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아파트 멀지 않은 곳에 카페거리가 있다. 그래서 나는 카페거리를 자주 지난다. 카페거리를 지나면 ‘브런치’(Brunch)라는 말이 붙어있다. 나는 ‘브런치’라는 말이 무슨 뜻인지 몰랐다. 혹시 만들어낸 말은 아닐까 생각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가게를 살펴보니 아침에는 문을 닫고 점심이면 붐볐다. 그제야 나는 브런치가 어떤 말인지 알 것 같았다. 하지만 궁금해져 영어사전을 찾아보니 Breakfast와 Lunch를 합성해서 만든 단어로 나와 있었다. 그러니까 아침 겸 점심으로 먹는 오전 식사를 말한다. 우리말로는 ‘아점’ 또는 ‘어울참’이라고 한다. 우리말에도 나와 있으니전에도 먹었을 것이다. 하지만 언제 생긴 말인지 몰라 궁금했는데 꽤 오래된 신조어, 90년대 푸우 비디오에서 ‘아점’이라는 말이 사용되었다고 한다. 산업사회, 직장인이 바쁜 출근으로 아침을 먹지 못해서 점심시간보다 조금 이른 시간에 먹게 되면서 사용하게 된 말이다. 서양에서는 우리보다 훨씬 일찍 사용되었다고 한다. 이 말이 옥스포드 사전에 등장했을 때는 1896년이라는 것이다. 당시 이 말은일요일 아침예배를 보고 교회에서 조금 일찍 먹는 점심을 위해 사용되었다고 한다. 지금도 사용하는데 우리
2014-04-30 14:14
전남교육청 교육과정과(과장 민영방)는28일전남교육연수원에서 전남도내 중고 학교장을 대상으로 2014. 기초학력 향상 지원을 위한 학교장 워크숍을 개최하였다.
2014-04-29 09:36
어둠이 깊을수록 지금은 칠흙같은 어둠이 대한민국을 덮쳤습니다. 어느 정치인이 말하길, 6.25전쟁 이후 가장 참혹한 국난이라고 말합니다. 너무나 가슴 아픈 사건이라 되짚어 보는 것조차 가슴 먹먹합니다. 돈과 물질, 경제 발전에 가치를 두고 달려온 결과입니다. 어느 한 군데 만이 썩어 문드러진 결과가 아닌 총체적인 부패의 연결 고리가 사건을 이 지경으로 몰고 왔습니다. 그 결과, 가장 죄 없는 학생들에게 어른들의 업보가 얹혀진 씻을 수 없는 사건으로, 수치스러운 대한민국의 민낯을온 세상에 실시간으로 드러내놓고 말았습니다. 온 국민이 좌절하고 슬퍼하고 가슴을 치며 한탄하는 목소리가 천지를 뒤흔듭니다. 시간이 가면 잊히고마는 여타의 참사와 구별되어야 하는 이유가 너무나 많은 세월호 참사입니다. 정치와 종교, 관료주의, 부패와 불공정, 무사안일, 무책임 등 세월호 참사 앞에 붙는 언어는 절망적인 수식어로 가득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절망의 나락에서 희망의 등불을 켠 채 스러져 간 고귀한 분들의 감동적인 사연들이 눈시울을 젖게 합니다. 무엇보다 절체절명의 순간에도 자신보다친구나 타인의 생명을 사랑하고 자신을 내준 선생님, 승무원, 학생들, 목숨을 담보로 차디찬 바다
2014-04-29 09:361852년 미국의 한 시민이 아프리카 알제리 튀니스에서 사망했다. 그가 죽은 지 31년이 지난 어느날미국 정부는 그의 유해를 본국으로 송환하기로 결정했다. 그해 2월 유해를 실은 군함이 미국으로 입항하였다. 수많은 사람들이 그의 유해를 맞으러 나갔다. 군악대의 연주, 예포가 울리고 대통령과 국무위원, 상원위원을 비롯한 많은 사람들이그의 유해를 맞이했다. 사람들의 애도와 묵념 속에 그의 유해는 워싱턴 DC로 이장되었다. 그의 유해는 현재도 미국 사람들의 존경과 사랑을 받고 있다. 그는 존 하워드 페인(John Howard Payne), 가난한 미국의 평범한 소시민이다. 그럼 무엇이 미국인의 관심과 사랑을 받게 만들었을까? 그가 작곡한 한 곡의 노래 때문이다. 노래 가사는 미국인에게인생에서 무엇이 가장 소중한 것인가에 대한 대답을 주었다. 즐거운 곳에서 날 오라 하여도 내 쉴 곳은 작은 집 내 집 뿐이리 꽃 피고 새 우는 내 집 뿐이리 이 노래가 미국인의 마음에 감동을 준 것은 다음과 같은 일화 때문이다. 당시 미국은 남북전쟁을 하고 있었다. 남군과 북군은 워싱턴 시 인근 레파하녹크 강(rappahannock river)을 사이에 두고 밤낮 없이 밀고 당기는 전
