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 임용시험 영어 실기수업 전국 확대 검토 초등 1,2학년 영어 연구학교 운영 효과성 검증 지난 2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원장 정강정)은 영어교육정책 방향 설정 및 개선안 수립을 위해 영어교육정책연구센터를 설립했다. 교사 양성에서부터 교수학습에 이르기까지 말하기와 쓰기 위주로 총체적 혁신을 이루겠다는 포부를 밝힌 진경애(44) 센터장을 만났다. - 센터 출범을 축하드립니다. 영어교육에 대한 국가적 관심에 비하면 좀 늦은 감도 있는 것 같습니다. 센터의 주 업무는 무엇인가요. “우선 영어 교사 양성 및 선발 기준 혁신 업무를 담당할 것입니다. 사범대·교육대학원 등 양성과정부터 영어구사력과 영어수업능력이 우수한 영어교사를 선발할 수 있도록 영어교사 임용시험 내용 및 체제를 개선하려합니다. 영어수업 대회 개최를 통해 교사의 영어 수업 능력 향상을 도모할 것입니다. 평가방식도 개선합니다. 읽기와 듣기 중심의 평가 방식에 말하기와 쓰기 평가 방식을 추가해 수업 내용을 개선코자 합니다. 초등 1,2학년 영어 연구학교 운영 효과성 검증과 교내 English-zone 확충, 원어민 교사 선발・채용・평가 등도 계획하고 있습니다.” - 교사 임용 및…
2006-08-14 09:51사단법인 한국검정교과서협회는 27일 총회를 열고 신임 이사장에 정영선(鄭永宣) 전 교육부 정책홍보관리실장을 선임했다. 취임식은 내달 2일. 한국검정교과서협회는 중·고등학생들의 검정교과서를 적기에 생산·공급하기 위해 1982년에 설립되었다. 정 이사장은 경남 하동 출신으로 건국대 행정학과를 졸업한 후, 울산광역시 부교육감, 교육부 교육자치지원국장, 공보관, 정책홍보관리실장 등 30여년을 교육부에서 근무했다.
2006-07-27 16:16교육경쟁력 확보를 통한 선진화를 추구하는 전ㆍ현직 교육자와 학자, 학부모들의 모임인 '교육 선진화운동본부'가 26일 오후 서울 중구 전국은행연합에서 발기인대회를 갖고 정식 출범했다. 이명현 발기인 대표(前 교육부 장관)는 "교육의 내용을 다양화하고 운영은 자율과 책임에 맡기며 암기와 주입식이 아닌 문제해결 능력과 창의력을 개발하는 게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이라며 "우리 단체는 교육의 새 패러다임을 전파하고 경쟁력을 키우도록 다양한 목소리를 내겠다"고 밝혔다. 다음은 이명현 대표와의 일문일답. --교육선진화본부 창립을 추진한 계기는. ▲ 교육부 장관을 할 때부터 우리 교육체제를 정보화, 세계화 시대에 걸맞게 바꿔야 한다고 꿈꿔왔다. 노무현 정부가 들어서면서 교육분야의 혼란이 급증, 그대로 뒀다가는 큰일 나겠다는 생각이 들어 모임 구성을 추진했다. --현 교육상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 ▲ 전교조와 386세대가 청와대에 앉아서 교육정책을 흔들어 정보화 사회로 제대로 못 가고 있다. 사람의 능력이 다양한데 자꾸 평준화시키려니까 능력 발휘가 안되는게 아니냐. 정부가 자꾸 교육시장에 개입하고 규제책을 내놓을게 아니라 자율성을 길러줘야 한다. --교육선진화본부의 이
2006-07-26 21:10◇승진 ▲총무팀장 정영신 ▲평가분석팀장 서승광 ◇전보 ▲경영혁신실장 김상호 ▲예산정책실장 백성기 ▲총무지원실장 이관용▲고객만족센터장 김순배 ▲중부회관장 김수영 ▲호남회관장 김준용 ▲연금지원팀장 박복춘 ▲급여재심팀장 권형근 ▲기획예산팀장 이영조 ▲경영평가팀장 문성근 ▲회계팀장 정응화 ▲사업개발팀장 나선국 ▲심사팀장 김용준 ▲자료관리팀장 장영설 ▲주식운용팀장 이민우
2006-07-25 16:15충북도교육청이 처음 시행하는 대학생 귀향 멘토링제가 100명의 대학생이 참가한 가운데 도내 82개 중학교에서 운영된다. 23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여름방학을 맞아 '모교 출신 대학생 멘토링제'를 운영하기로 하고 각 지역교육청별로 참가 신청자를 모집한 결과 충주 10명(8교), 제천 9명(7교), 청원 11명(9교), 보은 9명(7교) 등과 특수학교인 청주맹학교와 충주성모학교에도 3명이 지원, 모두 82개 학교에 100명이 지원했다. 