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17 (월)

  • 맑음동두천 1.2℃
  • 맑음강릉 6.8℃
  • 맑음서울 3.0℃
  • 구름조금대전 3.5℃
  • 구름많음대구 7.5℃
  • 흐림울산 8.3℃
  • 흐림광주 6.3℃
  • 흐림부산 9.5℃
  • 흐림고창 6.3℃
  • 흐림제주 10.4℃
  • 구름조금강화 2.0℃
  • 맑음보은 2.6℃
  • 맑음금산 4.0℃
  • 흐림강진군 7.2℃
  • 구름많음경주시 8.0℃
  • 흐림거제 9.9℃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

소득 최상.하위 계층간 사교육비 8배로 확대

최상위, 이미용.장신구 등 기타소비지출 비중 최고 최하위, 식료품 지출 비중 가장 커

소득 최상위 계층의 사교육비가 최하위 계층의 8배에 달해 계층 간 사교육비 격차가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최상위 계층은 전체 소비지출에서 이미용, 장신구, 잡비 등 기타소비지출의 비중이 가장 컸지만 최하위 계층은 식료품 비중이 가장 커 부유층은 자신을 가꾸는데, 빈곤층은 식생활에 가장 많은 돈을 각각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통계청의 전국 가구 2.4분기 가계수지 동향에 따르면 소득 최상위 10%에 해당하는 10분위 계층의 월평균 소비지출은 373만6천원으로 최하위 10%인 1분위 계층 88만3천원의 4.2배였다.

이들 계층 간 10개 주요 소비 항목의 지출 격차를 보면 교양.오락 지출이 10분위(25만9천원)가 1분위(3만4천원)의 7.6배에 이르러 가장 컸고 가구.집기.가사용품 7.4배, 교육 6.9배, 피복.신발 6.6배, 기타소비지출 6.4배 등의 순이었다.

특히 교육비 가운데 입시.보습.예체능 학원 등 사교육비 지출을 보여주는 보충교육비는 10분위가 월 평균 29만2천원을 사용, 1분위(3만6천원)의 8.0배에 달했다.

10분위와 1분위의 사교육비 격차는 작년 2.4분기 9.2배를 정점으로 같은해 3.4분기 8.3배, 4.4분기 7.6배, 올 1.4분기 6.3배 등으로 축소되다, 지난 2.4분기에 다시 확대됐다.

이와 함께 이들 계층의 10개 주요 소비 항목의 지출 비중을 살펴보면 10분위는 기타소비지출(82만8천원)이 22.2%로 가장 높았고 식료품(82만원) 22.0%, 교통.통신(62만4천원) 16.7%, 교육 9.3%, 교양.오락 6.9% 등의 순이었다.

이에 비해 1분위는 식료품(25만9천원) 비중이 29.3%로 가장 컸고 교통.통신(17만4천원) 19.7%, 기타소비지출(12만9천원) 14.6%, 광열.수도(6만5천원) 7.4%, 보건.의료(6만5천원) 7.3% 등이 뒤를 이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