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서울시교육청에서는 2학기부터 초·중학교에서 한자교육을 강화하겠다고 발표했다. 교과서에 나오는 학습용어를 중심으로 한자를 가르치겠다는 것이다. 교과별로 차이는 있겠지만 현행 교과서에는 개념을 나타내는 어휘들이 상당히 많다. 그 대부분이 한자어로 돼 있다. 수학·과학도 한자어 어휘 많아 국어 교과만이 아니고 수학이나 사회, 과학 등의 교과서에도 중요한 개념을 담은 한자어들이 많다. 예를 들어 수학에서 분수(分數)를 배울 때 진분수‘(眞分數)’, ‘가분수(假分數)’, ‘대분수(帶分數)’의 앞에 붙은 ‘진(眞), 가(假), 대(帶)’자의 뜻을 알고 공부하면 이해가 빠를 것이다. 또, 표준발음을 익힐 때 단음인 ‘의사(醫師)’와 장음인 ‘의:사(義士)’의 차이점도 한자를 보면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최근 많은 학생들이 6․25 전쟁을 ‘북침’이라고 한 것도 한문 문장의 구조를 잘못 이해한 데서 발생한 문제인 부분도 있다. 그간의 우리 한자교육은 정권 차원이나 교육당국의 방침에 따라 몇 차례의 굴곡을 겪어왔다. 한자를 병기(倂記)한 국어 교과서로 공부하던 때가 있었는가 하면 그렇지 않은 시기도 있었다. 그래서 세대가 한문을 배운 세대와 그렇지 않은
고교 교육의 대종을 이루는 일반계 고교가 위기상황을 맞고 있다. 왜 일반고가 오늘 같은 위기에 처하게 된 것일까. 우선 교육 수요자의 다양한 욕구를 반영하고, 수월성 교육을 통해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명분을 갖고 출발한 ‘고교 다양화 정책’이 결과적으로는 학생선발 면에서 일반고를 여러 가지 불리한 여건에 놓이게 했다. 전기에 뽑는 특목고나 자율고는 성적이 우수해야 가는 학교로 인식된다. 특성화고도 내신이 좋아야 갈 수 있고 학비지원도 많다. 그러다 보니 후기로 가게 되는 일반고는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학생들이 가는 학교로 전락하게 된 것이다. 대입에서도 나은 점이 별로 없다. 특성화고 졸업생처럼 동일계 특별전형의 혜택도 없다. 그렇다고 뚜렷한 직업교육이 이뤄지는 것도 아니다. 생활지도의 어려움은 말할 것도 없다. 거의 매시간 책상에 누워 있는 학생들을 보면 울화가 치밀어 수업을 할 수 없다고 일선 교사들은 호소하고 있다. 아무튼 70%가 넘는 고교생이 재학하고 있는 공교육의 근간인 일반고를 이대로 방치할 수는 없다. 그랬다간 우리 고교 교육이 파멸을 맞게 될 것이다. 일반고의 교육이 충실히 이뤄져야 다른 계열의 교육도 정상화될 수 있다. 그러면 일반고의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