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릴레이기고> 다름 인정하는 수용적 학교문화 이뤄야
한국은 다문화사회로 접어들고 있다. 단일민족이라는 자부심으로 유난히 타민족에 대한 배타심이 강한 우리는 이민자 수가 점점 많아지는 현실에서 한국인의 다문화 수용성을 높일 준비를 지금부터 해야 한다. 이를 위해 다문화 교육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의식과 행동의 방향 전환이 우선 첫째, 가장 우선이자 중요한 것은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의 의식과 행동을 다문화 수용적인 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우선 직접적으로는 다문화가정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일반학생과 다문화가정 학생이 한 팀을 이뤄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대회나 행사를 개최해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도록 할 수 있다. 또 우수사례 중심의 다문화 이해교육 자료를 개발한다. 다문화가정 및 학생이 갖는 강점을 발굴하고 확산시켜 다문화가정에 대한 우리 사회 구성원의 인식, 다문화가정 구성원이 스스로의 인식 등을 바꿀 필요가 있다. 다문화·인권을 강조하는 교과서 개편도 필요하다. 관련 교과에 타문화 이해·존중, 편견 극복 및 관용에 관한 내용, 그리고 결혼이민자 등 사회적 소수자를 포용하는 내용이 포함되도록 해야 한다. 더 나아가서는 우리
- 황범주 인천 가좌고 교감·교육학박사
- 2012-04-12 1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