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방송이 출범한지 만 2년이 지났습니다. 그동안의 성과와 앞으로의 계획은. “첫해가 수능방송을 정착시킨 해라면 2005년은 기술적 문제를 보완한 시기였습니다. 출범 당시에는 수능방송의 효과 여부, 교육에 미치는 긍정적·부정적 영향 등에 관한 논란도 많았지만 우리나라 교육의 고질적 문제인 사교육비를 상당부분 해결했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지역간·계층간 격차로 인한 교육격차 부분에서는 당초 기대에 비해 훨씬 큰 성과를 거뒀습니다. 연초에 16개 시·도교육청을 방문했을 때에도 지방에서 훨씬 수능방송에 대한 호응이 높고 ‘꼭 필요하다’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올해는 지난 2년의 노하우를 통해 수능강의를 지속적 교육정책으로 완성할 계획입니다. 양극화 해소의 초점이 교육에 있다고 본다면 수능강의를 통해 그 해법을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지난달 정책설명회를 통해 논술, 방과후 학교 등에 대한 비전을 밝혔는데. “대학입시에서 내신이 강화되는 추세이고, 초등학교부터 대학에 이르기까지 논술에 대한 중요성도 커지고 있습니다. 학교에서 배우는 것 이상의 외국어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도 강합니다. 앞으로 내신, 논술, 외국어교육을 집중 육성할 계획입니다. 이미 논술교재는 교사
2006-04-04 17:30“1300리의 아름다운 리아스식 해안을 자랑하는 태안반도의 식물 상에 관한 기록이 거의 없어 많이 안타까웠습니다." 충남 태안중 최기학(47)교감. 고향을 사랑하는 최 교감의 열정이 ‘태안반도의 식물’(디자인포스트)이라는 식물도감을 탄생하게 만들었다. 1996년 당시 과학교사였던 최 교감은 태안반도가 해상국립공원으로 지정될 만큼 수려한 자연 경관과 다양한 생물종을 자랑하지만 정작 이를 학술적으로 뒷받침할 자료가 없다는 점에 착안, 조사에 착수했다. “아이들에게 식물을 설명하면서 ‘들풀’이니 ‘들꽃’이라고 밖에 못 가르치는 것이 부끄럽더라고요. 그래서 산천을 찾아다니며 사진을 찍고, 도감을 찾아 대조하고, 천리포수목원에서 식물 생태에 대해서도 배웠습니다. 수목원에서 김종근(36) 연구원을 만난 것이 운명이었죠.” 1999년 두 사람은 의기투합해 태안반도 일대 바다와 섬을 종횡 무진했다. 곧이어 이정관(33) 정우철(31) 연구원이 합류, 최 교감을 중심으로 4인이 공동으로 책을 집필하기에 이른 것이다. 들쭉날쭉한 해안선이 1300리에 달하고 섬이 많아 조사하는 데만 8년이 훌쩍 지났다. “동격렬비열도 조사 당시 암벽에서 떨어져 목숨이 경각에 달렸던 일, 물이…
2006-04-04 09:48김세곤 서울 신천초 교사는 최근 ‘초등학생의 논증적 글쓰기 지도 방법 연구’로 홍익대에서 교육학박사학위를 취득했다.
2006-03-30 15:54홍종원 강원 춘천 봉의여중 교사는 최근 시조집 ‘노을 빛에 핀 꽃’을 발간했다.
2006-03-30 15:54김동수 충남 서산 서령고 교사는 수필 ‘어머니의 또 다른 눈’으로 제8회 청민문학상을 수상했다.
2006-03-30 15:53조춘현 대구교육과학연구원장은 최근 연구학교 우수사례를 모아 ‘일반화 자료집’을 발간, 관내 학교에 보급했다.
2006-03-30 15:52박인기 한국독서학회장(경인교대 교수)는 최근 ‘4월의 독서인’으로 다산 정약용 선생을 선정했다.
2006-03-30 15:52남승희 바른교육권실천행동 공동대표는 4일 오후 2시 서울 배재대 학술지원센터에서 ‘자립형사립고 왜 확대되어야 하나’를 주제로 정책토론회를 개최한다.
2006-03-30 15:51김태운 부산대 사범대학장은 최근 미국 애드류즈 오하이오주립대 사범대학장과 학술교류협정을 체결했다.
2006-03-30 15:51이해영 사단법인 한국검정교과서협회 이사장은 30일 전국 16개 시․도 교육청에서 추천한 고교생 120명에게 장학금 1억6천만원을 전달했다.
2006-03-30 15: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