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 전문대 육성방안, 성공을 바라며
1979년에 시작된 전문대학은 지금까지 520여만 명의 산업인력을 양성해 대한민국 근대화와 국가산업 발전에 중추적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산업구조의 변화와 기술의 고도화에도 불구하고 2-3년으로 제한된 수업연한과 사회적인 편견 그리고 육성 정책의 부재로 고등단계 직업교육을 담당하는 전문대는 위기에 직면하게 됐다. 이런 심각성을 인식한 박근혜 정부는 전문대는 40년 역사상 처음 있는 메머드급 육성 방안을 발표했다. 직업교육 특성화·다양화 기대 물론 이 방안은 전문대만을 위한 것은 아니다. 지식기반산업에서 활약할 미래형 창의적 전문직업인의 양성을 위해 전문대를 고등직업교육 중심기관으로 육성하겠다는 것이다. 핵심과제로 특성화 전문대 100개교 육성, 수업연한 다양화(1년부터 4년까지), 산업기술 명장 대학원 신설, 평생직업대학 육성, 전문대생 해외진출 활성화 등을 내세우고 있다. 이런 방안은 고등직업교육에서 다음과 같은 긍정적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첫째, 우리나라의 체계적이지 못한 고등교육시스템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현행 고등교육법에 의하면 일반대학은 학술중심의 연구 및 교육기관으로, 전문대는 전문직업인 양성교육기관으로 구분돼 있으나, 시간
- 윤여송 인덕대 교수·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 회장
- 2013-07-24 1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