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칼럼> '新고졸시대'를 열기 위한 과제
예의바른 학생들이 최고의 명장이 되겠다고 열심히 기술연마에 몰두하는 학교. 바로 2010년 도입된 ‘마이스터고’ IMF 경제위기 이후 취업이 힘들어지면서 악순환을 거듭하다가 급기야 ‘취업’이라는 설립목적조차 실종된 채, 일반고처럼 80%가 ‘진학’을 선택하는 특성화고 학생들. 준비도 없이 대학에 진학하고 능력도 없는 학생을 ‘무늬만 대졸자’로 바꾸어 주는 많은 대학들. 그 결과 우리나라 청년이 최초로 직업을 갖는 연령은 평균 25세. 독일(평균 19세)과 비교하면 3백만 명 이상이 불필요한 교육에 투자되기 때문에 비용으로 환산하면 수백조원의 기회손실이 발생하는 상황. 한편 금형, 용점 등 많은 땀과 노력이 필요한 전문기능분야 젊은 인력이 없어 국가 차원에서 양성․공급하라고 주장하는 산업계. 이런 직업교육 현실의 변화를 위해 설립된 ‘마이스터고’. 이제 신고졸시대의 서막을 열고 있다. 2010년부터 마이스터고로 재탄생한 우리 학교는 기업이 만족하는 우수한 인력 양성, 학생의 능력에 합당한 처우를 해 주는 직장에의 취업, 교사·학생 그리고 학부모 모두가 만족하는 학교라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교장으로 부임해 처음 한 일은 방과후수업의 활용이다.
- 이승희 부산자동차고 교장
- 2013-11-28 1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