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5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

지역대학 부총장제 성과는 '반반'

지역대학들이 전문 경영체제 구축과 대외경쟁력 강화 등을 위해 '부총장제도'를 잇따라 도입하고 있지만 평가는 엇갈리고 있다.

13일 지역대학들에 따르면 우송대는 지난 1일 총장 아래 교학부총장, 대외부총장 등 2명의 부총장을 두는 직제 개편을 단행했다.

이에 따라 교무, 학생, 입시 등 행정전반 사항은 교학부총장이 맡고 국제협력, 산학협력 등의 대외업무는 대외부총장이 전담하게 됐다.

대전대의 경우는 지난 3월 '오너 총장' 부임과 함께 부총장 제도를 부활시켜 교무.학사.입시 등 학내 전반에 관한 사항을 조율토록 하고있다.

앞서 지난해 7월에는 건양대가 설립초기 도입했던 의무, 교무부총장제를 폐지하고 부총장 제도를 신설, 외부 행정전문가를 영입했고 한남대는 이미 10여년전부터 부총장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2년제 전문대학도 잇따라 부학장제도를 도입했는 데 혜천대의 경우 2003년 부학장을 뒀고 대덕대도 2003년부터 부학장이 입학홍보 업무 등을 담당하고 있다.

또 같은 학교법인 아래있는 우송공업대학과 우송정보대학은 2003년부터 1인 부학장을 기획부학장과 학사부학장으로 분리, 업무를 분산시켰다.

우송대 관계자는 "외국인 학생 유치 등 국제협력 업무의 비중이 커짐에 따라 2명의 부총장제도를 도입, 업무의 전문성과 효율성을 꾀했다"며 "대외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대전대 등 대부분의 대학 부총장.부학장들이 전결권이 없는 데다 총장과의 업무 분장도 뚜렷하지 않아 오히려 업무 효율성을 해치고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 목원대는 2002년 도입했던 부총장 제도를 효율성 등의 이유로 2년만에 폐지하기도 했다.

특히 건양대의 경우는 부총장이 지난 4월 국회의원 보궐선거에 후보로 나서는 등 '위인설관'식 제도가 아니냐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지역대학 한 관계자는 "부총장이 특정분야 업무를 관장하더라도 결국 총장이 최종 결제를 해야하기 때문에 자칫 '옥상옥'이 될 가능성이 크다"며 "실질적인 업무 분담과 전문화를 위해서는 업무분장과 책임경영제 도입, 외부전문가 영입 등이 뒤따라야한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