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 강릉대학교와 원주대(2년제)가 내년 3월 1일자로 통폐합하는 계획이 교육인적자원부에 제출돼 있는 가운데 최근 강릉지역에서 양교 통합에 반대하는 움직임이 본격화 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강릉대.원주대 통합추진위원회는 2007년 3월 1일자로 강릉대학교로 통폐합 한 뒤 3월 2일 교육부에 교명 변경을 신청키로 했으며 통합대학 정원 배정은 물론 일부 학과의 이전 합의 등 급물살을 타고 있다. 2005년 4월 양 대학이 통합추진위 1차 회의를 가진 것을 시작으로 같은 해 9월 찬반투표가 실시됐고 통합 교명이 강원제일대(가칭)로 거론되는 등 급물살을 탔던 양교 통합이 대학 내부에 이어 지역사회에서의 역풍으로 이어져 내년 통합대학 출범까지는 적지 않은 진통이 따를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통합과정에서 강릉대 관광경영학과 교수들이 통폐합에 반발, 한때 단식농성을 벌였고 원주대 관광통역과 학생들도 학과 통폐합을 반대하며 철야 농성을 하는 등 내부 갈등이 고조돼 왔다. 이런 가운데 강릉문화원과 강릉상공회의소, 강릉시 번영회, 강릉여성단체협의회 등 강릉지역 20여 개 사회단체가 교육인적자원부와 대통령비서실에 통합 반대 건의서를 제출하는 등 반대 움직임이 거세지고…
2006-08-01 10:18'학교 바로세우기 운동'을 전개하면서 대학 운영의 문제점을 지적한교수에 대해 해교(害校)행위를 했다며 징계한 것은 부당하다는 판결이 나왔다. 서울행정법원 행정1부(서기석 부장판사)는 대학교수 J씨가 "감봉 3월의 소청심사 결정을 취소해 달라"며 교육부를 상대로 낸 교원징계소청심사결정 취소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했다고 1일 밝혔다. J씨는 2004년 모 대학 교수협의회장 선거에 출마하면서 "학사운영 주체는 교수들인데도 실무 행정과장들이 실질적인 의사결정을 주도하고 있다", "학교가 이사회 연임을 결정하면서 절차를 어겼다", "각종 공사에 회계부정이 이뤄지고 있다", "이사장은 교수를 적기에 채용하지 않아 수업에 지장이 초래되니 직무를 충실히 수행하라" 등 주장을 폈다. J씨는 교수협의회장 선거 출마 성명서와 당선 이후 발표한 성명서, 교내 현수막 등을 통해 학사행정의 전횡과 회계부정 의혹, 이사회 의결의 부당성 등을 주장했지만 오히려 학교측은 J씨의 주장이 구체적 인 사실을 적시하지 않고 막연한 의혹만을 제기해 학교 명예를 훼손하고 이사회의 도덕성에 타격을 입히는 등 해교 행위를 했다며 이듬해 해임 처분을 내렸다. 이에 J씨는 교육부에 해임 취소를 요청하는…
2006-08-01 08:2531일 울산.제주를 제외한 전국 14개 시.도에서 실시된 제5대 교육위원 선거에서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추천 후보들이 부산지부 통일교재 논란이 불러온 '북풍(北風)'의 여파로 무더기 낙선했다. 전교조는 서울에서만 7명의 단일후보를 내는 등 전국적으로 43명의 후보를 냈지만 서울 2명 등 모두 14명이 당선되는 데 그쳤다. 특히 '북풍'의 시발점이 된 부산을 비롯해 대전, 경북, 전북, 전남 등 5곳에서는 소속 후보를 단 한명도 당선시키지 못해 전교조는 이 지역에서 교두보를 잃게 됐다. 지난 2002년 제4대 교육위원 선거에서 전국적으로 35명을 추천해 이중 68.6%인 24명을 당선시켰던 것에 비교하면 전교조는 당선자 수, 추천 대 당선 비율 면에서 모두 초라하기 그지없는 성적표를 손에 쥔 셈이다. 하지만 교육계 안팎에서는 이번 선거 전부터 전교조가 고전을 면치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었다. 전교조 전북지부 김한명 정책실장은 "최근 전국적으로 교육계를 바라보는 시각과 기준이 보수화해 부진을 면치 못할 것으로 예상됐었다"며 "전교조가 앞으로 이념보다는 실질적 참교육 사업에 정진하기 위해 새롭게 태어나야 할 때"라고 말했다. 무엇보다도 전교조에 악재가
