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국·공립 사범대 임용고시 합격률이 학교별로 최대 12.4배나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소속 김춘진 의원(민주당)은 26일 교육과학기술부가 국정감사 자료로 제출한 '국공립대 사범대 및 교대 임용시험 합격률'을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전국 15개 국공립 사범대의 2011학년도 중등교사 임용시험 결과, 전북대 사범대가 응시자 117명 중에서 67명이 합격하여 합격률 57.3%로 전국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순천대 사범대 40%, 서울대 사범대 28.6%, 안동대 사범대 25.7%, 경상대 사범대 22% 순이었다. 2009년과 2010년 각각 신설된 목포대와 인천대 사범대를 제외하면 합격률이 가장 낮은 대학은 제주대 사범대(4.6%)였다. 초등교사 임용시험은 한국교원대가 합격률 1위를 기록했다. 한국교원대는 151명의 응시자 중에서 98명이 합격해 64.9%의 합격률을 보였다. 다음으로 전주교대 62%, 서울교대 60.5%, 공주교대 57.4%, 광주교대 54.6% 순으로 합격률이 높았다. 김춘진 의원은 “이러한 상황이 계속되면 합격률이 낮은 대학에는 우수한 학생들이 지원을 꺼리게 된다”면서 “교사 결원은 주로 해당 지역 사범ㆍ교대
2011-09-27 21:21강원도교육청(교육감 민병희)은 27일 고교입시제도 개선에 대한 타당성 조사기관으로 서울대 산학협력단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도 교육청은 조달청이 운영하는 `나라 장터'를 통해 타당성 연구용역기관 선정을 위한 입찰 공고를 내고 컴퓨터 추첨을 통해 서울대 산학협력단을 선정했다. 서울대 산학협력단은 오는 10월 말까지 춘천, 원주, 강릉지역 고등학교 입학관련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지역적 특성과 통학 거리, 고등학교 학생 수용 능력, 학교군 설정, 학생 배정 방법, 교육격차 해소 계획, 비선호 학교 해소방안 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또 내달 중순에는 학생과 학부모, 교육 관계자, 시민을 대상으로 춘천, 원주, 강릉에서 공청회를 실시한다. 도 교육청은 타당성 조사가 끝나면 오는 10월 말부터 11월 초까지 여론조사를 해 찬성 비율이 60%를 넘으면 2013년부터 고교평준화 제도를 도입할 방침이다. 조성호 학교정책과장은 "타당성 조사를 위한 공신력 있는 기관을 선정하기 위해 조달청의 컴퓨터 추첨으로 공정하고 투명하게 진행했다"면서 "앞으로의 추진 과정도 강원도의회와 관계 기관, 학교, 시민단체 등과 긴밀하게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2011-09-27 17:13지난 7월 실시한 ‘2011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초6 평가 결과표 인쇄과정에서 영어와 수학 점수가 뒤바뀌어 성적표를 재인쇄하는 소동이 벌어졌다. 26일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따르면 각 시도 교육청은 지난 23일 초등 6학년의 평가 결과표를 일선 학교로 배포했으나충남, 충북, 대전, 전남, 제주 등 5곳에서 영어·수학 과목의 성취도 점수가 서로 뒤바뀐 사실이드러나학생 배포를 중단했다는 것이다. 학업성취도 평가의 결과 처리(채점 및 인쇄)는 초·중학교의 경우 시·도교육청에서, 고교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각각 담당한다. 오류가 발견된 5개 시·도교육청의 경우 인쇄업체의 실수로 영어와 수학 점수가 바뀌어 인쇄됐다. 교과부는 “5개 교육청은 공주대에 성적 채점과 인쇄를 위탁했는데, 공주대가 업무를 맡긴 인쇄업체의 인쇄 과정에서 오류가 생긴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전·충남교육청의 일부 학교에 배부된 성적표는 배부가 중단되고 회수됐다. 제주·전남교육청의 성적표는 학교에 발송되지 않은 상태에서 반송됐다.
