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7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문화·탐방

오리숲과 황톳길 지나 법주사로

10월 21일, 사진동호회 설레임 회원들과 보은의 법주사와 선병우고가에 다녀왔다. 작년 10월 29일에도 설레임 회원들과 이곳의 가을풍경을 만끽하며 추억남기기를 했었다. 그때 썼던 여행기를 바탕으로 법주사의 구석구석을 소개한다.

신라 말의 대학자 최치원은 법주사 일대의 암자를 돌아보고 ‘바르고 참된 도(道)는 사람을 멀리하지 않는데, 사람은 그 도(道)를 멀리하려 들고, 산(山)은 속(俗)과 떨어지지 않는데, 속(俗)이 산(山)과 떨어졌다.’고 말했다.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에 위치한 법주사는 진흥왕 때인 553년 의신이 법이 안주할 수 있는 절로 창건하였고, 776년 진표가 중창하였다. 의신이 서역에서 돌아올 때 나귀에 불경을 싣고 와 이곳에 머물렀다는 설화에서 절 이름이 법주사(法住寺)가 되었다. 현재 국보(3점), 보물(12점), 지방유형문화재(22점) 외에도 문화재자료와 사적, 명승과 천연기념물들이 있다.

법주사로 가다보면 정이품송(천연기념물 제103호)이 길가에 서있다. 정이품송은 나이가 약 600살, 높이가 14.5m 정도 되는 소나무로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벼슬을 가지고 있는 나무다. 병을 요양하기 위하여 복천암에 와서 3일 동안 법회를 열은 세조가 법주사로 행차할 때 타고 가던 가마가 이 소나무의 가지에 걸리게 되자 왕이 무사히 지나가도록 자신의 가지를 위로 들어 올려 정이품(현재의 장관급) 벼슬을 하사받았다. “연(가마) 걸린다.”고 소리치자 가지가 번쩍 들렸다 해서 ‘연걸이 나무’라고도 한다.


대형주차장과 상가를 지나면 레이크힐스관광호텔 앞에 수령 100년 이상의 노송들이 멋진 모습으로 서있다. 이곳 길가에 맨발로 걸을 수 있는 황톳길과 조형물을 감상할 수 있는 조각공원이 있다. 주차장에서 법주사까지 이르는 숲길은 5리쯤 된다고 해서 오리숲으로 불린다. 첫째 관문인 일주문을 지나면 오리숲을 알록달록 수놓은 오색단풍과 수령이 오래된 소나무들이 어우러져 멋진 풍경을 만든다. 물가를 따라가는 황톳길에서 만나는 풍경들도 새롭다. 속리산사실기비 건너편에서 법주사의 둘째 관문인 금강문이 맞이한다.


금강문을 들어서면 왼쪽에 법주사의 당간지주가 서있다. 당간지주는 절의 행사나 법회 등을 알리는 안내문을 세운 깃대(당간)와 버팀돌(지주)로 현재 당간은 없어지고 지주만 남아 있다. 법주사의 당간지주는 고려 초인 1006년에 16m 높이로 조성되었는데 조선시대 대원군이 당백전을 주조한다는 명목으로 사찰의 금속물을 징발하면서 사라진 것을 1910년에 높이 22m로 조성했다.

금강문에서 짜임새 있게 배치된 법주사의 가람과 문화재의 위치를 대충 눈으로 확인해보면 사천왕문(충북유형문화재 제46호) 앞에 서있는 전나무 두 그루, 청동미륵대불, 팔상전이 키재기를 하며 법주사를 돋보이게 한다. 사천왕문 안에서 눈을 부라리고 있는 사천왕상이 걸작품이다.

팔상전(국보 제55호)은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유일한 5층 목조탑으로 탑 중에서 가장 높은 건축물이다. 지금의 건물은 임진왜란 이후에 다시 지은 건축물로 장중한 멋을 간직하고 있다. 층마다 큰 폭으로 줄어드는 지붕 때문에 화려하고 웅장함이 느껴진다. 지붕은 5개나 되지만 내부는 하나로 뚫려 있다. 왜 팔상전인지는 안을 들여다봐야 안다. 부처의 일생을 8장면으로 구분하여 그린 팔상도가 벽면에 그려져 있어 팔상전이라 부른다. 법주사의 팔상전(捌相殿) 현판은 ‘여덟 팔’자가 아니라 ‘깨트릴 팔’자라는 사실도 알아야 한다.

금동미륵대불은 깨달음의 법을 설하시는 미래 미륵부처님의 현존을 의미하는데 높이 8m의 화강석 기단 위에 높이 25m의 거대한 청동대불이 서있다. 1990년 붕괴 직전의 시멘트미륵대불을 해체하고 세운 청동미륵대불이 10월 17일 금빛으로 새 옷을 갈아입어 더 화려했다.


쌍사자석등(국보 제5호)은 대웅전과 팔상전 사이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등으로 사자 조각 중 가장 오래된 유물이다. 서로 가슴을 맞댄 사자 두 마리가 뒷발로 아랫돌을 디딘 채 앞발과 주둥이로 윗돌을 받친 모습으로 머리의 갈기, 다리와 몸의 근육을 사실적으로 표현하였다. 대웅보전 앞에 있는 사천왕석등과 함께 신라의 석등을 대표한다.

