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7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

“AI 디지털 교육의 핵심은 교사”

KEDI 교육정책네트워크 워크숍

AI기반 교육 필요 인정하지만
실제 수업에서 활용 낮은 수준

교원역량 개발 지원체계 필요

일선 교사들은 인공지능(AI) 기반 맞춤형 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하면서도 실제 수업에서 활용하는 비율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실질적인 교사 지원체계와 동기 부여와 관련한 정책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16일 온라인으로 실시된 제1차 KEDI 교육정책네트워크 워크숍에서 한정윤 서울시립대 교육대학원 교수는 ‘AI기반 맞춤형 교육의 현황과 과제’에 대해 발제하며 이같이 말했다.

 

한 교수는 “디지털 기반 교육 혁신의 대표적인 현안으로 AI 기반 맞춤형 교육이 강조되고 있다”며 “이러한 교육을 실현하기 위해 데이터 관계 거버넌스 구축, 시·도교육청의 사례확산, 중앙정부와 교육청 간의 역할분담, 교사의 디지털역량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특히 첨단 기술이 교육현장에 도입돼 실질적인 변화가 이뤄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현장 교원의 경험부족 해소를 위해 적절한 안내, 추가 도구나 기기 활용에 대한 부담을 덜어줄 서비스 사용성 강화 및 디지털 기기 관리 지원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실제 한국교육개발원이 발간한 KEDI BRIEF(2024년-1호) ‘AI기반 맞춤형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경험’ 보고서의 설문 결과에 따르면 일선 교사들은 교육 영역에서 AI를 활용하는 것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이었지만(5점 만점 중 3.83점), 응답 교원의 61.9%는 AI 기반 맞춤형 교육 서비스(도구)의 활용 경험이 없다고 답해 높은 관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활용 수준을 보였다.

 

실제로 현장 교사들은 새로운 추가 도구를 활용하는데 부담과 디지털 기기의 관리에 대한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확인됐다.

 

반복적 전문가 의견 수렴 방식인 델파이 기법으로 AI 기반 맞춤형 교육의 정책방안을 도출한 한 교수는 5개 영역의 12개 과제를 제시하며 적극적인 교원 역할 변화와 지원 체제 구축을 강조했다.

 

한 교수는 “단위 학교에서 일부 교사의 교육적 신념과 희생에 의존하는 양상도 보인다”며 “실질적인 교사 지원 및 동기부여체체 구축, 교육청-민간-지역 대학간 협력을 통한 테스트필드 구축, 교원업무경감과 역량 증진을 위한 AI기반 서비스 도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학교 현장 참석자들은 AI플랫폼이 개별화 교육이나 기초학력 부진 학생, 다문화 학생 등에게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공감하며 활용에 어려움을 겪는 교사의 현황을 분석해 지원책을 다양화 해야 한다는 점을 제안했다.

 

인공지능 플랫폼을 통한 기초학력 개선 연구학교로 참여하고 있다고 밝힌 강원도의 한 초등 교사는 “모든 영역에서 AI 플랫폼에 맡길 수 없고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학습동기가 낮거나 기초학습이 부진한 학생의 경우 AI보다는 상담이나 학습지원시스템이 함께 지원돼야 효과적”이라고 설명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