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이 바뀌면 학교가 바뀐다’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은 수업 개선을 촉구할 때 많이 쓰지만, 원래는 책 제목이다. 일본 도쿄대학교 교육학연구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는 사토 마나부의 저서다. 그는 우리나라 선생님들 사이에서도 인기가 꽤 많다. 2006년 첫 번역 출판 이래 지금까지 대형 서점에서 스테디셀러로 자리 잡고 있다. 이유는 수업 이론보다 수업을 직접 관찰하고 정확하게 분석했기 때문이다. 이 책이 인기를 끌면서 책 제목도 주목을 받았다. 책 제목이 짧은 문장임에도 교육의 문제점과 대안이 명쾌하게 담겨 있다. 그런 탓인지 주변에서 이런 이야기가 많다. 연수에 참여했는데, 장학관도 이 말을 예로 들어 수업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교사가 교육 개혁의 출발점이자 종착역이라고 비유했다. 교사는 교육 개혁의 대상이 아니라 주체라고 치켜세운다. 선생님들도 스스로 수업만 잘하면 학교가 즉 교육이 바뀔 것이라고 기대한다. 맞는 말이다. 교실은 교육의 시작이다. 교실에서 살아있는 수업이 진행될 때 교육이 성장한다. 그동안 정부는 교육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하여 새로운 방향을 모색했다. 학교 시설 개선, 학급 당 학생 수 감축, 교육과정 개정 등은 지속적으로 추구해 왔다. 이
2015-07-14 10:0510여전부터 우리나라는 저출산이 시작되면서 드디어 학령인구의 급격한 감소로 2016년부터 대학입학정원에 비해 고등학교졸업생의 수가 적어지게 되므로 많은 대학의 생존이 위협 받고 있다. 그래서 2023년에는 2,000명 규모의 대학 80개 이상 폐교될 것으로 예상되고, 당분간은 지방소재 대학에만 심각한 위협이 되겠지만 장기적으로는 어떤 대학도 '대학교육의 효과성'에 대한 현실적인 추궁에서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다. ‘2003년 대비 2013년 대학 계열별 학과 수 및 입학정원 변동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 10년 동안 정부의 대학 구조조정 추진으로 인문, 자연, 공학 분야는 각각 -4.7%, -4.1%, -2.0%로 줄어들었다. 반면 사회, 교육, 예능, 의약계열은 각각 2.6%, 10.5%, 14.3%, 100.3% 늘어났다. 그러니까 인문계열 등 기초학문 학과는 줄어들고, 상대적으로 취업률이 높은 실용학문 학과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몇 년 전부터 미국사회에서 대학진학을 장려하는 분위기가 확산되는 가장 큰 이유는, 노동시장의 변화에 따라 고등교육이 필요한 직업과 일자리 수가 크게 늘었고 국가발전의 핵심동력을 고학력 외국인들에게 의존하는 현상이 심화되
2015-07-14 10:05최근 특성화고의 인기 때문인지 미리 준비된 학생들이 들어오고 있다. 우리학교도 마찬가지이다. 아마 현재 2학년과 현재 1학년이 가장 좋은 아이들이다. 물론 3학년부터 이러한 분위기가 시작되었기에 가능했던 일이다. 점점 더 준비된 아이들이 들어올수록 선생님들이나 학교에서 신경써야 할 부분이 많아지는 것은 사실이다. 3월초부터 시작된 우리반 아이들과의 이야기를 시작하고자 한다. 여러 가지 좋은 점과 나쁜 점들이 발견되기 시작하면서 좌충우돌하고 있다. 그 이야기를 시작하면서 교사로서 내가 지닌 것과 내가 발견해야 할 것들을 알아가고 싶다. 또한 이 아이들의 미래를 위해 뭔가 준비하는 사람이 되길 희망하는 마음으로 시작하고 싶다. 이제 12년차인 교직생활, 정말 어떻게 지나갔는지도 모를 세월이었다. 그동안 학생들을 바라보는 나의 시선은 점차 바뀌어갔다. 처음 교단에 섰을 때, 학생들이 손님이었다. 그들을 어떻게 대해야 할지 몰라서 고민하고 걱정하다가 잠이 들곤 했다. 그래도 여지없이 그 다음날에는 희망을 가지고 갔다. 힘든 하루하루, 정말 학교가기 싫은 날도 있었지만 사회에 나와서 혼자힘으로 살아야 했기에 더욱 의무감으로 다가갔다. 그러니 더욱 힘들었고 그 손님들이
