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교수들이 연구비 횡령 혐의로 검찰에 구속되거나 조사를 받고 있는 가운데 지방 국립대에서도 연구비 부당사용 의혹이 제기돼 '연구비 비리' 파문이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특히 경우에 따라 검찰이 서울대에 이어 지방 국립대로까지 수사를 확대할 가능성도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국가청렴위원회(옛 부패방지위원회)는 서울대 공대 조모 부교수의 연구비 횡령 의혹이 처음 불거진 지난 4월 말 이후 2개월 동안 K대학, J대학 등 지방국립대 5곳과 정부출연연구기관 1곳의 연구비 집행내역에 관한 기초 실태조사를 벌인 것으로 27일 확인됐다.
청렴위 조사를 받은 지방의 모 국립대 관계자는 "5월 말부터 6월 초까지 한 열흘동안 조사를 받았다"면서 "우리 대학을 포함해 지방의 주요 국립대 5곳과 정부출연연구기관 1곳이 순차적으로 청렴위 조사를 받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국립대 관계자도 "5월 초부터 20여일동안 조사를 받았다"고 확인했다.
청렴위는 실태조사를 통해 일부 지방국립대의 연구비 부당사용 의혹을 찾아 냈으며 조만간 과학기술부 등 연구비 지원 주무 부처에 감사를 공식 의뢰할 것으로 알려졌다.
지방국립대들의 연구비 부당사용 의혹이 어떤 것인지는 구체적으로 드러나지 않았으나 허위 세금계산서를 발급해 연구비를 부당하게 타낸 경우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청렴위 관계자는 "청렴위 차원에서 지방 국립대의 연구비 사용내역에 대한 기초 실태조사를 벌인 것은 사실"이라면서 "하지만 조사대상 대학과 연구비 부당사용 의혹 등 세부 사항에 대해서는 규정상 말할 수 없다"고 말했다.
한편 검찰은 연구비 비리 수사를 서울대에 국한한다는 방침이지만 청렴위 기초 실태조사를 토대로 한 주무 부처의 감사결과에서 중대한 하자가 드러날 경우 수사를 확대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