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서울 금천구의 한 사진관에서 세상 어느 가족보다 아름다운 특별한 가족이 탄생했다. 5살배기 승현이를 안은 황치범(56·서울 삼성중) 교사와 아내 김명숙(57) 씨가 장성한 두 딸과 첫 가족사진을 찍는 날. “늦둥인가요?” 사진사의 물음에 “네”라고 답하며 품 안의 승현이를 바라보는 이들 부부에게는 남다른 사연이 있다. 4년 전 신생아 중환자실에 버려졌던 승현이가 오늘 황 교사 부부의 아들로 다시 태어난 것. 승현이는 태어날 때부터 왼쪽 귀가 없고 안면근육 마비에 심장기형, 염색체 이상까지 겹친 장애를 가져야했다. 그 때문에 가정형편이 어려운 친부모와 헤어지는 더 큰 아픔도 따랐다. 제주에서 태어났지만 그해 음성꽃동네에 맡겨져 복실이로 자라던 승현이. 그런 승현이를 황 교사가 처음 본 건 3년전 병원에서다. 꽃동네에서 자원봉사를 하던 둘째 딸이 폐렴을 얻은 승현이를 강남성모병원으로 데려와 간호하는 일을 부부가 함께 도우면서다. 한 달 후 다시 폐렴으로 입원한 승현이를 다시 꽃동네로 보낼 수 없었던 황 교사 부부는 곧바로 위탁부모가 됐다. 그게 2001년 3월 19일. “아픈 승현이에게 잠시 힘이 돼 주자는 게 벌써 3년 8개월이 흘렀다”는 황 교사다.…
2004-11-17 17:12-4년간 통일 교육을 해왔는데. "2000년 처음 이 학교에 부임하면서 탈북학생 특별학급을 운영해야했는데 너무 막막했다. 당시 통일교육 정착이 안 돼 있던 상황이었고 이들을 지칭할 용어자체도 없었다. '탈북학생'이라는 용어도 처음 사용하고 학생들 교육에 도움이 되는 일이라면 어디든 뛰어다녔다. 처음에는 특별학급을 무학년제로 운영하다가 탈북학생들은 학습수준이 맞지 않아 서로 격차가 커 저, 고 두 반으로 운영하다가 내년에는 교육과정에 따라 저, 중, 고 세 반으로 나눠서 운영할 예정이다. 이렇게 시행착오를 통해 많은 걸 얻었다. 사명감을 가지고 같이 뛰어준 교사들의 공도 크다." -가장 어려운 점은 무엇인가. "생각보다 언어·문화에 대한 차이가 너무 크다. 50년 단절된 언어인데 아마 통일 후 50년이 되도 극복이 힘들다는 생각이 들 정도다. 또 기본적으로 생각하는 방식이 다르다. 남한 학생들보다 폭력적이고, 예의범절이라는 것도 잘 모른다. 그래서 특별학급 수업은 인성, 사회적응, 개인생활, 가정, 언어, 국적 교육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지도하면서 아쉬운 점은. "탈북학생들을 아직도 이상하게 보는 사회의 시선이 많다. 꽃제비, 부랑아 등으로 보는데 이 아
2004-11-12 22:42이성진 한국행동과학연구소장(서울대 명예교수)과 심치선 계원예술고 교장은 12일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리는 제14회 천원(天園)교육상 시상식에서 각각 학술연구부문과 교육실천부문을 수상한다.
2004-11-11 16:01채천수 대구 이곡초 교감은 13일 남대문 남풍빌딩에서 열린 2004년도 한국시조작품상 시상식에서 '빈속’으로 작품상을 수상한다.
2004-11-11 16:01이종주 전북 완주봉서초 교감은 최근 계간지 `서울문학’에 `억새꽃 그리움’ 등으로 시부문 신인상을 수상해 문단에 등단했다.
2004-11-11 16:01정영규 군포시교총 회장은 최근 스카우트 훈육위원 임원개편에서 군포스카우트 훈육위원장으로 선임됐다.
2004-11-11 16:00김형길 내토사우회 회장(충북 영춘중 교사)은 9일부터 11일까지 제천시민회관에서 회원들의 작품 50여점을 모아 제11회 작품전시회를 개최했다.
2004-11-11 16:00심상철 경북대 교수는 최근 열린 화학관력학회연합회 이사회에서 제7대 회장으로 선임됐다.
2004-11-11 15:59이원희 한국스카우트연맹 총재는 12일 국회도서관 강당에서 `유비쿼터스 시대와 청소년단체 활동의 방향’을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한다.
2004-11-11 15:58박판영 사학연금관리공단 이사장은 8일부터 12일까지 사학연금회관에서 일본 사립학교진흥·공제사업단 임직원을 초청, 간담회를 실시한다.
2004-11-11 15: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