2015-07-14 10:05올 1월 23일 우리학교 학생 3명이 일본의 한 작은 학교 교구 주관으로 실시한 일본인 가정 홈스테이를 하면서 일본 문화를 체험하는 기회가 있어 후쿠오카에 갔다. 이때 마침 규슈국립박물관에는 개관 10주년 특별전으로'고대 일본과 백제의 교류'전시회가 열리고 있었다. 후쿠오카한국교육원 이병윤 원장님의 안내를 받아 특별전을 관람하게 되었다. 1층 전시장은 관람객들로 발 디딜 틈이 없었다. 중년의 관람객들이 백제와 왜의 문화 교류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인 칠지도 앞에 서서 뚫어지게 바라보고 있었다. 조용히 줄을 지어 관람하던 일본인들은 유물 앞에 서서 한동안 뚫어지게 보거나 뭔가를 열심히 적는 등 매우 진지한 모습이었다. 관람객들은 대부분 50대 이상 중년들이었으며, 이번 전시를 보기 위해 멀리서 온 사람들도 있었다. 은퇴했다는 기시모토 씨(65)는 “도쿄에서 5시간 신칸센 기차를 타고 왔다. 평소 일본 고대 문화에 관심이 많았는데 신문에 난 전시 소식을 듣고 짬을 내 이곳에 왔다”고 전했다. 올해로 개관 10년째를 맞는 규슈박물관은 후쿠오카시에서 차로 30여 분 가야 닿는 비교적 외곽에 있다. 하지만 규모와 건물 디자인 면에서 동서양의 미학을 제대로 살린 건축
2015-07-14 09:08하근찬의 단편소설 '수난이대'를 읽었다. 마음이 편치 않았다. 우리의 현실이 너무 비참했다. 피할래야 피할 수 없었던 상황이었다. 한편으로 볼 땐 정말 불행한 가정이다. 도저히 있어서는 안 될 일이 일어났다. 또 한편으로 너무나 떳떳한 가정이다. 자신 때문에 일어난 불행한 일이 아니었다. 우리의 모두가 안아야 할 고통을 대신 당했다고 볼 수 있는 가정이다. 이 소설을 읽으면서 이런 불행한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튼튼한 안보가 이루어져야 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좋은 선생님은 어떤 선생님인가? 안보의식을 심어주는 선생님이다. 국방이 튼튼하지 못하면 일제와 같은, 6,25와 같은 비극의 날이 또 올 수 있기 때문이다. 아버지 박만도는 일제 강제 징용으로 끌려가 비행장을 닦아야 했으며 땅굴을 파다가 다니너마이트를 터뜨리다 한쪽 팔을 잃고 말았다. 땀을 흘리며 먹을 것도 제대로 먹지 못해가며 모기와의 싸움에서 이겨내야 하며 전염병으로부터 이겨야 하고 오염된 물을 마셔야 하는 열악한 환경 속에서 땀을 흘려가며 강제노역으로 몸을 바쳐야 하는 상황이었으니 비참하기 그지없었다. 힘이 없으면 언제 또 이런 일이 일어날지 모른다. 남의 일이 아니다. 나의 자녀들이, 내가, 나의
2015-07-14 09:08제서야, 이번 네가 일본체험 학습에 참가하게 된 것을 진심으로 축하한다. 이 기회는 누구나 갈 수 있는 것이 아닌데 선택되었다는 것은 행복한 시간을 갖는 기회가 될 것이다. 행복은 어떤 것을 많이 소유하는 것보다도 좋은 경험을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한다. 네 꿈이 승무원이라고 하였는데 어렸을 때 경험한 것과는 다른 감각으로 느껴질 것이다. 이번 체험학습 여행에서 너의 진로, 너의 꿈과 관련하여 일본에서 배울 수 있는 것을 꼭 찾아보기 바란다. 아무래도 한국에서 찾기 아려운 것들도 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고교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직업은 교사이다. 그러나 교사 수요는 10년 후 줄어들 것으로 예측됐다. 만일 네 친구 가운데 교사가 되겠다는 친구가 있다면 이런 정보도 이야기하여 주기 바란다. 반면 우리 나라가 고령화 사회가 되고 친환경 에너지에 대한 수요 증가로 임상병리사, 사회복지사, 환경공학기술자는 지금보다 일자리 수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고용정보원이 발표한 ‘2015 한국직업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196개 주요 직업 가운데 향후 10년 뒤 일자리가 늘어날 직업으로 행사 기획자, 임상병리사, 상담전문가, 메이크업