2006-08-01 08:2331일 전국 14개 시.도에서 실시된 제5대 교육위원 선거 결과에서 주목할 점은 전교조 후보 약세와 경력직ㆍ남성후보 강세로 요약되는 교육계의 '보수화 바람'에 있다. 전교조는 서울 7명 등 전국 53개 선거구(132명 선출)에서 43명의 후보를 공천했지만 부산지부 통일교재 논란이 불러온 '북풍(北風)'의 여파로 고전하면서 부산.대전.전북.전남 등 4곳에서는 단 한명의 당선자도 내지 못했으며 전국에서 14명의 후보가 당선되는 데 그쳤다. 공천자 대 당선자 비율을 살펴보면 지난 2002년 제4대 선거 때(35명 추천 24명 당선)와 비교해 절반에 불과한 32.6%의 초라하기 그지없는 성적표다. 또한 이번 선거에서는 경력직과 남성후보의 강세 또한 여전해 교육계의 보수적 성향도 변하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대구, 강원, 경남, 전북, 전남에서는 교육계에 몸담아 보지 못한 비경력직 후보들이 높은 벽을 넘지 못하고 고개를 떨궜으며 여성후보자의 경우 대전과 경기에서만 각각 2명과 1명이 당선되는데 그쳐 전국적으로 당선비율은 2.3%에 불과했다. 특히 인천과 부산, 충북에서는 제4대까지 1명씩 존재했던 여성 교육위원들이 모두 자취를 감췄다. 이번 교육위원 선거 평균투표율은…
2006-08-01 08:21한명숙(韓明淑) 총리는 31일 휴가중인 노무현(盧武鉉) 대통령과 오찬 회동을 갖고 김병준(金秉準) 교육부총리의 거취 문제를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총리는 단독 회동 형식으로 이뤄진 이날 회동에서 노 대통령에게 김 부총리에 대한 열린우리당내 사퇴요구 의견을 비롯해 그동안 각계에서 수렴한 의견을 전달한 뒤 김 부총리의 거취문제를 놓고 의견을 조율한 것으로 전해졌다. 노 대통령과 한 총리는 '선(先) 진상조사, 후(後) 조치' 라는 원칙 하에서 김 부총리 문제를 풀어나가자는 방향으로 대화를 나눈 것으로 알려졌다. 회동 후 한 총리는 1일 국회 교육위 전체회의 후 김 부총리 문제와 관련해 입장을 표명하겠다고 예고, 노 대통령과 어느 정도 의견접근이 있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총리실 주변에서는 한 총리가 김 부총리에 대한 해임건의 권한을 행사할 뜻을 밝히지 않았겠느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앞서 한 총리는 전날 열린우리당 김근태(金槿泰) 의장과 전화통화를 가진데 이어 김한길 원내대표 부부와 만찬회동을 갖는 등 여당 지도부와 잇단 접촉을 갖고 당의 의견을 수렴했다.
2006-07-31 22:0031일 전국 14개 시.도(울산.제주 제외)에서 동시 실시된 제5대 교육위원 선거결과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이 14명만의 당선자를 배출하면서 참패한 것으로 드러났다. 전교조를 비롯한 교육계에서는 최근 전교조 부산지부 통일위원회의 통일학교 행사 교재를 놓고 벌어진 이데올로기 논쟁과 전교조의 강경일변도 투쟁방식에 대한 비판여론을 참패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날 연합뉴스가 자체 파악한 자료에 따르면 전교조는 전국 53개 선거구에서 132명의 교육위원을 선출하는 이번 선거에 모두 41명의 단일후보를 공천했다. 그러나 개표결과 전교조 단일후보 가운데 당선자는 34.1%인 14명에 불과했다. 전교조가 지난 2002년 7월 실시된 전국 제4대 교육위원 선거에서 35명을 추천, 68.6%인 24명의 당선자를 배출한 것과 비교할 때 당선비율은 절반 수준으로, 당선자는 10명 감소한 것이다. 지역별 전교조 후보 당선자를 보면 7명이 출마한 서울에서 2명, 5명이 출마한 경기도에서 2명, 3명이 출마한 인천에서 2명, 역시 3명이 출마한 경남에서 2명이 당선됐다. 또 광주에서는 2명의 후보가 모두 당선됐으며 대구와 강원, 충북, 충남에서도 1명씩 교육위원회 입성에
2006-07-31 21:5931일 치러진 제5대 부산시 교육위원 선거 결과 11명의 위원이 선출됐다. 5개 선거구에 29명의 후보들이 출마해 평균 2.8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한 이번 선거에서 제1선거구에는 오갑도(62.전 부산시 서부교육청 교육장), 제정환(60.부산교육연구정보원 원장) 후보가, 제2선거구에서는 김정선(56.감정평가사), 조병태(58.부산시립시민도서관장) 후보가 각각 당선됐다. 또 제3선거구에서는 강기원(61.부산시 북부교육청 교육장), 김건(65.부산시 교육위원), 최낙건(62.포천초등학교 교장) 후보가 제4선거구에서는 이명우(64.부산교육대학교 교수), 최규섭(65.부산시 교육위원) 후보가 제5선거구에서는 강신평(62.전 해운대교육청 교육장), 조선백(62.부산시교육청 교육정책국장) 후보가 각각 교육위원으로 당선됐다. 또 전교조는 현 위원 1명과 첫 출마자 1명 등 모두 2명의 후보를 냈지만 당선자는 나오지 않았다. 이날 선거에는 선거인단 7천378명 가운데 6천447명이 투표, 87.4%의 투표율을 보여 2002년 투표율(92.7%)보다 조금 낮아졌다.
