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라현, 너는 청소도 아직 안 끝났는데 어째서 책가방부터 메고 서 있는 거야?" 갑자기 화가 치밀어 올랐다. 벼락 같이 소리를 지르면서 라현이에게 꿀밤을 몇 대 먹였다. 청소시간이면 도떼기시장이 된다. 이리 뛰고 저리 뛰는 아이에, 벌써 요령을 터득해 대충 철저히 눈 가리고 아웅하는 아이에, 교실청소보다는 학원공부에 더 마음이 급한 아이들도 태반이다. 라현이는 우리 반에서 둘째가는 꼬맹이 여자애다. 1학년 갓 들어온 아이처럼 어린 티가 뚝뚝 흐른다. 그런 아이를 오늘 두 번이나 야단쳤다. 집에 가서도 도무지 마음이 편하지 않다. 성격은 못 고친다고 하지만 초임시절이나 지금이나 나도 모르게 화가 버럭 날 때가 있다. 오죽했으면 내가 맡았던 6학년 아이들이 나를 '천둥'이라고 했을까. 교대 교생시절, 지도담당 선생님은 우리들에게 이런 충고를 했다. "화가 날수록 칠판과 가까워지십시오." 숱한 교직생활이 흐른 후, 라현이를 통해 그 말이 교사들에게 명언이라는 것을 깊이 깨닫게 된다. 사실, 화가 나면 그 아이에게 바싹 다가가게 마련이다. 다가가서 어떤 수단으로든지 화풀이를 하게된다. 부모들도 자녀를 기를 때 마찬가지일 것이다. 엊그제 퇴근길에 라현이를 만났다.
25년 만에 용인 시골 학교에서 졸업시킨 제자 자근이에게 안부 전화가 왔다. 고생 끝에 어렵사리 의정부에서 카센터로 자리를 잡았다고 한다. 자근이 생각만 하면 지금도 수학여행 때의 기막힌 사연이 떠오른다. 당시 시골학교 수학여행 하면 으레 서울로 갔지만, 내가 6학년을 맡고서는 경주나 부여로 가는 간 큰 모험을 했다. 경주 여관방에서 아이들을 배정하고 하루 지난 이튿날 이른 새벽, 자근이와 같은 방을 쓰던 한 녀석이 헐레벌떡 우리 방물을 두드렸다. "선생님! 자근이가 오줌이 안 나온대요" "뭐? 오줌이 왜 안 나와?" 황당한 이야기에 부랴부랴 화장실로 향했다. 자근이는 고추를 움켜잡고 아프다며 펄쩍펄쩍 뛰고 있었다. 이것저것 볼 것 없이 얼른 자근이의 팬티를 내렸다. 과연 고추가 터질 듯이 팽팽하게 부풀어 있었다. `이게 뭔 일이다냐…' 그런데 고추를 자세히 살펴보니 이상한 게 보였다. 아이고! "누가 고추를 실로 묶었어?" 그랬다. 고추는 굵은 무명실로 친친 감겨있었다. 오줌이 나와 탱탱 차 있으니 얼마나 아플 것인가. 재빠른 손놀림으로 자근이의 고추 앞에서 무명실을 풀었다. 그러자 오줌이 내 얼굴로 속사포처럼 쏟아졌다. 아닌 밤중에 웬 오줌벼락인가….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