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나기를 위하여 나무들의 수액이 서서히 뿌리 밑으로 내려가는 계절, 진실로 반가운 소식 들었다. 우선 내 시상의 원천이 되어준 애 사과와 호박덩굴의 학교에게 감사한다. 먼 땅에서 오는 좋은 기별 하나가 메마른 골짜기에 사는 내 심령의 뼈를 부드럽게 위로해 주었다. 그 동안 얼마나 많은 사연들이 '수취인 불명'이 되어 마땅한 영혼의 주소를 찾지 못한 채 이질의 거리를 떠돌아 다녔을까? 떠듦이 곧 삶이요, 호흡인 아이들 틈바구니에서 지내온 지 얼추 이십 년이 넘어버렸다. 교실에서 두더지 잡기 놀음에 지쳐버린 나의 호주머니에 그래도 해바라기 씨앗을 슬그머니 넣어주는 악동들의 순수가 있기에 그 많은 시간들을 용케도 버텨왔나 보다. '영감은 부차적인 것, 일차적인 것은 즉흥적인 구성'이란 말에 두고두고 공감한다. 학교현장에서 건져 올린 정서와 심상들이 울타리 안에서만 통하는 온실 재배일 수도 있다. 그러나 이제부터는 보다 넓게 입을 벌려 긍정하며 전 우주를 온 마음으로 껴안으리라! 호흡하는 것들과의 끊임없는 교감과 연민의 정을 몸소 느끼면서 규칙적인 삶의 시계보다 느림의 미학과 게으름에 대한 찬양도 아끼지 않으리라. 또한 글쓰기는 외상(trauma) 경험에 대한 애
초록먼지 날리는 운동장을 길길이 뛰는 아이들의 시선이 한 곳으로 고정되어 있다 악동들이 땀흘리며 정직하게 붙좇는 것은 가죽 공뿐이다 풀더미를 차던 유년의 기억은 돼지오줌통 만큼이나 먼 데 고울 문을 벗어난 공들이 쥐똥나무 울타리에서 우연히 꽃 사과와 만나고 있다 이루지 못한 꿈의 알갱이들이 지친 호흡으로 매달려 있을 무렵, 홍수처럼 눈병이 나돌았다 그들 마음의 창에 시나브로 빨간 등불이 켜졌을 때, 교실에선 민망한 자괴감이 분출하고 있었다 우슬초로 말갛게 씻은 눈 가지고 단아한 가을 하늘 보게 하려고 지혜로운 계절이 저들에게 고통의 축제를 예비해 두었나보다 충혈된 아이들의 눈가에서 물고기의 은 비늘이 떨어진다 마지막 차임벨이 울리며 소란스런 침묵이 끝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