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임 부회장(전북 삼례초 교사) ▲신남철 충북교총 회장(충북 죽림초 교장) ▲권용락 이사(대구월암초 교사) ▲신예미 이사(춘천 강원애니고 교사) ▲김정자 이사(진주혜광학교 교감) ▲고연숙 이사(제주교육과학연구원 교육연구관)
2011-03-08 10:04
심충현 경기 은계초 교장은 최근 정년퇴임을 앞두고 ‘허만선생의 교단일기’를 펴냈다.
2011-03-08 10:04
최재림 괴산 청안초 교감은 최근 정년퇴임기념으로 첫 번째 시집 ‘청풍에 명월하고’를 펴냈다.
2011-03-08 09:58
김상용 부산교대 총장은 최근 2011년도 부산·울산·경남·제주지역대학교 총장협의회장으로 선임됐다. 임기는 2012년 2월말까지.
2011-03-08 09:56
김영길 한동대 총장은 2일 대교협 제17대 회장에 취임했다. 임기는 2012년 4월 7일까지.
2011-03-08 09:53
세계 최고 수준의 한국 교육열, 누구나 전문가인 한국의 교육문제를 어떻게 바라보고 해결해야 할까. 이런 질문에 해답을 주는 책이 있다. 바로 이종각 강원대 교수의 신간 ‘교육열을 알아야 한국교육이 보인다’(이담북스)이다. 한국형 교육경쟁과 교육열에 주목하고 심층적으로 연구해온 이 교수는 신간에서 교육열을 바라보는 사회의 근본적인 시각과 패러다임이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교육열은 억제하고 규제해야 할 대상이 아니라 한국교육을 움직이는 핵심이라는 것. 그래서 이제는 한국 교육의 문제를 ‘교육열 경영’으로 풀어야 한다고 말한다. 이 교수는 “세계에서도 높이 평가하고 있는 한국의 교육열은 교육을 움직이는 힘이자 우리 국민이 갖고 있는 에너지”라며 “유독 국내에서만 비판의 대상이 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그동안 교육열이 문제로 여겨졌던 것은 교육열 자체의 문제가 아니라 교육열의 발산이 잘못된 방향으로 흐르게 했던 한국의 교육 환경 때문”이라며 “우리 교육의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교육열의 흐름을 어떻게 긍정적이고 건전한 방향으로 유도해야 할 지 고민하고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교육열 문제에 대해 대중과 소통하고 싶어 책을 발간했다는 이 교수는 ‘교육열 유통…
2011-03-03 18:36
김동복 전북 완주교육지원청 교육장은 23일 완주봉서초 강당에서 41년 교직생활을 마감하는 수업을 열었다. 김 교육장은 수업전문성 신장과 수업공개 풍토 조성을 위해 기념수업을 하게 됐다고 밝혔다.
2011-02-28 12:51
김경곤 군산영광여고 교감은 최근 군산대에서 논문 ‘양자역학적 파속의 동역학적 연구와 그 응용’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김 교감은 논문을 통해 역조화 퍼텐셜 장벽의 정확한 해인 가우시안 파속을 구하여, 초기운동량에 관한 확률밀도 함수의 투과시간, 파속의 시간 전개와 시간-의존 외부 유도 진동 퍼텐셜의 투과 과정 등을 연구했다.
2011-02-28 10:59
전국시·도교총사무총장협의회(회장 이홍우)는 18일 제주교총 회의실에서 2011년 회의를 열었다. 안양옥 교총회장은 불공정 교장공모제 저지, 주5일수업 조속 실시 등 주요 현안을 설명하고 협조를 당부했으며, 이에16개 시·도 사무총장들도 힘을 모으기로 했다.
2011-02-28 10:58
한미란 전국보건교사회장(이화여고 보건교사)은 24일 한국교총 회관에서 제25회 정기대의원회를 열고, 2010년도 사업 및 결산 보고, 2011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을 심의했다.
2011-02-28 10: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