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가장 경쟁력 있는 상품으로 꼽히는 대학교육을 통해 연간 155억 달러를 벌어들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사실은 미국 국제교육연구소(IIE)가 2007-2008학년도 미국 대학의 외국인 학생 현황을 종합해 17일 발표한 연례 '오픈 도어스' 보고서에서 밝혀졌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 학생 수는 1년 전보다 7% 늘어난 62만3천805명이며, 이들이 미국 경제에 연간 155억 달러를 이바지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여기에는 유학생의 학비와 생활비 106억 달러 이외에 동반가족의 생활비 등이 포함됐다. 주별로는 유학생이 가장 많은 캘리포니아 경제에 가장 많은 24억5천만달러를 기여했고 다음으로 뉴욕 19억5천만달러, 텍사스 10억5천만달러, 매사추세츠 10억달러 등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미국의 고등교육은 서비스 분야 최대 수출품 중의 하나"라고 평가했다. 국가별 유학생 통계를 보면 인도 출신 9만4천563명과 중국 출신 8만1천127명에 이어 한국 유학생이 세 번째로 많은 6만9천124명으로 집계됐다. 유학생이 가장 많은 대학으로는 7천189명이 재학 중인 서던캘리포니아대(USC)가 7년 연속 꼽혔고 다음으로 뉴욕대와 컬럼비아
2008-11-18 09:22일본이 국립대를 법인화한 뒤 도쿄대나 교토대 등 유력 대학과 다른 대학간에 격차가 심해진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20045년 실시된 국립대 법인화는 대학을 정부 조직에서 분리함으로써 자립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에서 이뤄졌다. 14일 아사히(朝日)신문이 전국 84개 국립대학을 상대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법인화에 따른 국립대학간 격차가 확대됐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92%인 77개대가 '확대됐다'고 답했다. 도쿄대, 교토대 등 과거 제국대학 등과 다른 대학간의 편차를 지적하는 의견이 많았다. 법인화 이후의 문제로는 73개 대학이 '운영 교부금 등 정부 예산 배분의 방식'을 들었다. 실제 국립대의 주요 재원인 교부금의 경우 올해 예산은 1조1천813억엔이었다. 이는 법인화가 실시된 2004년에 비해 600억엔 가량 감소한 것이다. 정부는 예산을 삭감하는 대신 각 대학에 대해 매년 1% 가량의 교육연구 경비 절감을 요구하고 있다. 히로시마(廣島)대학의 한 관계자는 "교부금 일률 삭감에 따라 재정 기반이 강한 구 제국대와 그렇지 못한 지방대, 교육대 간의 격차가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아사히신문은 교부금 삭감에 따라 상대적으로 재정 기반이 취약한 대학
2008-11-14 22:39호주의 사립학교들이 글로벌 금융위기에 따른 경기둔화로 구조조정에 나서기로 하는 등 홍역을 치르고 있다. 경기둔화로 부모들의 등록금 지급 여력이 감소함에 따라 사립학교들이 교사들을 해고하거나 예산을 감축하는 등 비상경영체제에 들어간 것이다. 유명인사를 많이 배출한 사립학교 힐스그래머스쿨 역시 경기둔화에 따른 타격을 직접적으로 받고 있다고 언론들이 10일 보도했다. 이 학교는 지난주 성명을 발표하고 교사 및 일반 직원들을 대상으로 구조조정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올해 무려 1180명의 학생을 모집하는 데 성공한 힐스그래머스쿨은 내년에는 50% 정도밖에는 모집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로버트 핍스 교장은 경기둔화가 학생 모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했다. 무료로 다닐 수 있는 공립학교 대신 2만호주달러(1천800만원 상당)의 등록금을 부담해야 하는 사립학교에 아이들을 보내려는 부모들이 급격히 줄어들었다는 것. 이에 따라 내년 교사 및 일반직 직원 수의 적정선을 놓고 분야별 책임자들과 논의 중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경기위축에도 불구하고 590만호주달러(52억원 상당)의 스포츠시설을 내년 4월까지 완공하기로 하는 등 전체적인 학교 운영에
