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교육선진화특위(위원장 임태희) 소속 의원들이 당의 교육정책을 설명하고 현장의 의견을 청취하는 토론회가 12일 강원도교육청에서 열렸다.
이 자리에서는 2008학년도 대학입시와 고교평준화,교원평가제,지방교육자치법 개선안 등 여러 교육현안에 대한 교육 관계자들의 다양한 의견들이 쏟아졌다.
춘천여고 학부모 염용숙 씨는 "지금 고1 학부모들 사이에서는 우왕좌왕하는 대입제도에 대한 원성이 대단하다"며 "적응할만하면 바뀌는 대입제도에 대해 뭔가 대책이 필요하지 않느냐"고 성토했다.
염씨는 또 "한나라당이 2012년부터 대입 자율화를 추진한다고 했는데 그 이전에 대학에 입학하는 학생들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대책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인섭 도의원은 "교육정책을 비롯한 대부분의 정책이 지방의 시각이 담기지 않은 중앙의 입장이었다"며 "낙후된 농어촌 등 지역적 특성을 고려해 교육정책을 입안할 때 보다 지방의 시각에서 바라봐줬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강원도학교운영위원장연합회 이종용 부회장은 "입시안을 둘러싼 논란을 보면 교육정책에 있어서는 정부가 표방하는 분권.자율과는 반대로 가는 것 같다"며 "교원평가제에 대해서도 학부모의 대다수가 찬성했음에도 정부는 예민한 부분을 피해가려 는 인상을 받았다"고 비판했다.
후평초등학교 지희천 운영위원장은 "어떤 환경에서나 개인차가 있고 이러한 차이가 반영돼야 교육에 희망이 있다"며 "획일적인 평준화보다는 능력에 맞는 선택이 보장돼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김순렬 교육위원회 의장 등은 "교육자치를 일반자치에 통합하는 지방교육자치법 개정안은 교육의 자주성, 정치적 중립성 등을 훼손해 교육이 정치에 휘말릴 위험성이 있다"고 우려를 표시했다.
한나라당 이주호 의원은 "한나라당은 학교간,학생간 차이를 인정해 낙후된 학교를 끌어올리고 풀어줘야할 학교는 규제에 묶지 않는 상향평준화로 나아갈 방침"이라며 "교육정보 공개, 교육격차 해소 등 추진중인 5대 교육입법을 통해 수월성 제고와 공교육 확립이라는 두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나라당은 강원도를 비롯 전국 5개 지역에서 토론회를 갖고 다양한 현장의 의견들을 분석해 2012년 대입자율화를 골자로 하는 고등교육법 개정안 등에 반영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