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은 8일 "초등학교 교원 임용시험때 경인교육대 경기캠퍼스 학생들에게 부여해온 가산점을 8점에서 5점으로 축소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아예 폐지할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도 교육청은 "일부 경기캠퍼스 학생 등에게 가산점이 폐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는 사실이 아니다"라며 "법적으로 부여할 수 있도록 돼있는 가산점을 도 교육감이 폐지할 이유가 없다"고 덧붙였다.
2005-09-08 20:53
한국교총과 교육부는 8일 오전 광화문 정부종합청사 대회의실에서 2004년도 하반기와 올 상반기 단체교섭을 시작하는 본 교섭을 개최했다. 윤종건 교총회장과 김진표 교육부총리등을 포함하는 양측 대표들이 참여한 자리에서 교총은 주 5일제 수업 전면 실시 등을 포함한 79개항을 요구하고 교육부가 성실하게 합의할 것을 촉구했다. 교총은 교육여건 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육재정이 확충돼야 한다며 노무현 대통령의 선거공약인 GDP 대비 교육재정 6% 확보 약속을 이행하라고 요구했다. 아울러 주당 표준수업시수 법제화 및 완전한 주 5일제 수업을 조속히 도입하라고 촉구했다. 교원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서 우수교원확보법 제정을 추진하기 위한 공동기구를 구성 하고, 교원연수 국가 책임제 도입, 교원연수·연구실적 학점제 정착, 정부 차원의 교원연수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2000년 하반기 교섭에서 합의한 한국교총 교원종합연수원 설립 재원을 지원하라고 촉구했다. 각종 안전사고로 인한 소송에서 교권을 보호하고 교원들이 안심하고 교육활동에 전념할 수있도록 교육청이 소송을 지원할 수 있는 법적인 근거를 조속히 마련할 것도 촉구했다. 교원 자녀의 대학학비
2005-09-08 18:19장애인 복지대책 주무 부처 중 하나인 교육인적자원부의 장애인 고용비율이 법정 의무비율의 절반 수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위 소속 이주호(李周浩.한나라당) 의원이 8일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교육부는 법정 장애인 의무고용 인원 8명 중 4명만 고용, 의무고용 충족률이 50%에 불과했다. 16개 시.도교육청 중에서는 경기, 인천, 강원, 경북 등 4개 교육청이 의무고용비율을 못채웠다. 또 전국 50개 국.공립대 가운데 서울대, 전북대, 충북대 등 16개교(32%)가 장애인 의무고용비율을 충족하지 못했으며, 이 중 목포대, 한국해양대, 삼척대 등 10개교는 단 한 명의 장애인도 고용하지 않았다. 특히 서울대는 법정 장애인 의무고용인원인 10명 중 2명만을 고용, 국.공립대 중에서도 장애인 고용율이 낮은 수준에 속했다. 이 의원은 "장애인 교육시설 확충 등 장애인 복지에 앞장서야 할 교육부가 장애인 고용에 인색한 것은 심각한 문제"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국내 공공기관들은 5곳 중 1곳 꼴로 장애인을 전혀 고용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국회 환경노동위 소속 배일도(裵一道.한나라당) 의원이 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정부 산
2005-09-08 17:49
