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추세로 초등학생 수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대학, 대학 등 고등교육기관 취업률은 대학들의 취업여부 미확인자 비율이 낮아지면서 2004년도에 비해 7.3% 포인트 상승한 74.1%로 높아졌다.
교육인적자원부는 8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05년도 교육통계연보(2005년 4월1일 기준)를 발간했다. 다음은 통계연보의 주요 교육통계 현황.
◇ 초등생 급감, 중ㆍ고생은 늘어 = 최근 3년 간 학생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전체 학생 수는 2003년 1천195만1천298명에서 2004년 1천193만9천343명, 2005년 1천193만4천863명으로 감소했다.
특히 저출산 영향으로 초등학생의 감소가 두드러졌다.
초등학생 수는 2004년보다 9만3천394명이나 줄어 402만200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역대 최대 수준인 1970년 574만9천301명과 비교하면 70%에 불과한 것이다.
이 같은 추세로 보면 2010년에는 현재보다 약 67만여명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학생 수는 201만704명으로 전년도보다 7만7천여명, 고등학생은 176만2천896명으로 1만6천여명 증가했다.
이런 추세를 보면 2010년 중학생은 201만3천여명으로 지금과 큰 차이가 없지만 고등학생은 200만9천여명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전문대학 학생 수는 2004년보다 4만여명이나 대폭 줄었다.
◇ 학급당 학생수 감소 = 교원 1인당 학생 수 및 학급당 학생 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초등학교 교원 1인당 학생 수는 2004년 26.2명에서 2005년 25.1명으로 줄었고 학급당 학생수는 2004년 32.9명에서 31.8명으로 줄었다.
교원 수도 지속적으로 늘어 초등학교 교원은 2천736명, 중학교 교원은 2천116명이 증가했다.
전체 교원수는 전년대비 8천968명 증가한 48만4천612명으로 나타났다.
여자 교원이 계속 늘어 유치원의 경우 여교사 비율이 98.3%에 달한 반면 대학은 16.2%에 불과했다.
초등학교 여자 교원 비율은 1970년 29.1%에서 1990년에 50%를 넘었다가 2005년에는 71%로 올랐다.
학교 수는 전년도보다 205개 늘어난 1만9천586개이며, 이 가운데 초등학교는 전년도보다 105개 늘어난 5천646개로 집계됐다.
◇ 취업률ㆍ취학률 = 전문대, 대학 등 고등교육기관 졸업자의 취업률은 74.1%로 전년대비 7.3% 포인트 높아졌다.
일반계 고교의 취업률은 12.1%, 실업계 고교의 취업률은 86.3%, 전문대학 취업률은 83.7%, 대학 취업률은 65%였다.
전문대의 취업률은 77.2%에서 83.7%로, 대학 취업률은 56.4%로 65%로 각각 올랐다.
전문대 취업률은 비수도권 소재 대학이 86.9%로 수도권 소재 대학의 78.9% 보다 높았고 대학 취업률은 수도권 소재 대학이 69.4%로 비수도권 소재 대학의 62.2% 보다 높았다.
취업률이 상승한 것은 대학정보공시제 추진과 대학 재정 지원사업 등에서 취업률 등의 지표가 활용되면서 대학들이 취업 지원이나 취업 조사에 관심을 기울여 취업여부 미확인자 비율이 감소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상급학교 진학률은 초등→중학교와 중→고교가 99.9%, 99.7%로 완전 진학률 수준에 올랐고 고교→대학ㆍ전문대는 82.1%로 전년 대비 0.8% 포인트 증가했다.
실업계 고교 졸업자의 진학률은 67.6%로 전년대비 5.3% 포인트 높아져 실업고가 취업보다 진학 준비기관으로 바뀌고 있음을 보여줬다.
질병이나 가사 등의 사유에 의한 제적이나 중퇴, 휴학자 등 학업 중단률은 중학교가 0.7%, 일반계 고교가 0.8%, 실업계 고교가 2.8%로 소폭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