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실창가에서> "학교 비난 신중했으면…"
각종 신문, 잡지 등에는 독자란이 있기 마련이다. 그런데 그런 의견란에 올라온 글들을 읽다보면 교육현장이 마치 학교장 개인의 독단으로 경영되어지는 것처럼 비쳐져 안타깝다. 일례로 어떤 학부모는 맞벌이 부부라서 급식당번 배정에 불만을 토로했는가 하면, 어느 자모는 현장가정체험학습 때 자녀만을 집에 두고 일터에 가게 되는 현실과 한탄하며 현장학습 무용론까지 제기한다. 어떤 사람은 왜 운동장 사용료를 받느냐고 따지는가 하면 혹자는 소풍, 운동회 등 각종 학교행사에 대해서도 시공을 가리지 않고 힐난한다. 하지만 사람들이 말하는 것처럼 학교의 학사운영은 그렇게 일방적으로 결정, 시행되는 게 아니다. 다 그럴만한 이유가 있고 여러 사정상 그럴 수밖에 없는 상태에서 그나마 차선의 방법을 고민했음을 알아줬으면 한다. 물론 의사결정도 학교장이나 교사들의 일방적 결정에 의한 것도 아니다. 학교장 책임경영이 강조되긴 하지만 사실 학교장 단독으로 의사를 결정하는 것은 극히 일부다. 의사결정에 있어 내적으로는 교무회의가 있고 교사 중심의 각종 전문위원회도 있으며 특히 학교운영위원회가 활성화 돼 협의에 협의를 거쳐 학교가 운영되고 있다. 그런데도 학부모들은 툭하면 전화에 대고 항의를
- 이강신 경기마성초 교장
- 2002-08-01 15: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