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2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월요논단> '생명지킴이 교육'에 학교가 앞장서자

최근 우리나라의 미래를 짊어지고 나가야할 10대 청소년들의 자살이 급증하고 있어 우리의 마음을 안타깝게 하고 있다. 통계청 자료(2011)에 의하면 자살은 10대 청소년들의 사망원인 1위(32%)이다. 지난 한 해 동안만 청소년 353명이 자살로 사망했다. 매일 한명 꼴로 자살한 것이다. 자살시도자는 자살자의 10~20배이고, 자살로 인해 심각한 상처를 받는 사람은 평균 6명 이상이라는 연구결과는 청소년 자살문제의 심각성을 보여준다.

청소년 자살이 이렇게 많은 이유는 우리 청소년들이 처한 환경이 건강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물질만능주의와 생명경시의 사회적 풍조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고, 경제적 어려움과 입시위주의 경쟁적 교육풍토, 가정불화와 학교폭력 등 스트레스 상황에 대한 청소년들의 면역력이 저하되어 있다.

청소년 자살문제에 대한 국가와 사회의 대책이 소극적이고 자살문제를 개인의 문제로 바라보는 시각과 자살이라는 말을 언급하기 싫어하는 사회문화적 분위기 탓도 있다. 그렇다보니 대부분의 청소년을 교육하고 있는 학교에서 자살문제에 대해 무방비한 상태이다.

따라서 필자는 청소년 자살예방을 위한 학교의 역할에 대해 몇 가지 제언을 해보고자 한다. 먼저 자살을 개인의 문제로 보지 않고 ‘사회적 문제로 보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자살한 청소년의 가족들은 죽음을 막지 못했다는 죄책감으로 평생 고통을 감수해야 하며, 친구들과 주위 사람들은 정신적 충격으로 자살하고 싶은 충동을 갖게 되기도 한다. 그리고 자살한 청소년이 다녔던 학교와 지역 공동체에는 불안한 분위기가 확산된다.

다음으로 학교는 자살을 예방하기 위한 적절한 대책을 마련하고 자살예방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학부모, 지역사회 관계자, 학교구성원들로 하여금 청소년들이 보내는 자살 경고 신호를 신속히 인식하고 도움을 주거나 자살문제 상담전문가에게 의뢰하는 등 효율적인 대처를 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생명지킴이 교육’ 필요하다.

‘생명존중 교육'과 '삶의 의미 교육'도 필요하다. 우리의 생명은 세상의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귀한 것이기에 자신과 타인의 생명을 함부로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가르쳐야 한다. 그리고 자신의 생명은 자신만의 것이 아니라 사랑하는 가족과 친구, 이웃들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혼자 마음대로 선택할 수 없다는 것도 알려주어야 한다. 무엇보다 우리는 모두 한 번의 삶을 살 수밖에 없기 때문에 나머지 삶을 소중히 여기고 감사하면서 살아가야 한다는 것, 그리고 의미 있게 삶을 살아가는 것이 무엇인지 알 수 있게 교육해야 할 것이다.

삶의 곤경을 해결해 나가는 방법에 대해서도 가르칠 필요가 있다. 최근 우리 청소년들은 너무 유약해져 있어 인간관계에 문제가 발생하면 극단적으로 해결하려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어려움이 있을 때 고립되지 않고 다른 친구나 선생님 그리고 전문기관에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도움 찾기 프로그램(help-seeking program)'이 필요하다. 우리 주변에는 청소년을 위해 도움을 줄 수 있는 기관이 있다. 정규 교육과정에 이러한 기관을 방문해서 실제로 도움을 받는 경험을 시켜줄 필요가 있다. 이런 훈련을 통해 자기가 어려운 문제에 직면했을 때 혼자 절망 속에서 좌절하지 않고 도움 받을 수 있는 사람이나 기관을 찾을 수 있게 될 것이다.

끝으로 학교는 자살행동에 대한 ‘사후관리 매뉴얼’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일관성 있는 대응지침이 없으면 소문만 무성해지고 학교공동체가 혼란에 빠지게 된다. 따라서 학교에 위기대응팀을 구성해서 지역사회와 언론에 일관된 대응을 하고, 심각한 충격과 상처를 받은 교사, 학부모, 학생, 특히 자살한 학생이 있는 학급에 대한 적절한 사후관리를 통해서 학교공동체가 정상으로 회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