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논단> 엄마가 울었다
칭찬은 인간이 성장하는데 무한한 동력이 되기도 하고 잠재된 가능성을 이끌어 내기도 한다. 그런데 이렇게 좋은 칭찬에도 고정관념이 존재한다. 칭찬은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해야 하고 일상적이고 가까운 사이일수록 하기 어렵다는 생각이다. 이런 점에 착안해 어느 중학교 도덕교사가 아이들의 가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칭찬 방법을 제시했다. 아이가 부모님을 칭찬한 다음, 부모님이 보인 반응과 그 반응에 대한 자신의 느낌을 일기 형식으로 작성해 기록하는 ‘칭찬 일기’ 쓰기 과제를 내준 것이다. 부모에게 전하는 30번의 칭찬 쑥스럽고 얼굴 맞댈 시간도 부족한 현실에 우리집은 안 된다고, 시작하기도 전에 포기하는 아이들이 속출했다. 그래도 숙제를 강행한 교사의 고집이 아이들을 움직였다. 하지만 처음부터 칭찬이 잘 될 리가 없었다. 아이들은 용기를 내 ‘아버지가 계시는 그 자체가 사랑스럽습니다.’, ‘엄마가 학원에 보내줘서 이렇게 공부를 잘하게 됐어. 엄마, 고마워.’라며 칭찬을 건냈지만 아버지로부터 욕설을 듣기도 했고 엄마로부터는 공부나 잘 하라는 잔소리를 들었다. 어색하고 부끄러운 상황에서도 용기를 낸 칭찬은 계속됐지만 돌아오는 건 무안하고 서운한 말뿐이었다. 몇 번
- 임형재 인성교육범국민실천연합 사업기획실 부장
- 2014-03-27 1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