학급당 학생수 초등 43명, 중등 46명, 평균 교원 1인당 학생수 23.82명, 확보할 교원수 8000명…. 전국 최하위인 경기도 교육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경기교총, 전교조 경기지부, 경기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등 경기지역 14개 시민·사회단체가 주축이 돼 ‘경기도 교육여건 개선을 위한 도민운동본부’(이하 운동본부)를 출범시켰다. 운동본부는 8일 도교육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교육여건개선을 위한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운동본부는 출범선언문에서 “경기도는 학급당 학생수 1명을 줄이는데 1조원이 필요하고 앞으로 경기도 학생수가 더 이상 늘어나지 않는 것을 전제로 교육여건을 서울 수준으로 확보하는데 필요한 교사수가 8000명, 교실을 짓는데 필요한 예산이 5조원이지만 현실은 매년 필요한 교원과 예산을 확보하기도 어렵다”고 주장했다. 운동본부는 “경기도의 교육여건이 계속 악화되는 원인은 불합리한 지방재정 교부금 배분방식과 행정자치부의 교육공무원 정원 통제, 건설교통부의 그린벨트 등의 규제 때문”이라며 “경기도 교육을 위해 특별 예산 지원이 있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운동본부는 “교육부가 제시하는 미봉책으로는 경기교육환경이 지금보다 더 악화되는 것 초자 막기…
2005-09-08 17:41“유아교육법시행령 폼으로 만들었나” “종일반 교사 0명, 영양교사 1000명이 말이되나.” 행자부 홈피가 유치원 교원들의 분노에 찬 목소리로 가득찼다. 이들은 최근 행자부가 제출한 2006년 ‘교원정원 검토안’에서 공립유치원 종일반 담당교사를 단 한명도 배정하지 않은 데 대해 “저출산 대책의 하나로 사회적 요구가 높아지는 공립유치원 종일반을 완전히 무시한 것”이라고 반발했다. 교육부는 최근 행자부에 내년 교원증원 규모를 2만 2709명으로 신청했으나 행자부는 6687명만을 반영했다. 그러면서 단 1명의 종일반 정교사 배치 없이 기존의 168개 학급 외 신설학급 216학급에도 모자라는 105명의 교사만을 반영했다. 반면 영양교사는 1000명을 반영해 유치원 교사들의 반발을 더욱 부추겼다. 이들 교원은 “영양교사를 1000명이나 선발하는 것이 공립 유치원 교사를 뽑는 일보다 중요하며 그렇게 많은 인원이 필요한지 의문”이라며 “유아교육법을 통과시켜 종일반 교사 배치기준을 마련해 놓고 이행하지 않으면 이 법이 무슨 필요가 있느냐”고 비난했다. 또 한 교사는 “저출산의 원인은 아이를 낳아서 영유아기의 아동을 보육하고 교육할 수 있는 보육과 공교육 체제가 마련돼 있지…
2005-09-08 17:33주요 대학 총장들과 시ㆍ도 교육감들이 한자리에 모여 2008학년도 이후 대입제도 등 교육현안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한다. 교육혁신위원회는 9일 오전 세종클럽에서 '학교교육 발전을 위한 대학 총ㆍ학장, 시도교육감 협의회'를 개최한다. 회의에는 교육부총리와 교육혁신위원장을 비롯해 15개 시도 교육감, 대학교육협의회 회장단 및 이사회 대학의 총장, 지역별 전문대학협의회장 등이 참석한다. 교육혁신위는 회의를 통해 2008학년도 대입 등 교육 현안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 갈등 요인을 줄여 나갈 방침이다.
2005-09-08 17:13서울대는 8일 '강남 학생이 서울대의 60%'라는 노무현 대통령의 최근 발언과 관련, 강남 학생의 실제 비율은 12%라고 밝혔다. 이날 서울대 입학관리본부에 따르면 2005학년도 이 학교 전체 신입생에 대한 서울 강남지역(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출신 학생 비율은 12.2%였다. 모집 유형별로 보면 정시모집의 15.7%, 지역균형선발의 3.4%, 특기자전형의 6.3%가 강남지역 학생들이었다. 전체 신입생 중 서울 비강남지역 학생들의 비율은 25.4%로 강남지역의 2배가 넘었으며 정시모집의 23.3%, 지역균형선발의 22.3%, 특기자전형의 42.1%를 서울 비강남지역 학생들이 차지했다. 서울대 전체 신입생 중 서울 강남지역 학생들의 비율은 1994년 14.5%, 1995년 12.2%, 1996년 11.2%, 1997년 11.8%, 1998년 9.7%, 1999년 12.4%, 2000년 10.3%, 2001년 11.2%, 2002년 12.7%, 2003년 11.3%, 2004년 11.4%였다. 서울 비강남지역 학생들의 비율은 같은 기간에 1994년 29.9%, 1995년 29.9%, 1996년 31.3%, 1997년 30.3%, 1998년 29.5%, 199