도교육청은 그동안 청주교육대 등 도내 대학들과 지역교육발전을 위한 협약 형태로 학습지도와 특기적성 지도 및 부진아 지도 등의 학습지원을 해 왔으나 올핸 모교 출신 대학생 멘토링제를 도입, 방학 중 귀향하는 대학생을 출신 중학교에 보내 16일 동안 1일 2시간씩 학습상담과 진로지도를 해주고 꿈과 용기, 희망을 심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교육청은 귀향 멘토링제에 소요되는 비용을 지원하고 면 단위 이하 지역의 저소득층 중학생이 희망한 경우 2-4명이 소규모 그룹을 형성, 선배 대학생과의 인간적인 만남과 교류를 갖게 해주기로 했다. '모교 출신 대학생 멘토링제'는 계층간 교육격차 해소는 물론 대학생의 지역사회에 대한 봉사 및 실습기회를
2006-07-23 08:25◇제1선거구(천안, 아산, 연기) ▲곽무용(郭武勇.61.공무원) ▲김고원(金高元.63.상명여대 강사) ▲김지철(金知哲.54.교사) ▲김창화(金昌和.65.무직) ▲송규행(宋圭幸.63.나사렛대 교수) ▲유승호(柳承鎬.63.무직) ▲이성구(李聖九.63.무직) ▲이인원(李仁遠.63.무직) ▲이창구(李昶求.65.호서대 강사) ▲임재광(林栽光.49.공무원) ▲진태화(陳泰和.65.무직) ◇제2선거구(서산, 태안, 당진, 홍성, 예산, 청양) ▲이강화(李康花.66.교육위원) ▲최우범(崔禹範.66.교육위원) ▲임종국(林鍾國.65.무직) ▲채광호(蔡光浩.62.교수) ▲김보환(金甫煥.55.한국청소년문화진흥원 대표이사) ▲김한국(金漢國.50.교육위원) ▲최기택(崔基澤.46.㈜서룡 대표이사) ◇제3선거구(공주, 보령, 논산, 서천, 부여, 금산) ▲고성환(高成煥.68.교육위원) ▲남우직(南祐直.66.교육위원) ▲서재남(徐載男.65.여.무직) ▲유영빈(劉永彬.58.교원) ▲이영복(李永福.64.무직) ▲이은철(李殷哲.62.교원) ▲장광순(張光淳.65.무직) ▲전병서(全炳瑞.61.교원)
2006-07-21 17:30서울대는 신임 부총장에 김신복(59) 행정대학원 행정학과 교수를, 교무처장에 김완진(52) 사회대 경제학부 교수를 각각 임명했다고 21일 밝혔다. 김 신임 부총장은 1978년 서울대에 부임한 뒤 교무처장과 행정대학원장 등을 지냈으며 2002~2003년 교육인적자원부 차관을 역임했다. 김 신임 교무처장은 1989년 서울대에 부임한 뒤 사회대 교무부학장과 입학관리본부장 등을 지냈다. 이들의 임기는 23일부터 2008년까지 2년이다.
2006-07-21 10:22한국교총은 지난 달 선임·수석교사 신설 법안을 확정, 발표한 바 있다. 교사 자격을 2정→1정→선임→수석교사로 세분화하고 교수 직렬을 관리 직렬과 분리해 이원화하는 내용을 담은 것이었다. 지난 10년간 수석교사제를 실시해온 서울 이대부속초등교(교장 조연순)의 수석교사제는 교총의 안과는 조금 다르다. 그러나 도입여부를 계속 미루고만 있는 정부에 수석교사의 필요성을 확실히 각인시킬만큼 잘 운영되고 있었다. 3대 수석교사인 채제숙(48) 교사를 만났다. - 수석교사제가 언제부터 실시되고 있나요. “1997학년도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지금까지 이석(1997~98), 허계옥(1999~2000) 선생님을 거쳐 제가 2002년부터 4년째 수석교사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 수석교사의 역할은 무엇인가요. “수석교사의 임무는 담임교사 및 교과담당 교사와 함께 전 학년의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그 운영을 지원합니다. 이를 위해 12월부터 신년도 2월중 학교 교육계획 위원회의를 소집하고 협의를 통해 학교교육과정을 편성합니다. 교사의 수업기술 방법 및 자료 개발을 위해 교사들과 협의하고 현장 연구와 교내 연수를 계획하고 지원합니다. 또 신임교사 연수 및 장학, 교생실습의 계획 및
2006-07-18 17:33정영택 영훈고 교장(한국예술가곡연합회장)은 13일 오후 7시30분 건국대 새천년관에서 청소년과 함께하는 생활가곡콘서트를 개최한다. 입장료는 무료.
2006-07-06 14:51정기언 전 교육인적자원부 차관보는 최근 열린 동신대이사회에서 제5대 총장으로 선임됐다. 정 신임총장은 대통령교육비서관, 서울시부교육감을 역임했다.
2006-07-06 14: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