2015-07-14 09:08태풍 ‘찬홈’이 우리나라에 오는 바로 어제, 도시농부인 필자는 올해 고추 농사를 마무리 지기로 했다. 말이 도시농부이지 농토에다 농사를 짓는 것이 아니다. 아파트 베란다에서 화분을 이용하여 농사를 짓는 초보농사꾼이다. 아쉽지만 고추 줄기를 거두고 말았다. 베란다 텃밭, 몇 년 가꾸었으면 농사에 대한 노하우도 있을만 한데 그게 아니다. 올해 고추농사는 대체로 실패로 끝난 것이다. 식사 때마다 애고추를 몇 개 먹은 것이 고작이다. 가을철에 붉은색 고추가 주렁주렁 열려야 하는데 그것을 보지 못하고 줄기를 거두고 만 것이다. 농사 실패의 가장 큰 원인은 무엇일까? 바로 진딧물이다. 진딧물 번식력이 얼마나 빠른지 아침 저녁으로 잡아주어도 계속 번져 나간다. 담배꽁초진액이나 비눗물 방제도 하여 보았으나 그 때 뿐이다. 진딧물을 죽이지 않고 동반자 마음을 가졌지만 진딧물에게 지고 말았다. 그 대신 방울 토마토는 무럭무럭 잘 자란다. 모종이 자라 열매 열리는 것을 보니 대개 6개에서 12곳에 맺힌다. 아침과 저녁에 황금토마토 맛을 보면서 비타민을 섭취한다. 토마토 농사가 성공한 이유는 커다란 화분 덕분이 아닌가 추측한다. 식물의 자람에 있어 토양이 중요한 것이다. 올해 고
2015-07-14 09:07기다리고 기다리던 단비가 내리기 시작했다. 얼마나 고마운지 모른다. 다니기가 불편하지만 이번 단비야말로 농민을 비롯한 모든 이들의 마음을 유쾌케 한다. 농작물이 잘 자라고 만물이 싱싱하게 잘 자라나게 되길 소망해본다. 좋은 선생님은 어떤 선생님인가? 시간의 귀중함을 가르치는 선생님이다. 지금은 1학기 기말고사 기간이다. 물론 시험이 끝난 학교도 있다. 지금과 같은 시간을 골든타임이라 하겠다. 공부할 기간을 놓치면 자기가 원하는 성적을 얻을 수 없다. 그런데도 시간을 낭비하는 이가 있다. 이들에게 시간의 귀함을 깨우쳐야 할 것이다. 젊은 시절은 학생들에게 엄청 귀한 시간이다. 공부할 시간이기 때문이다. 젊음은 잠시 있다가 지나간다. 그 젊은 시절에 학문을 이루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 한 마디의 시간도 아껴야 하는 것이다. “소년이로학난성이요(少年易老學難成;소년은 쉽게 늙고 학문은 이루기 어렵다.) 일촌광음불가경이라(一寸光陰不可輕;순간의 세월을 헛되이 보내지 마라.)” 이 말의 뜻을 잘 새겨둘 만하다. 톨스토이는 하루의 24시간을 세 등분해서 잘 사용해야 한다고 하였다. 8시간을 일을 하는데 사용하고 또 8시간은 공부하는 데 사용하고 나머지 8시간을 잠자는 데…
2015-07-13 09:48서산 서령고(교장 김동민)는 7월 11일(토) 전문가를 초청하여 생물학 관련 진로탐색을 위한 전문가 초청강연을 실시했다. 학생들에게 미래의 직업과 진로탐색의 기회를 제공하고 창의력과 문제해결력을 길러주기 위해서다. 이번 특강은 생물나라 동아리 회원 및 참가 희망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KAIST 조경찬 연구원이 특강을 맡았다. 학생들은 시종일관 강의에 집중했으며 자신의 소질과 적성 및 흥미분야를 심도 있게 살펴볼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다.
2015-07-13 09:47세상에는 잘못된 사실들이 믿음으로 자리잡아 우리 생활을 지배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어떤 한 학생은 어디에서 들은 정보인지는 몰라도 3시간만 자고 공부해도 견딜 수 있다는 이론을 믿음으로 신봉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것을 중 3시절에 실천에 옮겼다. 성적은 단연 최우수한 결과를 만들어 냈다. 그런가 하면 '중1 첫 시험 성적이 3년 내내 간다.’ ‘고1 모의고사 점수가 수능 점수다.’ 라는 말이 학부모들 사이에서 널러 퍼져있는 자녀 성적에 관한 속설이다. 이는 과연 사실일까. 결론부터 말하면 '그렇지 않다'이다. 유명한 우리나라 한 사기업 교육 업체가 최근 고교생 3228명의 고교 3년 간의 성적을 추적 조사한 결과, 고1 때 내신시험에서 중위권이었지만 수능시험에서 1등급을 받는 사람이 의외로 많았다는 것이다. 고1에 비해 최상위권 성적을 유지하기 가장 어려운 과목은 국어였다. 고1 내신 시험과 수능에서 동시에 1등급을 받은 사람이 수학(18.4%), 영어(19.6%)에 비해 국어(2.7%)가 가장 낮았다. 중위권 학생들이 성적을 가장 많이 올린 과목은 수학이었다. 고1 때 수학에서 3등급을 받았지만 수능에서 1등급을 받은 학생은 10.6% 였고, 2등급을…
2015-07-13 09: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