2014-04-29 09:32
광교산의 족도리풀은 올해도 잘 있는지?자줏빛 꽃은 두 잎줄기 사이낙엽속에 숨어 변함없이 자태를 감추고 있는지? 그것이 궁금한 것이다. 해마다 봄이 되면 변함없이 그 곳에 무더기로 피어나는지 그것이 궁금하다. 그래서 광교산 그 곳을 찾는다. 안부를 전하려고. 등산의 목적은 사람마다 다르다. 대개 건강관리다. 힘든 산행을 하면서 체력을 단련하는 것. 대화와 친목도모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도 있다. 정상정복에 의의가 있는 것이 아니라 일행들이 가까와지는 것. 자연과의 교감도 있다. 자연의 변화를 관찰하면서 자연과 대화를 나누는 것이다. 지난 주말 아내와 함께 광교산을 찾았다. 등산 코스는 여러 개 있지만 족도리풀이 자생하고 있는 곳을 택하였다. 산을 좋아하는 사람은 자연을 좋아한다.사람은 자연의 일부이다. 봄을 맞아 족도리풀꽃을 살펴보려는 것. 자연이라는 것이 시기가 있어 아무때나 꽃을 보는 것이 아니다. 리포터 기록을 살펴보니 2007년부터 광교산 족도리풀꽃과 관계를 맺었다. 모르는 야생화를 카메라에 담아 그 이름을 알고 특성을 익히는 것. 그러면 그 식물은 '나의 식물'이 된다. 아는 만큼 보이고관심을 쏟은 만큼 대상을 사랑하게 되는 것이다. 광교산 버스 종점에
2014-04-29 09:27
찬란한 사월도 아픔으로 저물고 있다. 가로수로 심은 이팝나무 꽃이 흐드러지게 피었다. 그 밑으로 한 무리의 아이들이 지나간다. 가망을 메고 손전화를 손에 쥐고 단짝인 친구끼리 마주 보는 얼굴과 팔랑거리는 모습이 너무 예뻐 가슴이 아려온다. 아직 피워보지도 못한 저 또래의 아이들이 이 찬란한 사월을 보내고 신록으로 일렁이는 오월도 보지 못한 채 먼 곳으로 가버렸다. 열흘을 넘게 울기도 많이 울고 가슴을 쥐어뜯기도 하였다. 누구를 원망할 필요도 없이 대한민국 어른으로 아버지로 부모로서 한마디의 단말마 비명조차도 지르지 못한 채 오금을 펴지도 못했다. 입속을 맴도는 말은 ‘미안하다 얘들아! 지켜주지 못해서’ 그러나 차마 내뱉지를 못하겠다. 아직도 생사를 알지도 못하는 돌아오지 않는 아이들이 세월호와 함께 저 바닷속에 있다. 평소에 바다를 참 좋아한다. 출퇴근 때마다 보는 바다는 시원함과 후련함으로 답답함을 달래주어 참 좋았다. 그러나 이제는 바다 옆을 지나치면서도 바라보기가 싫어진다. 아이들을 삼켜버린 저 바다가 밉기도 하고 무섭기도 하고 원망의 넋두리가 쏟아진다. 아이들이 보물이다. 그런데 우리는 정작 아이들을 위해 무엇을 해주었는가? 모든 일을 경쟁으로 포장하
2014-04-28 10:11인선아, 요즘 학교애서 진로교육을 강조하면서 많은 학생들이 책상 앞에 나름의 목표나 구호를 써붙이곤 하는데 넌 어떤지? 그런데 구호만으로 아무 것도 이룰 수 없다는 사실이다. 현실을 파악하고 목표에 다가가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생각해 보는게 어떨런지? 모든 과학 연구는 관찰과 실험에서 시작한다. 자기 통제도 마찬가지이다. 