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의 논술고사 가이드라인에 따라 성균관대는 7일 2006학년도 수시2학기부터 시행되는 논술고사의 기본방향 및 문제유형을 공개했다.
인문계는 제시문을 통계ㆍ그림ㆍ도표와 관련해 요약, 해석한 뒤 자신의 견해를 제시하는 형태와 제시문에 나타난 내용을 바탕으로 자신의 관점을 제시하는 형태 가운데 하나로 출제된다.
제시문은 동서양 고전, 고교 교과서, 신문, 잡지, 논문 등 다양한 소재를 활용하게 되며, 주어진 제시문의 논리적 구조에 대한 이해력과 이를 관련자료를 통해 분석할 수 있는 능력 등이 평가대상이다.
단답형이나 선다형 문제, 특정 교과의 암기지식을 묻는 문제, 외국어로 된 제시문의 번역이나 해석을 필요로 하는 문제는 지양한다.
자연계는 다양하게 주어진 정보하에서 최선의 가설을 직접 설계하고, 이를 검증할 방법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논리적이고 설득력있게 전달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대학이 내놓은 예시문제를 보면 공룡의 멸종에 대한 소개문과 함께 핵겨울, 돌연변이, 지구온난화, 환경오염, 생명 외계기원설, 먹이사슬 등 12개의 다양한 제시문을 제공하고 이 가운데 일부를 선택해 공룡 멸종의 원인에 대한 가설을 직접 세워 논술하도록 했다.
주어진 문제에 대해 추론 가능한 여러가지 가설 가운데 최선의 가설이 무엇인지 수험생 스스로 판단하고 이를 설득하기 위한 논거를 스스로 구성하는 능력을 평가하겠다는 것이다.
현선해 입학처장은 "현행 논술은 유형화돼 있어서 문제를 보면 곧바로 답을 써내려가도록 연습돼 있어 논술의 취지에 어긋난다. 그러나 새로운 논술에서는 문제를 이해하고 분류하고 설계하는 데 1시간 이상 할애해야 할 정도로 고민이 필요한 문제를 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대학은 이날 공개한 새로운 유형의 논술고사에 대해 일선 고교에서 충분히 검토할 수 있도록 예시문을 인터넷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고교 교사들의 의견도 수렴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