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내 초등학교 교실 천장에서 발암물질인 석면이 다량 검출돼 정부 차원의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머리카락 굵기의 5000분의 1이 안되는 미세한 석면 먼지는 극미량이라도 폐 속에 들어가면 잠복기를 거쳐 폐암을 유발하는 발암물질이다.
한국석면환경협회와 부정부패추방시민연합회는 12일과 16일 이틀간 서울시 교육청 협조를 받아 강남북 소재 8개 초등학교 교실에서 천장 마감재를 채취, 서울대 보건대학원 산업보건학교실에 맡겨 석면 함유여부를 분석한 결과 이들 학교에서 모두 석면이 검출됐다고 19일 밝혔다.
그동안 지하철, 공항 등 다중이용시설의 건축자재에서 석면이 확인된 사례는 있었지만 학교 교실에서 석면이 확인되기는 처음이어서 전반적인 조사와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서울대 보건대학원 분석 결과 강남구 도곡동, 강북구 수유동 등에 있는 7개 초등학교 교실에서 모두 3~5%의 백석면이 검출됐고 강남구 역삼동 모 초등학교에서는 5~8%의 백석면이 나왔다. 강한 발암물질인 석면에 대해 대부분 선진국에서는 강력히 규제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가루 상태가 아니면 석면 먼지를 일으키지 않는다는 이유로 건축자재 등에 함유돼 있는 고형화된 석면에 대해서는 별다른 규제를 하지 않고 있다.
조사에 참여한 석면환경협회 관계자는 "방문한 교실들의 천장재 대부분이 오래 돼 낡은데다 더러는 깨진 채 방치돼 있는 곳도 있었다"며 "교실 문을 세게 닫는 정도의 충격에도 얼마든지 어린이들의 머리 위로 석면 먼지가 떨어져 내릴 수 있는 상황이었다"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전국 상당수 초등학교 교실의 상황도 이와 비슷할 것이라며 어린이들을 석면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는 전면적인 실태조사를 벌인 뒤 조사결과를 토대로 정부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