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6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시론> 사라진 정신, 사라진 바른말 - '학생의 날'에 부쳐

지난 3일은 '학생의 날'이었다. 이 날은 1929년 11월 3일에 일어난 광주학생운동의 숭고한 정신을 기려 학생들의 자율역량과 애국심을 함양시키기 위해 제정된 기념일이다. 그 날로부터 82년이 흘렀다. 사람 사는 세상의 생활수준과 방법이 많이 달라졌고 학교 현장과 학생들의 모습 역시 많이 바뀌었다. 그런데 그 바뀐 모습이 그리 긍정적이지만은 않은 것 같다.

생활모습이 아무리 달라져도 달라지지 않는 것이 있으니 바로 좋은 사람의 기준이다. 다시 말하면 세태의 변화에 관계없이 좋은 사람은 바른 말을 쓰는 사람, 예쁜 말을 쓰는 사람, 예절 갖춘 말을 쓰는 사람인 것이다. 그런데 최근 들어 우리나라 학생들의 언어 사용 실태의 문제점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한국교육개발원의 연구에 의하면 초등학교 저학년은 22.1%, 5, 6학년은 80% 가까이 욕을 사용하며, 하루 종일 욕을 하는 학생도 65.6%나 된단다. 여성가족부가 중·고등학생까지 합해 실시한 조사에서는 73.4%로 더욱 높아진다. 여학생도 가끔씩 욕을 하는 36.4%를 합하면 62% 이상이 일상으로 욕을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비교적 품성이 착하다거나 공부를 잘한다는 학생도 습관적으로 욕설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우리나라 초·중·고생들이 욕을 많이 사용하는 것은 지나친 경쟁구도의 학교생활과 입시위주의 교육에서 기인한 이상심리가 주원인일 수 있다. 여과되지 않은 언어와 문장이 난무하는 인터넷, 영화, TV 등 대중매체나 잡지, 만화 등도 욕설의 통로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도 확실하다. 욕을 하는 자녀를 따끔하게 꾸짖지 않는 부모나 언어생활 지도를 적극적으로 하지 않는 학교 선생님과 어른들의 무감각도 큰 문제다.

욕설은 듣는 사람을 자극해 인간관계를 해치며, 자신의 인성발달에도 악영향을 미쳐 정상적인 사회인으로 성장하는 것을 방해한다. 욕설이 일상어가 되어버린 학생들을 이대로 두어서는 안 된다. 이 나라의 청소년 학생들이 욕설 아닌 품위 있는 말을 주고받으며 건전한 인격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특단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이를 위해 우선, 부모들은 평소에 자녀들과 따뜻한 대화를 나누는 시간을 보다 많이 가져야 한다. 부모와 자녀 사이의 온정적인 대화는 자녀들이 학원·과외를 통해 배우는 것 이상으로 그들의 행복을 더 보장해주는 인격형성의 기회가 된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둘째, 학교에서 학생들이 욕설 없는 밝은 문화에 젖도록 언어순화를 통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전개해야 한다. 한국교육개발원의 조사에 의하면 국민들은 초․중학교에서 지금보다 더 중시해야 할 교육내용으로 인성교육을 1순위로 꼽았다. 지금 같은 언어생활 분위기를 방치한 상태에서는 그 어떤 인성교육도 성공하기 어려울 것이다. 말은 사람의 인성을 표출해주는 기준이기 때문이다. 욕 안하기 캠페인, 욕설에 대한 뜻 설명, 욕 안하기 글짓기와 웅변대회, 바른말 사용 학생 칭찬과 표창 같은 행사는 욕설풍토를 개선하는데 큰 효과가 있을 것이다.

셋째, 대중매체에서 사용하는 언어 수준을 반드시 개선해야 한다. 특히 인터넷, TV, 영화, 라디오 등의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욕설, 비속어, 은어, 약어 등에 대한 특단의 조치가 시급히 요청된다.

욕설풍토 개선을 위한 이상 3가지 방안은 청소년 학생 언어 모델의 3대축에 해당하는 가정, 학교, 사회를 망라한 방안이다. 어찌 보면 가장 평범하고 상식적인 것 같지만 그 실행은 결코 쉽지 않다. 전 국민, 전 사회가 일심으로 협조 노력해야만 효과를 볼 수 있는 성격의 일이기 때문이다.

우리말 우리글마저 빼앗긴 일제 강점기에 어른 이상으로 조국과 민족을 위해서 의연하게 행동했던 우리 선조들의 언행과 기상을 가르쳐 풍파 속에서 지켜낸 우리말 우리글을 바르고 격조 높게 사용하도록 지도해야 할 책무가 깊게 느껴지는 11월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