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시설을 개방해 아이들은 물론 학부모의 평생 배움터로 탈바꿈시킨 학교가 있다. 농촌지역에 속해 전교생이 6학급 93명에 불과한 청주 내곡초등학교(교장 홍문교).
이 학교는 학부모들의 '컴맹' 탈출을 돕기 위해 지난 달 10일 '학부모 컴퓨터 교실'을 개설했다.
컴퓨터실을 개방하고 학교 전산보조원이 강사로 나서 방과후 운영하는 이 컴퓨터 교실에는 16명의 학부모가 참가하고 있다. 인터넷 정보 검색에서부터 윈도 활용, 문서 작성 등 컴퓨터 활용 방법을 배우는 재미가 쏠쏠할 뿐 아니라 자녀들이 다니는 학교에 대한 이해의 폭도 넓히고 자연스럽게 자녀 교육에 대한 의견도 나눌 수 있는 사랑방 역할을 하고 있어 학부모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학교측은 방학기간을 맞아 다음달 8일부터 5일 과정으로 가야금 교실도 열 계획이다. 학교가 보유하고 있는 20대의 가야금을 활용하고 대전시향 가야금 연주자를 강사로 초청해 가야금 기초 과정을 가르치기로 한 것. 이미 14명의 학부모가 참가 신청서를 내는 등 벌써부터 학부모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이 학교는 9월에는 '학부모 풍물반'도 조직해 운영키로 하는 등 학부모들을 상대로 한 평생 교육 프로그램을 계속 확대할 계획이다. 이 학교는 990㎡ 규모의 학교 실습지도 훌륭한 '교육용'으로 활용하고 있다. 학년별로 165㎡씩 무료 분양한 뒤 학생들이 심고 싶은 작물을 심어 농사를 짓도록 했다. 종자는 학교측의 취지에 공감한 학부모들이 댔다.
고추와 오이, 토마토, 옥수수, 고구마 등 온갖 작물이 여름 무더위를 이기며 익어가는 걸 관찰하고 수확하는 재미에 아이들은 방학 때도 교사와 함께 학교에 나와 풀을 뽑고 물을 주는 수고를 마다하지 않는다. 직접 농사 지은 작물을 나눠 먹으면서 땀의 소중함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다고 학생들은 입을 모은다.
이 학교 홍 교장은 "학생들만의 배움터가 아니라 학부모와 교사, 학생들이 함께 어우러져 서로를 이해하고 배우는 평생의 배움터로 학교를 가꾸고 싶어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