2006-07-31 21:5931일 치러진 대전시교육감 재선거는 과반수를 얻은 후보자가 없어 다음달 2일 결선투표로 당선자가 가려지게 됐다. 이날 선거에서 김신호(金信鎬.53.공주교대 교수) 후보는 투표에 참여한 학교운영위원 3천250명(전체 3천413명) 가운데 48.3%인 1천570표, 이명주(李明珠.46.공주교대 교수) 후보는 29.9%인 973표, 윤인숙(尹仁淑.60.여.대전시교육청 교육국장) 후보는 21.5%인 697표를 각각 얻었다. 이에 따라 1위 득표후보인 김 후보와 2위득표자인 이 후보 간에 결선투표로 당선자가 결정되게 됐다. 대전시선관위는 결선투표를 앞두고 세(勢) 불리기를 위한 후보자 간 담합, 선거인 매수 행위 등 막판 불법 선거운동을 막기 위해 24시간 밀착 감시활동을 벌이기로 했다. 한편 이날 투표율은 95.2%로 2004년 12월 치러진 교육감선거의 91.4%에 비해 3.8%P 올랐다.
2006-07-31 20:1731일 치러진 5대 전북 교육위원 선거에서 신국중(愼國重.62.전 전주교육장) 씨 등 9명이 선출됐다. 전북도 선거관리위원회는 이날 교육위원 선거 결과 제1권역(전주)에서 신 씨와 박규선(朴圭善.61.전주교육장) 씨가 각각 당선됐다고 밝혔다. 제2권역(군산.김제.부안)에서는 김중석(金中錫.58.부안 교육장)ㆍ박용성(朴鏞成.61.교육위원)씨, 제3권역(익산.완주.진안.장수.무주)에서는 진교중(陳敎中.59.익산교육장)ㆍ채수철(蔡洙喆.65.교육위원)ㆍ최병균(催炳均.61.무주교육장) 씨가 각각 뽑혔다. 정읍, 남원, 임실, 순창, 고창 지역인 제4권역에서는 김환철(金煥喆.63.교육위원)ㆍ김규령(金奎領.54.배영고 교장)씨가 각각 선출됐다. 학교운영위원 7천445명을 선거인단으로 치러진 이번 선거에서는 6천934명이 한 표를 행사해 93.14%의 투표율을 보였다.
2006-07-31 20:1631일 선출된 전북 교육위원 9명중 전.현직 교육장 6명이 무더기로 당선되면서 교육 행정을 견제하는 제 역할을 할 수 있을지를 놓고 우려의 목소리가 거세게 일고 있다. 나머지 3석을 놓고도 현직 교육위원중 2명이 재선에 성공한 반면 전교조 후보들은 완패하면서 '물갈이'에 실패한 점도 이러한 우려를 가시화하고 있다. 31일 전북도 선거관리위원회와 도 교육청 등에 따르면 제5대 교육위원 선거 결과 9명의 당선자중 6명이 전.현직 교육장인 것으로 나타났다. 현직 교육장으로는 박규선 전주 교육장과 김중석 부안 교육장, 진교중 익산 교육장, 최병균 무주교육장 등 출마했던 4명이 모두 당선됐다. 전직 교육장 출신 중에서도 신국중 전(前) 전주 교육장과 채수철 전 익산 교육장이 각각 당선되면서 9석중 6석을 전.현직 교육장이 싹쓸이하게 됐다. 4대 선거에서는 교육장과 전교조, 교수 출신 후보가 2명씩 선출된 바 있다. 이에 따라 교육 행정을 견제.감시하고 1조6천억원에 달하는 전북 교육 예산을 심의해야 하는 교육위원회가 제 역할을 할 수 있을지를 놓고 우려의 목소리가 일고 있다. 특히 교육 당국의 행정 사무를 감사ㆍ조사해야 하는 교육위원 대부분이 불과 한달 전까지도 교육
2006-07-31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