2011-09-26 23:18특수목적고 학생의 59.1%가 학교 수업만으로는 성적을 유지하기 어렵다고말한 것으로 조사됐다. 26일 인천시교육청 국감에서김세연 의원(한나라당)은 "최근 인천지역 외국어고 2곳, 국제고와 과학고 각 한 곳의 1학년 2개반씩 총 180여명을 대상으로설문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나머지 32.8% 학생은 학교수업으로 성적을 유지하고 있다고 응답했고 무응답은 8.1%로 집계됐다. 사교육으로는 비용이 많이 드는 학원(54.4%)과 개인과외(35.6%)가 대부분이었고, 적은 비용의 인터넷 강의(8.1%), 학습지(0.6%), 기타(1.3%)는 얼마되지 않았다. 또 84%의 학생이 선행학습을 하고 있고 다고 답했다.선행학습은주로 학원(57.1%), 인터넷 강의(14.7%), 개인과외(11.5%) 등을 통해 하는 것으로 응답했다. 김세연 의원은 “명문대 진학률이 높다는 특목고 학생들조차 학교수업만으로는 성적유지가 어렵다는 것은 사교육 의존도가 도를 넘었다고 봐야 한다”며가정형편이 어려운 학생과의 형평성, 교육과정의 문제점 등시교육청에 대책을 마련할 것을 촉구했다.
2011-09-26 23:09전국 초등학교의 남자 교사는 24%에 불과한 반면 남자 교장은85%로 나타나 대조적 결과를이뤘다.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소속 김춘진 의원(민주당)이 26일 교과부로부터 제출받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2011년 4월 기준 전국 초등 교사 18만623명 중 남자는 4만3794명(24.2%)에 불과한 것으로 밝혀졌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15.0%로 가장 낮았고, 대전(15.6%),대구(19.0%),부산(19.6%),광주(21.2%),경기(21.5%), 울산(23.7%),제주(24.2%), 인천(24.8%)이 뒤를 이었다. 비율이 높은 전남(40.4%)과 경북(38.9%)도 남자 교사는 절반에 미치지 못했다. 남자 교사가 한 명도 없는 초등학교도 전국 39곳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전남 18개, 강원 10개, 경남 6개, 경북 2개, 충남 · 충북 · 제주는 각 1개교에남 교사가 전무한 것으로 조사됐다. 남자 교사가 절대 부족한 현상과는 달리 초등 교장 대다수는 남성인 것으로 드러났다. 전국 초등 교장 5834명 중 남자는 4939명으로 84.6%를 차지했고,여 교장은 895명으로 15.4%에 불과했다. 김 의원은 "성비 불균형 해소를 위한 장기적인 대책과 남
2011-09-26 22:54부산교대 총학생회는 26일 오전 학교 정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부산교대를 구조개혁 중점추진 국립대로 선정한 것을철회하라"고 촉구했다. 총학생회는 "지역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교원 임용률과 총장 직선제 폐지를 수용하지 않았다는 것은 구조개혁 대상학교를 선정하는 객관적인 지표가 될 수 없다"면서 "국립대 구조개혁안을 철회하고, 반값 등록금 정책을 즉각 시행하라"고 요구했다. 총학생회는 또 "이 같은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동맹휴업을 불사하겠다"면서 전체 학생 수만큼 큰절하는 '1985배' 행사를 펼쳤다. 부산교대는 19일 열린 교수협의회에서 총장 공모제 투표를 실시한 결과 반대 47, 찬성12, 기권1표로 공모제 도입을 부결시켰다. 이에따라 서울교대 등 8개 교대가 22일 합의해 발표한교대발전방안을 위한 자구노력에 참여하지 않았고, 23일 교과부가 발표한 국립대 구조조정 대상 대학에 포함됐다.함께 합의에 참여하지않은 광주교대는 구조조정 대상 대학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2011-09-26 14:43장휘국 광주교육감이 산하 인사위원회(징계) 결정에 불만, 상급기관 등에 재심을 요구하는 일이 잇따라 위원회의 역할과 기능을 무력화할 수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25일 광주시교육청 등에 따르면 장 교육감은 최근 여직원 성희롱과 직무태만 등의 혐의로 정직(3개월) 처분을 받았던 산하 교육청 A 팀장에 대해 수위가 낮다며 재심을 요구했다. 교육과학기술부에 요구하는 교원(교사)들의 재심과는 달리 일반직은 교육청 인사위원회에서 다시 심의한다. 그러나 피고 격인 징계 대상자가 양정(처분)이 지나치다며 이의를 제기하는 경우는 흔히 있지만 검사격인 교육청이 하는 것은 극히 이례적이다. A팀장은 재심에서 징계 수위가 한 단계 올라 '해임' 됐다. 당초 중징계 요구된 A팀장은 동료 여직원 등의 선처 호소 등이 감안돼 가장 낮은 단계인 정직 처분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앞서 지난 5월 장 교육감은 정직처분을 받은 일선 학교 B교장에 대해 수위가 낮다며 교과부에 재심을 요구, 결국 해임처분을 받아냈다. B 교장은 방과 후 강사와 교사 등으로부터 떡값 등 640여만원을 받은 혐의로 중징계 요구됐다. 그러나 B교장과 혐의가 비슷한 C교장은 파면 처분을 내리는 등 오락가락…