2008-11-10 11:55"합격의 열쇠는 객관식 문제가 아니라 논술력을 키우는 것입니다" 지난 1일 일본 도쿄(東京)도 스기나미(杉竝)구 도립니시(西)고교의 시청각실에서는 수도권 중3 학부모 300여명이 모여 한 교사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있었다. 이 학교 교사가 학부모들에게 입시 포인트를 설명하는 것으로 일부 도립고교에서 개최되고 있는 '고교 입시문제 설명회'의 한 장면이다. 최근 몇년새 일본 공립고교들 가운데 전국 공통 입시와는 별도로 독자적인 입시를 실시하는 학교가 늘고 있는데 따라 이런 장면들을 심심치 않게 목격할 수 있다고 아사히(朝日)신문이 9일 소개했다. 그동안 도립고교의 경우는 전국 공통입시를 통해서 신입생을 선발했으나 도쿄도가 지난 2001년 개별 시험을 인정했다. 공동 입시문제의 경우 난이도가 낮아 변별력이 낮은 만큼 별도 입시를 통해 성적 우수자를 선발하겠다는 의도에서다. 공통시험에 의한 선발이 신입생의 전반적인 실력 하락으로 이어졌고, 이는 우수생들이 사립고교로 몰리는 악순환으로 이어지면서 도립고교의 도쿄대나 교토(京都)대 등 우수대학 진학률이 급감한데 따른 자구책이었다. 실제 지난 1958년의 경우 도쿄대 합격자를 배출한 상위 20개교 가운데 공립학교는 1
2008-11-09 22:03파생상품, 인덱스 옵션, 투자 은행 등 일반인에게 생소했던 경제용어가 일상용어가 되고 있다. 최근들어 금융위기가 연일 매스컴에 다뤄지며 생긴 현상이다. 이러한 세계 금융위기 소용돌이 속에 독일 국민들도 경제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이와 더불어 경제 기본지식의 중요성 또한 대두되면서 공교육의 경제과목 수업 강화에 대해 논쟁까지 일고 있다. 독일 고등학교의 한 경제교사는 요즘 일간지에서 경제기사를 스크랩해 수업자료로 쓰는 일이 부쩍 잦아졌다. 최근 집에서 가족이나 친척이 노후대책으로 모아 둔 자산의 안전에 대해 걱정하는 모습을 목격해 온 학생들이 자연스레 수업시간에 현재 금융위기에 대한 원인에 대해 궁금해 하는 경우가 많아졌기 때문이다. 슈투트가르트 근교의 소도시 되핑엔의 한 인문계 고등학교는 10학년부터 ‘경제’과목을 배우고 있다. 현재 미국의 금융위기가 어떻게 되핑엔 시민의 예금, 연금, 일자리에 영향을 미치게 될 지 그 상관관계에 대해서도 배우고 있다. 경제과목 교사의 부족한 부분을 메우기 위해 외부강사를 초빙해오는 경우도 있다. 슈파르카세(독일의 대표적 은행)의 직원이 수업시간에 학생들에게 주식과 그 메커니즘에 대해 설명하기도 했다. 위의 예처럼 경제 과
2008-11-05 16:51제44대 미국 대선에서 버락 오바마 상원의원이 승리했다. 선거인단의 최종투표가 남아있지만 사실상 차기 대통령으로 확정된 셈이다. 현재 미국 교육계는 월가에서 시작된 금융위기 한파의 영향을 고스란히 받고 있다. 많은 교육구들이 막대한 경비가 들어가는 교육 사업을 아예 포기 하거나 감축, 또는 무기한 연기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오바마의 대통령 당선으로 향후 교육에 어떤 변화가 불어올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버락 오바마 후보와 공화당의 존 맥캐인 후보는 지난달 15일 텔레비전 토론회에서 각자 자신들의 교육 정책노선을 밝힌바 있다. 뉴욕 햄스테드의 홉스트라 대학에서 열린 이 토론회에서 오바마는 교육에 대한 예산 지원 강화의 중요성, 차터 스쿨의 확대 등에 대해 언급했다. CBS News의 밥 쉬퍼(Bob Schieffer)가 국제 수학 및 과학 시험에서 낮은 성적을 기록하고 있는 미국 학생들의 학력 향상 대책에 관한 질문을 하자 오바마는 예산 지원을 해법으로 제시했다. 미국 초중고 학생들의 국제 학력 평가 성적은 그 동안 참가국 학생들의 평균 성적에도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오바마는 "현재 미국 교육에 필요한 것은 더 많은 돈과 개혁'이라고…
2008-11-05 16:32공통 핵심역량 기반 횡․종적 연계로 모든 교과 재구조화 대학 자율권 확대, 경쟁 및 책무성 강화 등 고등교육 개혁 초등 2회, 중학 졸업 시 3회 평가 후 개별 교육과정 제안 보충수업 학기 내 계속, 주 4일 방과 후 2시간 동안 진행 예술의 나라, ‘똘레랑스’(관용)의 나라, 유치원부터 대학까지 무상교육의 나라, 경쟁보다 사회주의적 평등 이상을 지향하는 나라, ‘바깔로레아’(수능)를 논술형으로 치는 나라, 고등학교에서 철학이 필수 교과이자 철학 수업 시수가 가장 많은 나라로 알려진 프랑스의 교육과정 최근 동향을 살펴본다. ■ 최근의 교육 개혁=프랑스 교육부는 미래 사회 경제의 요구에 부응하며, 미래 교육의 청사진을 모색하고자 2003년 9월 15일부터 1년간에 걸쳐 학교의 미래에 대한 전국적 토론을 주도하고 대국민 여론을 수렴했다. 지역별 공청회, 전국 토론회, 인터넷 여론 조사 등의 다양한 방식을 통해 국민의 의견을 수렴, 2004년 10월 ‘모든 학생들의 성공을 위하여’라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교육 문제에 대한 전문가적 진단을 바탕으로 장기간 사회 전반에 걸쳐 대대적으로 실시한 의견 수렴 과정을 바탕으로 한 실천적 개선안을 제안했
