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길 부산외대 교수는 최근 일본관광객을 위한 ‘일본 역사와 문화’를 펴냈다.
2005-03-24 15:14허종렬 대한교육법학회 회장(서울교대 교수)은 26일 서울교대에서 학회 내 비교교육법연구포럼을 창립하고 ‘일본 국립대학법인화 관련 법률 검토’를 주제로 첫 모임을 가졌다.
2005-03-24 15:13이상윤 한남대 총장은 22일 중국 연변 과학기술대학(총장 김진경)에 PC 90대를 기증했다.
2005-03-24 15:13이원희 한국스카우트연맹 총재는 24일 연맹회관에서 2005년 정기 전국총회를 개최했다.
2005-03-24 15:13김걸 서울시교육연수원 원장은 개원 30주년을 맞아 ‘서울교육연수원 30년사’를 발간했다. 1975년 ‘서울특별시학생수련원’으로 개원, 76년 ‘서울교육원’으로 기관명을 변경해 학생수련, 교직원 교육을 병행하다 88년 학생교육원이 별도로 개원하면서 서울시교육연수원은 교직원 교육을 전담해오고 있다.
2005-03-24 15:12서울교대 극예술연구회 ‘빈도’는 29일부터 다음달 2일까지 서울교대 사향문화관에서 제70회 정기공연을 펼친다. 이번에 무대에 올리는 작품은 베르톨트 브레히트 작 ‘서푼짜리 오페라’(연출 권윤정). 총 5회 공연이 실시되며 평일은 오후 7시, 토요일은 4시에 공연된다. 문의=이건우 011-9818-0409
2005-03-24 15:12서울시교육청은 최근 학부모 민원이 잦았던 학교급식 배식당번제를 금지하도록 일선 초등학교에 지침을 내렸다. 그러나 학부모 배식당번에 대해 문제점을 제기해온 ‘어머니 급식당번 폐지를 위한 모임’(공동대표 조주은·임나혜숙)에서는 교육청의 이번 방침에 다시 논평을 내며 반발하고 있다. 이 모임에서 실무를 맡고 있는 권오석 씨를 만나봤다. -모임에 참여하게 된 계기가 있었나. “초등학생의 아버지로서 나도 아이가 1,2학년 때에는 직접 나서서 배식 봉사활동을 했다. 그러나 이 모임에 대한 기사를 접한 뒤, 의무교육인 초등학교에서 전체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급식의 학부모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느꼈고 이를 바로잡기 위해 활동을 시작했다. 작년 10월쯤 뜻이 같은 사람들을 중심으로 인터넷 까페가 만들어져 현재 300여명이 활동하고 있다.” -서울시교육청의 ‘초등학교 저학년 배식지도’에 대한 반대논평을 냈는데. “교육청은 ‘학부모 부담을 최소화’하겠다고 했는데 폐지가 아닌 최소화는 실효성이 없다. 교육청의 대안은 고학년 학생 참여, 종교단체 등 외부 자원봉사자 동원, 유급인력 채용이다. 그러나 고학년이 급식봉사를 하게 되면 고학년의 불만이 생길 수 있고 자녀들의
2005-03-24 13:07“시청자들에게 1점이라도 더 좋은 평가를 받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권영만 EBS 사장은 22일 파이낸스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지난해 다큐페스티벌, EBS 스페이스, 문화사 시리즈 등은 대외적으로 많은 성과와 의미가 있었다”면서 “수능강의 방송도 여러 시행착오를 거쳤지만 올해는 작년 경험을 바탕으로 안정적으로 꾸려나가겠다”고 밝혔다. 특히 수능 방송에 대해서는 “사교육비 경감이라는 민생정책에서 시작된 것이지만 소외계층에게 평등한 교육기회를 제공하는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도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 자리에서 권 사장은 EBS 중장기 과제에 대한 비전도 밝혔다. 교육부와 공동으로 추진하는 국가인력자원개발계획(NHRD)을 통해 자기학습을 위한 영상 데이터베이스를 마련, 교사와 학생 등 누구나 사이트에 접속해서 자료를 볼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온-오프라인을 연계한 직업채널 개설도 하반기경 준비작업을 마치는 대로 선보일 계획이다. 지상파DMB와 관련해서는 “교육과 미디어의 융합은 국가발전과 사회통합 면에서 매우 중요하고 큰 역할을 한다”면서 “새 도시를 마련하면 상가 외에 학교와 도서관도 짓는 것처럼 이미 상업적 콘텐츠가 많은 현재 상황에선
2005-03-23 10:04김진표 교육부총리는 21일 공석인 장관정책보좌관(2급 상당)에 홍국선 서울대 재료공학과 교수(48)를 파견 발령 냈다. 그 외 교육부에는 김동환(4급) 정책보좌관이 있다. 홍국선 교수는 서울대 공대 교수직을 수행하면서 2003년 서울대산학협력단을 발족해 단장을 역임해 온 인물로, 이공계 활성화와 교육계의 새 화두인 대학구조개혁에 역량을 발휘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그를 21일 교육부 집무실에서 만났다. 공대 교수 특성상, 이공계와 실업고, 전문대에 대해서는 깊은 전문성과 남다른 문제의식을 보여줬지만 초중등교육에 대해서는 많은 언급이 없었다. -언제부터 출근했나 "4일 전화를 받고, 5일 장관 면접을 봤다. 10일부터 교육부에 나왔다"(홍 보좌관은 21일 정식 파견발령을 받았다.) -김진표 부총리와는 어떤 사이인가 "전혀 일면식도 없었다. 전화를 받고 많이 망설였으나, 다른 공대 교수들이 교육부에 변화를 일으켜달라고 해서 오게 됐다." -서울대산학협력단장은 언제부터 맡았다 "2003년 서울대 산학협력단을 발족했고 그때부터 단장을 맡고 있다. 다른 43개 대학 산학 협력단 창단에도 많은 도움을 줬다." -대학구조개혁이 화두로 떠올랐는데 "통폐합등 구조개혁하지…
2005-03-22 17:27광주 교육대학교 제4대 총장에 임현모(49)교수가 17일 오전 취임했다. 신임 임 총장은 이날 광주 교육대 대강당에 취임식을 갖고 임기 4년의 공식업무에 들어갔다. 1938년 광주사범학교로 출발한 이 대학 역사상 최연소 총장이기도 한 임 총장은 "지역 특성에 적합하고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초등교원 양성의 요람이 되자"고 강조했다. 그는 또 "최근 국립대 통합논의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계획"이라며 "특수목적을 수행하는 대학으로서 기능도 충실히 할 수 있도록 모든 구성원들을 독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임 총장은 전남대 대학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광주발전연구소장, 미국 버클리대 객원교수 등을 지냈으며 현재 민주평통자문회의 자문위원, 한국국민윤리학회 광주.전남지회장, 국회 환경포럼 자문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2005-03-17 1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