2005-09-08 15:51전남도교육감 선거가 오는 10월 6일 치러진다. 전남도교육청은 8일 전남도선거관리위원회와의 협의를 거쳐 10월 24일로 임기가 만료되는 전남도교육감 선거를 오는 10월 6일 치르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현행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에는 차기 교육감 선거는 현직 교육감의 임기 만료 30-10일 전에 치르도록 규정돼 있다. 이에 따라 전남도선관위는 오는 15일 선거공고를 거쳐 26일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후보자등록을 실시하게 되며 후보자들은 후보등록 후부터 선거일 전날까지 본격적인 선거운동을 할 수 있다. 전남도선관위는 선거공고 이전에 입후보 예정자나 선거사무책임자 등을 대상으로 입후보 설명회를 갖고 선거 절차 및 선거운동 범위 등에 대한 교육을 실시할 계획이다. 선거에는 전남지역 초.중.고교 학교운영위원 8천100여명이 참가하며 1차 선거에서 한 후보가 유효투표의 과반수를 얻지 못하면 1위와 2위 후보가 10월 8일 결선 투표를 벌이게 된다. 현재 교육감 후보로는 현 김장환 교육감을 비롯, 정찬종 전 무안교육장, 조춘기 전남도교육위원, 이천만 전 여수 중흥초 교장, 김진환 전 전남교원연수원장, 박봉주 전 완도교육장 등 6-7명이 거론되고 있다.
2005-09-08 15:5018일은 민족의 대명절인 추석이다. 그런데 1일자로 발령받은 신규교사(9호봉)도 명절휴가비를 받을 수 있을까. 또 추석 현재, 출산휴가 중인 교사도 명절휴가비를 받을 수 있을까. 대답은 Yes다. 공무원보수규정 제18조의 3(명절휴가비)에 따르면 ‘설날 및 추석날 현재 재직중인 공무원에 대해서는 명절휴가비를 지급한다’고 규정돼 있다. 따라서 16일자로 초임 발령 받은 교사도 받을 수 있으며, 재직으로 간주되는 출산휴가자도 받을 수 있다. 육아휴직자는 ‘휴직’ 중이므로 받을 수 없다. 그러나 연가․병가․공가․특별휴가 및 공무상질병으로 인한 휴직기간 중에는 ‘공무원수당 등의 업무처리지침’ 상 예외가 인정돼 명절휴가비가 지급된다. 물론 이 경우를 제외한 기타의 휴직 및 직위해제, 정직기간에 지급기준일인 명절이 포함된 경우는 지급되지 않는다.
2005-09-08 15:39중등학교에서 전공과 다른 교과목을 가르치는 상치교사 숫자가 전국적으로 2300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 상치교사는 한문, 컴퓨터, 도덕에 집중돼 해당 과목의 수업 부실이 우려된다. 한나라당 이군현 의원이 최근 교육부 국감자료로 받은 ‘전공 불일치 교원현황’에 따르면 중학교의 경우, 전공과 다른 과목을 가르치는 교사 수가 1427명에 달했고 고교는 모두 892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시도별로는 경남이 679명(중 445, 고 234)으로 가장 많았고 강원 335명(중 147, 고 188), 전남 303명(중 211, 고 92), 경북 294명(중 185, 고 109)이 뒤를 잇는 등 도서벽지 소규모 학교가 많은 시도에 상치교사가 많았다. 이밖에 부산 157명(중 136, 고 21), 서울 125명(중 43, 고 82), 인천 100명(중 66, 고 34), 대구 53명(중 49, 고 4), 울산 27명(중 23, 고 4), 경기 90명(중 13, 고 77), 충북 68명(중 55, 고 13), 충남 35명(중 16, 고 19), 전북 22명(중 10, 고 12), 제주 31명(중 28, 고 3)으로 집계됐다. 광주, 대전은 상치교사가 한 명도 없
2005-09-08 1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