너무 젖어 있는데다가 읽는 게 습관화되어 있지 않아서 문제를 먼저 읽고 지문을 읽으니 문장전체의 내용을 파악하기보다 일부 단어에 꽂혀 그 이상을 벗어나지 못하고 답을 쓰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수능이 쉬워지면서 우수 학생을 선발하기 쉽지 않은 게 요즘 대학들의 고민이다. 그래서 등장한 게 논술과 입학사정관전형이다. 둘은 생각을 글로 쓰느냐 말로 하느냐의 차이만 있을 뿐, 모두 고도의 사고력을 테스트 하는 것이기 때문에 읽기가 부족하면 어렵기 마련이다.

읽기는 어려서부터 습관이 되어 있어야 한다. 글을 깨우치지 않은 아이에게 책을 읽어주는 것부터 시작돼야 한다. 미국 대학수학능력시험과 대학입학시험에서 만점을 받고 전미 최고의 고교생으로 선정된 ‘공부는 내 인생에 대한 예의다’의 저자 이형진은 어머니가 준 최고의 선물로 ‘독서습관’을 꼽았다. 그의 어머니는 방안 곳곳에 책 바구니를 놓아두고 아이가 놀다가 책을 잡으면 득달같이 달려와 책을 읽어주고, 조용히 듣고 나면 맛있는 간식을 주며 재미있게 놀아주었다. 그는 그때부터 ‘책은 곧 재미있고, 즐거운 것’이라는 공식이 몸에 배었다고 한다.

EBS 다큐 ‘학교란 무엇인가?’의 자문을 맡았던 데이비드 피어슨 버클리대 교수는 “아이들에게 책을 큰 소리로 읽어주는 것은 아이들이 책에 흥미를 갖고 언어나 어휘를 배울 기회를 준다. 특히 언어에 대한 경험과 지식을 확장 시켜주는 데 도움이 된다”고 했다.

말맛이 살아있는 이야기는 듣기의 세계로 이끌어 주는 멋진 초대장인 동시에, 상상력을 길러주며 사고의 경험을 풍부하게 해준다. 자신이 읽은 책에 대한 이해가 넓을수록 듣기와 말하기의 폭이 넓어지며 읽기와 쓰기가 자란다. 우선 들려주기부터 시작하자.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고 하지 않던가?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