2011-09-26 13:08인천지역 장학관과 교육연구관, 장학사, 교육연구사 등 교육전문직 1인 당 평균 학생 수, 학교 수, 교사 수가 전국 6개 광역시 가운데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인천시교육청이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에 제출한 국감 자료에 따르면 인천지역 교육전문직은 장학관 37명, 교육연구관 10명, 장학사 103명, 교육연구사 25명 등 모두 175명이다. 인천의 유치원생과 초·중·고교생은 44만1171명이고, 유치원과 초·중·고교는 848곳이다. 교원은 2만4238명이다. 그러나 교육전문직 1명이 평균적으로 맡고있는 학생 수, 학교 수, 교사 수는 전국 6개 광역시 중 가장 많아 전문직 증원이 시급한 것으로 분석됐다. 교육전문직 1인 당 학생 수로는 인천이 2520명으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대구 2289명, 부산 2108명, 광주 2008명, 대전 1963명, 울산 1653명 순이다. 학교 수 역시 인천(4.8곳), 대구와 부산(각 4.1곳), 광주(4곳), 대전(3.8곳), 울산(3.3곳) 순으로 집계됐다. 교사 수도 인천 138명, 부산과 대구 각 125명, 대전 106명, 광주 103명, 울산 89명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인천지역의 교육전문직이 다른 광역시 전
2011-09-26 13:06"예고 수업단위 책정 학교장 권한" 예술계 학교의 전공실기 과목에서 1시간 개인지도는 일반수업 2~4 단위를 이수한 것으로 볼 수 있다는 판결이 나왔다. 서울고법 행정10부(강민구 부장판사)는 전공실기 수업운영을 부적절하게 운영했다는 이유로 서울예고 교장 등에게 내린 경징계 요구를 취소하라며 학교법인 서울예술학원이 서울시교육감을 상대로 낸 사안조사 결과처분 취소소송에서 1심과 달리 원고 승소로 판결했다고 26일 밝혔다. 재판부는 "학교장은 전문교과 과목 강사에 의해 이뤄진 수업 1시간을 몇 단위 이수로 볼지 자율적으로 정할 수 있다"며 "서울예고 교장이 음악부 개인별 전공지도 수업에 관해 실기강사의 1시간 수업을 2~4 단위 이수로 보기로 한 것은 학교장 권한 범위 내"라고 밝혔다. 이어 "일대일 방식의 전공별 개인지도는 수업을 받기 위해 학생이 사전에 상당한 연습시간이 필요하고, 강사의 지도 시간보다 더 많은 수업 단위를 이수한 것으로 보는 것이 음악교육에서 일반적이며, 원칙적으로 50분 수업을 1단위로 하는 교육청 고시는 전공실기과목에도 똑같이 적용된다고 보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서울시교육청은 2009년 서울예고 음악부 교육과정 민원 조사를 한 뒤 외부
2011-09-26 10:1925일 오전 '2011 대한민국 좋은 학교 박람회'가 열린 일산 킨텍스 공연마당에서 교장들이 드럼과 기타를 치고 장학사가 흥겨운 노래를 부르는 공연이 펼쳐져 눈길을 끌었다. 충북 교사문화 예술동아리인 'SSAM(쌤)밴드'가 주인공이다. 음악에 관심이 있는 교장, 교감 등이 중심이 돼 학생들은 물론 다양한 계층과 자유롭게 어울릴 기회를 마련하자는 취지에서 지난해 9월 이 밴드를 창단했다. 이름도 학생들이 선생님을 줄여서 표현하는 '쌤'으로 정했다. 멤버는 교장 3명, 장학관 1명, 교감 2명, 장학사 3명, 교사 1명 등 10명으로 드럼, 기타, 색소폰, 대금, 보컬 등으로 역할을 나눴다. 주말과 일요일 등을 이용해서 한 달에 두세 차례 모여 연습을 진행, 지난해 12월 교감자격 연수회에 초청받아 첫 연주회를 한 것을 시작으로 공주대 총동문회 초청연주회, 충북 교사문화 예술동아리 축제 등 그동안 크고 작은 무대에 섰다. 이 밴드가 소문이 나면서 교육과학기술부의 초청을 받아 이번에 처음으로 전국 무대에 서게 됐다. 이날 쌤밴드는 '빈잔' 등 트로트는 물론 '젊은 미소' 등 흥겨운 리듬의 가요를 선보이는 등 2시간 동안 열정의 공연을 펼쳐 관람객들로부터 큰 박수를
2011-09-26 00: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