넌 다른 아이들과 다르게 휴대폰을 가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 보통의 통제력이 아니라 교장선생님은 생각한다. 공부를 잘 하고 싶으면 공부에 대한 거울이 필요하지. 그러나 실물 거울이 아닌 네 자신을 점검한 관찰 항목을 만드는 것이다. 이처럼 자기 자신을 먼저 관찰할 필요가 있다. 이것을 자기 관찰이라고 한다. 자기 관찰이 축적 되어야 그 다음에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도 알 수 있다. 게다가 자기 관찰에는 덤으로 강력한 효과가 하나 있다. 역사 기록을 보면1404년 음력 2월 8일, 조선의 3대 임금 태종 이방원은 노루 사냥을 갔다. 그는 활을 메고 말을 달리다가 그만 말에서 떨어지고 말았다. 다치지는 않았지만 몹시 창피했다. 태종은 주위를 돌아보며 “사관이 알게 하지 말라”고 명했다. 그런데 우리가 이 사실을 알 수 있는 이유는 사관이 왕의
2014-04-28 10:11지난주 교육부와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가 '2014학년도 전문대학 입시결과'를 발표했다. 그 결과 전국 137개 전문대의 평균 등록률은 97.9%로 지난해에 비해 0.3%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4학년도 전문대 총 모집인원은 19만1634명으로 전년 대비 3.9%(7834명) 감소했다. 이와 같은 모집 정원 감축은 올해부터 교육부가 재정지원사업 평가에 각 대학의 구조개혁 계획을 반영하기로 하면서 전문대들이 자체적으로 모집 정원을 가축했기 때문이다. 올해 우리나라 137개 전문대 전체 평균 지원율은 7.7대 1로 전년도 7.5대 1에 비해 0.2포인트, 최근 5년전 6.4대1에 비해 1.3포인트 상승했다. 여전히 4년제 대학보다 전문대의 입시 경쟁률이 높은 것은 취업률에 기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취업난, 병역 연기 등으로 4년제 대학을 졸업하고 전문대학으로 편·재입학하는 이른바 '유턴입학'도 꾸준히 늘고 있다. '유턴입학' 학생은 전국 116개 대학에서 4984명 지원해 1283명이 등록했다. 전년 대비 2.4% 늘어난 수치이다. 이는 2013학년도 대비 지원자는 184명(3.8%), 등록자는 30명(2.4%)이 증가한 것으로 우리나라에서 매년 1
2014-04-28 10:10세월호 참사가 있었던 그날, 우리반의 카카오톡 방은 온통 그 이야기 뿐이었다. 같은 학생의 입장에서 안타까워 하는 이야기 뿐이었다. '어떻게 하냐, 언니, 오빠, 형들, 누나들, 곧 구조될 것이다. 어떻게 저렇게 큰 배가 침몰 할 수 있을까. 수학여행 가는 학생들이 탔는데, 어떻게 그런일이 있을 수 있을까… 언니, 오빠들 꼭 구조되길 바랄께요..빨리 구조해 주세요.' 대체로 이런 이야기가 주를 이루었다. 담임으로 할 말이 없었다. 그 어떤 원인이 나오지 않은 상태였다. 그저 상상을 할 수 없는 사고가 났다는 것 뿐이었다. 그냥 딱 한마디 대답만 했다. '모든 것이 어른들의 잘못이다. 학생들은 잘못이 없다.' 나중에 사고관련 기사가 나올 때마다 어른들의 잘못은 여러곳에서 드러났다. 반 아이들은 지금도 충격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2-3일 전부터는 반 아이들 모두가 노란리본을 달고 카카오톡 방에 참여하고 있다. 어른들의 잘못으로 인해 어린 학생들에게 충격을 주는 일이 더 이상은 발생하지 않길 바랄 뿐이다.
2014-04-28 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