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8 (금)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실창가에서> “나도 교포교사입니다”

며칠 전 존경하는 한 선생님이 충고를 하셨다.
“장 선생님은 아직 10년 이상 남았으니 점수를 따서 승진을 하시지 그래요? 충분히 잘 하실 텐데요.”

“아닙니다. 이것저것 생각하지 않고 내 힘으로 도전한 전문직 시험에 떨어진 걸 보니 제가 갈 길이 아닌 것 같습니다. 아직도 저는 승진이 매력적으로 보이지 않습니다. 언제든지 아이들이 덜 예뻐 보이거나 교실에 들어가는 게 행복하지 않으면 미련 없이 물러설 생각입니다.”

그 분은 세칭, ‘교포교사’이다. 강직한 성품에 너무 반듯해서 융통성이 없다는 평을 듣기도 한다. 딸보다 더 어린 신규 선생님들에게도 깍듯이 존칭을 쓰고 수업이나 맡은 업무도 깔끔하게 처리해 교사의 잣대로서 손색이 없는 분이다.

그렇지만 그분의 얼굴에서 언뜻언뜻 보이는 교직에 대한 회한을 읽을 때마다 서글픔이 전해져오곤 한다. 눈에 보이게 적은 머리숱은 무명교사로 살아온 아름다운 훈장임에도 불구하고 나이 든 교사로 홀대를 받거나 뒷전에 밀리는 듯한 인상을 받게 하는 교단의 현실은 나를 한숨짓게 한다.

어떤 이유에서건 승진의 대열에서 비껴선 선생님들을 바라보는 시선은 교단에서 더욱 차갑지 않은지 되돌아보았으면 한다. 나 역시 승진 자체에 뜻을 두지 않고 20여년을 지냈다. 그러다가 몇 년 전 후배교사에게 받은 마음의 상처 때문에 무명교사로 살겠노라는 소신을 접고 지난 3년 동안 방학 때마다 전문직 시험을 준비했다. 그러나 도전 의지가 순수하지 못했던지, 실력이 부족해서였던지 이제는 나이 제한에 걸려 도전해 볼 기회조차 없다.

나는 1학년 담임이지만 주당 25시간의 수업과 고학년을 위한 계발 활동지도, 주당 3시간의 방과후학교 지도, 교육혁신 업무와 도서, 홍보 업무 등으로 근무 시간 안에는 우리 반 아이들의 보충지도 시간을 내기도 부족하다. 더구나 1학년 아이들에게 1시간 꼬박 식사지도를 해야 하니 점심마저 편히 먹지 못한다.
그러나 교실에 들어가면 나는 아직도 1학년 20명의 작은 천사들의 맑은 눈을 들여다보며 가르치는 즐거움에 취해 살아간다. 50이 넘은 나에게 다가와 “선생님이 우리 엄마였으면 좋겠다”, “집에 가서도 선생님이 보고 싶다”고 하니 이렇게 행복한 고백을 듣는 설렘을 어디에 비할까.

존경하는 선배 선생님이 자신처럼 평교사로 살아가겠다는 것이 얼마나 오만한 결정이었는지, 교단에서 받는 상처와 아픔을 이기기에는 참으로 많은 용기가 필요하고 잠을 못 이루는 시간도 많다는 토로를 하실 때, 나는 미어지는 가슴을 추스르기 힘들었다. 한 가족을 책임진 가장이니 섣불리 퇴직할 수도 없다는 말씀에는 인생의 비애마저 담겨 있었다. 코흘리개 아이들과 반 평생을 살아온 선배 선생님의 회한이 그분이 교직에서 얻은 보람에 비하면 아무 것도 아니기를 비는 마음이 간절하다.

지혜와 철학이 깃든 인생의 선배들을, 그분들의 소중한 경험들을 인정해주는 아름다운 대물림이 사회 전반에 뿌리내리기를 빌어본다. 무한 경쟁과 속도에 밀려 큰 나무를 지탱해주는 눈에 보이지 않는 뿌리를 함부로 대하고 잘라내는 잘못을 범하지 않기를 바란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