2008-11-04 08:44중국 베이징의 한 대학 강의실에서 학생이 교수를 흉기로 찔러 숨지게 한 사건이 발생, 충격을 주고 있다. 이 사건은 이달 들어서만 2명의 교사가 학생의 손에 목숨을 잃은 뒤에 발생한 것이어서 중국 언론들은 '문명교육의 비극'이란 사설을 싣는 등 추락한 교권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시하고 있다. 베이징에서 발행되는 신경보(新京報)는 28일 오후 6시43분께 베이징의 정법대학 창핑(昌平)분교의 201호 강의실에 정치행정대학 4학년 학생이 갑자기 들이닥쳐 강단에서 수업을 준비하고 있던 청춘밍(程春明.43) 교수를 흉기로 찔렀고 청 교수는 응급실로 옮겨졌지만 과다출혈로 사망했다고 30일 보도했다. 강의실에는 학생들 수십명이 이 상황을 지켜보고 있었고 이 학생은 교수를 2차례 흉기로 찌르고 나서 스스로 공안에 전화를 걸어 신고한 뒤 자수했다. 이 학생과 청 교수와의 관계를 비롯해 범행 동기는 즉각 알려지지 않고 있으나 일각에서는 이 학생이 자신의 여자친구와 청 교수가 가깝게 지낸 것에 불만을 품은 것 아니냐는 소문이 떠돌고 있다. 중국에서는 이달 들어서만 교사 2명이 학생들의 손에 목숨을 잃었다. 지난 4일에는 산시(山西)성의 숴저우(朔州)에서 23세 된 교사가 고등학
2008-10-30 21:25부유층이 즐기는 골프가 이번 학기부터 중국 베이징 시내 고등학교 체육시간에 배우는 정식 교과목으로 채택됐다. 중국 신경보(新京報)는 30일 베이징알(北京二)중고등학교가 국가체육총국과 공동으로 골프 과목을 시범 개설했다고 보도했다. 골프 과목을 신청한 베이징알중고교 고등학교 2학년 여학생들은 "친구들 대다수가 골프를 처음 배워본다"면서 "TV로 볼 때 동작이 우아해 보여 너무나 배우고 싶었다"고 말했다. 베이징알중고교에서 골프는 필수과목이 아니라 선택과목이다. 따라서 수업 시간에 여러 학년 여러 반이 함께 골프를 배우기 때문에 교제의 폭도 넓혀주고 있다. 베이징알중고교 체육 교사는 "골프는 새로운 운동으로 비록 보급성이 강한 운동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체육 교과목으로 선택해 학생들에게 선택의 폭을 넓혔다"고 말했다. 중국 국가체육총국은 전국 몇개 성과 도시에서 개별 학교를 시범학교로 선정해 연습기구와 골프채 등을 무상으로 제공하고 골프 선생들을 훈련시켜왔다. 이에 따라 학생들은 골프 과목을 배운다고 해서 수업료를 추가로 지불할 필요가 없다. 베이징시교육위원회 당국자는 "이번 고교 교과과정 개정 내용의 하나는 학생들의 교과 내용을 풍부하게 하고 선택성을 늘려주는
2008-10-30 21:22이탈리아 교사들이 정부의 교육 개혁안에 반발, 거리로 몰려나왔다. 수 천명의 교사와 학생, 학부모들은 30일 정부의 교육 개혁안에 항의하는 거리행진을 벌였으며 중도좌파 야당 지도자들도 거리 행진에 동참했다. 지난주 말부터 시작된 항의시위는 이탈리아 전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정부는 이탈리아 국립대학의 예산 지원을 대폭 삭감하는 한편, 학업 성적이 나쁜 학생들을 퇴학시키고, 초등학생들은 교복을 입고 5년간 한 교사에게 배우도록 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교육 개혁안을 마련했다. 마리아스텔라 젤미니 교육부 장관은 교육 개혁안의 목표가 불필요한 비용을 줄이고 학생들의 기강을 잡기 위한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교사들은 초등학생들이 5년간 한 교사에게 배울 경우 수 만명의 교사들이 일자리를 잃을 수 있다며 개혁안에 반대하고 있으며, 학부모들은 교육의 질이 저하될 것이라며 우려하고 있다. 야당인 민주당의 발터 벨트로니 총재는 정부의 오만함을 비난하면서 국민투표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2008-10-30 2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