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로 떠난 학생을 다시 농촌으로 돌아오게 한다'며 3년간 수백억원을 투입한 경기도교육청의 '돌아오는 농촌학교 만들기 사업'이 실상은 학군을 조정, 인근 학교 학생을 전학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연천교육청과 가평교육청은 연천 노곡초교, 은대초교, 가평 마장초교 등 지난 2003년부터 '돌아오는 농촌학교'로 지정된 소규모 학교가 학교마다 6억 7천만원의 예산을 지원받아 특성화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한 결과 평균 30% 이상 학생수가 늘었다고 19일 밝혔다.
그러나 이들 학교의 학생수 증가는 도시 학생들이 농촌학교를 다시 찾은 것이 아니라 통학구역 조정으로 인근 농촌지역 학생들이 전입학한 결과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전교생 90명에서 131명으로 늘어난 연천 은대초등학교는 3km 떨어진 전곡초교 학구인 전곡읍 은대2리, 은대3리가 공동학구로 조정돼 이곳 학생들이 신규 시설투자가 이뤄진 은대초교로 전입학하면서 학생수가 증가했다.
지난해 학생수 65명에서 93명으로 28명(43%)이 증가한 노곡초교 역시 농촌지역인 파주 적성과 연천에서 전입학을 해왔다.
또 3학급 32명까지 학생수가 감소해 폐교 직전까지 몰렸다 올해 7학급 189명으로 증가한 가평 마장초교는 같은 읍내에 위치한 가평초교와 공동학구로 조정돼 전입학생을 받아들인 덕택에 학생수가 늘었다.
당초 경기도교육청은 6학급 이하 소규모 농촌학교에 원어민 교사 배치, 통학버스 지원, 골프교실 설치 등 도시 못지 않은 교육여건을 조성해 도시 학생들을 유치, 농촌학교를 되살리겠다고 했지만 실상은 인근 학교에서 농촌학생들을 전학시켜 학생수만 늘린 꼴이 됐다.
이에 대해 연천교육청 관계자는 "좋은 교육여건을 만들었다고 도시학생이 농촌으로 전학을 해오는 경우는 아직 보지 못했다"며 "돌아오는 농촌학교로 지정된 다른 지역의 학교들도 사정은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경기도교육청은 지난 2003년부터 소규모 초등학교 활성화 방안으로 6학급 이하 초등학교 50개교를 '돌아오는 농촌학교'로 지정, 년간 100억원 가량의 예산을 지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