희견보살상(보물 제1417호)은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으로 큰 향로를 머리에 이고 부처님께 향불 공양을 올리는 독특한 조각상이다. 얼굴 부분은 파손이 심하나 뒷부분의 옷을 절묘하게 표현했고, 향로를 받쳐 든 두 팔과 가슴부위를 구체적이고 독특하게 표현해 쌍사자석등을 조각한 작가의 작품으로 추정한다.


대웅보전(보물 제915호)은 임진왜란 때 모두 불탄 것을 조선시대인 1624년에 다시 지어 여러 차례 수리했다. 건물은 2층이고 지붕은 여덟 팔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으로 부여의 무량사, 구례의 화엄사와 함께 우리나라 3대불전 중 하나다. 목조건축양식 중 가장 장중하고 복잡한 형식으로 기둥 위는 물론 기둥 사이에도 공포를 배치하는 다포양식이다. 대웅보전 안에 안치된 3존 불상은 국내 좌불상으로는 최대의 것으로 벽암대사에 의해 건조됐다고 전해온다.

사천왕석등(보물 제15호)은 대웅보전 앞에 서있는데 통일신라시대의 석등을 대표한다. 각 부분의 양식과 조각수법이 우수하여 신라 불교미술을 꽃피운 8세기 중기 이후에 제작된 것으로 짐작한다. 불을 밝히는 화사석의 4면에 창을 두고, 나머지 4면에 불법을 수호하는 사천왕상을 조각하였다.


삼성각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산신의 역할을 강조한다. 명부전은 2003년에 건립된 정면과 측면 각 3칸의 맞배지붕 건물이다. 진영각 안에는 법주사를 창건한 의신조사 등 30인의 영정이 모셔져 있다. 원통보전(보물 제916호)은 석조희견보살입상(보물 제1417호) 앞에 있는 앞면과 옆면 3칸 규모의 정사각형 1층 건물로 간단하게 기둥 위에만 공포를 배치하는 오래된 주심포식 형식이다.


석연지(국보 제64호)는 8세기경에 제작된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이다. 화강암 석조물에 꽃, 구름, 덩굴 등의 무늬를 아름답게 조각해 우아하면서 화려한 자태를 자랑한다. 예전에는 높이 1.95m, 둘레 6.65m의 돌로 만든 작은 연못에 물을 담아 극락세계를 뜻하는 연꽃을 띄웠다고 한다. 상하의 비례가 아름다운 우리나라 석연지의 대표작인데 균열 및 파손된 부분이 많다.

능인전 앞의 석조(충북유형문화재 제70호)는 돌로 만든 물 저장 용기로 신라 성덕왕 시절 조성되어 법주사가 3천여 명의 승려가 생활할 만큼 번창하였을 때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금강문 오른쪽에 있는 철확(보물 제1413호)은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진 무게 약 20여 톤의 주물 솥으로 석연지(국보 제64호)와 마주보고 있다. 법주사의 사세가 융성해 3천여 명의 승려가 모여 살던 시기에 밥솥 또는 장국을 끓이는데 사용하였다거나 임진왜란 당시 승병들이 이 솥을 이용하여 배식하였다고 전해온다. 완벽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매우 귀중한 자료이지만 안쪽은 녹슬고 부식이 심하다.


능인전(충북유형문화재 제232호)은 앞면 3칸, 옆면 2칸의 작은 건물로 법주사에 남아 있는 조선시대의 건물로서 보존 가치가 높다. 능인전 뒤편에 있는 세존사리탑(충북유형문화재 제16호)은 고려 말기의 부도로 공민왕이 홍건적을 격파하고 법주사에 행차하여 통도사에 봉안되어 있던 석가모니의 사리 한 개를 이곳에 옮겨 봉안하였다고 한다.


마애여래의좌상(보물 제216호)은 경내에 있는 높이 6m의 큰 바위에 돋을새김으로 조각했다. 고려 초기 마애불의 양식을 잘 보여주고, 화사한 연꽃 위에 걸터앉은 채 큰 연꽃잎 위에 발을 올려놓은 자세가 특이하다. 불상의 오른쪽 바위에 짐을 실은 말을 끄는 사람과 짐을 실은 말 옆에 꿇어앉은 소(牛) 등을 묘사했는데 이는 의신조사가 불경을 실어오는 모습과 소가 법을 구했다는 법주사 창건 설화와 관계되는 것으로 추정되는 암각화다. 마애여래의좌상 뒤편의 부도전에 근대의 고승들을 모신 부도와 비석이 있다.


법주사에서 나와 만수계곡을 돌아보고 서원계곡 물가에 있는 서원리소나무로 간다. 수령 600여년의 서원리소나무(천연기념물 제352호)는 2갈래로 갈라져 우산모양을 하고 있다. 법주사 입구의 정이품송과 부부사이라는 전설 때문에 정부인송으로도 불리는데 외줄기로 곧게 자란 정이품송의 생김새가 남성적이고, 정부인송의 우산모양으로 아름답게 퍼진 모습이 여성적이다.


시냇물이 모이는 넓은 소나무 숲 속에 아흔 아홉 칸 고택으로 유명한 선병국가옥(중요민속자료 제134호)이 있다. 선병국가옥 입구의 북동쪽 개울 건너편에 있는 선병우고가(충청북도문화재자료 제5호)를 감나무가 둘러싸고 있는 가을 풍경도 멋지다. 선병우고가는 1940년대에 지은 전통가옥으로 안채와 사랑채 등이 서로 독립해 있다.
배너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