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논단> ICT 기반 창조적 발명인재 양성해야
지금 우리나라는 창조경제가 화두다. 창조경제를 견인할 핵심 동력으로는 정보통신기술(ICT)가 주목받고 있다. ICT는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주요 성장 동력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해 왔다.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의 IT 통계 포털에 따르면 ICT 산업의 GDP 비율은 2007년 8.8%에서 2012년 12.9%까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CT 핵심은 소프트웨어 인력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ICT 기업의 경제적인 비중은 매우 높다. 한 예로 영국의 브랜드 파이낸스가 선정한 2012년 세계 100대 기업 브랜드 가치 순위를 살펴보면 1위부터 4위까지의 순위를 차지한 기업이 모두 ICT 기업이다. 삼성도 6위에 올랐다. 지금의 사회는 ICT의 도움 없이는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어렵고 업무에서도 성과를 내기 어려운 ‘ICT 생활밀착형 사회’다. 정부에서도 “이미 세상에 존재하는 산업만으로는 일자리 창출과 경제 성장에 한계가 있다”고 진단하고, 과학기술과 ICT를 세계 최고 수준으로 육성해 신산업을 창출하고 각 산업에 융합·확산시켜 창조경제를 실현한다는 계획을 내놨다. ICT를 활용한 창조경제의 실현을 위해서는 핵심성공요인을 철저히 분석해 준비해야
- 이재호 경인교대 교수·한국정보교육문화실천연합 사무총장
- 2013-07-18 1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