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이 저희 아이들 쉴 권리를 빼앗았죠? 오래전 일이지만, 그날의 일은 아직도 생생합니다. 학부모들의 문제제기는 정말로 강했고, 제게는 잊을 수 없는 교훈을 남겼습니다. 저학년을 담임했고, 연속된 차시로 수업을 운영했다 들은 말이었습니다. 그런 게 아니라고, 화장실에 가거나 물 마시는 것도 얼마든지 자유롭게 할 수 있게 했다고 설명했지만, 우려를 품고 계신 학부모들께는 충분히 전달되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이 일을 겪고 많이 당황스럽고 속상했습니다. 왜 열심히 노력하고 애쓰는 건 봐주지 않는지 묻고 싶었습니다. 그런데 고민과 방황 끝에 문득 한 가지 생각이 들더군요. 나는 교사인 나에대해 설명했나, 우리 교실이 어떤 모습인지 학부모들에게 말해준 적이 있나, 그들이 무엇을 궁금해 하는지 물어본 적이 있던가, 하는 생각 말입니다. 처음으로 진지하게 교사인 저 자신을 돌아보게 됐습니다. 그동안 잘하고 있다고 자부해왔던 교사로서의 삶에 대한 깊은 통찰이 이어졌습니다. 아이들의 입을 거치고, 눈을 통하면 우리 교실은 얼마든지 왜곡될 수도 있고, 엉뚱한 모습으로 비춰질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해본 적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궁금증 해소가 먼저 이런 경험 덕분에 학
쏟아지는 행정 업무와 수업 준비, 그리고 학부모 민원. 교사의 하루는 바쁘다. 그중 상처되는 날카로운 민원이라도 생기는 날엔 교사의 마음은 갈기갈기 찢어질 듯하다. 마음을 다치지 않고 아파하지 않기 위해 교사로서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 상처받지 않으면서 나를 지키는 교사가 되기 위한 다양한 민원 대처 방법을 소개한다. 편집자주 “선생님, 우리 애는 때려서라도 가르쳐주십시오. 꼭 좀 우리 애 사람 만들어주십시오.” 옛날 드라마 한 장면 같이 들리실 겁니다. 필자는 현재 교직생활 28년차 교감이 되어있지만 신규교사였던 98년도만 해도 이런 이야기를 학부모들에게서 직접 들었습니다. 지금이야 아이를 때린다는 것 자체가 상상이 되지 않지만, 그 시절엔 그랬습니다. 최근 며칠간 한 학부모의 민원이 있었습니다. 3학년인 자녀가 급식실에서 국을 엎어 옷이 젖었는데, “혹시나 데었으면 어쩔 뻔했냐”, “왜 곧바로 담임이 전화를 안 해줬냐”며 몹시도 화를 냈습니다. 나중에 그분은 몇 번이고 거듭해서 사과하고 학교에서 소란 피워 낯부끄럽다면서 돌아갔지만, 이 사안을 처리하느라 마음이 참 많이 피곤했습니다. 요즘 학부모 민원을 접하다 보면 한 가지 공통점이 느껴집
대한민국의 출생률은 0.78명으로 세계 최저다. 2011년 47만 명이었던 출생아 수는 10년 만에 26만 명으로 줄었다. 2023년 3월 기준 신입생이 한 명도 없는 학교는 전국에 145개였다. 지난 2022년 3월에는 114곳이었던 반면, 올해는 145개로 늘었다. 전국적으로 신입생이 5명 미만인 초등학교가 856개였고, 10명 미만인 초등학교는 1587개였다. 전국 초등학교가 6163개니, 올해 초등학교 4곳 중 한 군데는 신입생이 열 명이 채 되지 않았다는 뜻이다. 전체 나누는 평균값 적용 안 돼 이뿐 아니다. 2021년 통계청이 발표한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공립 초·중등학교 학생 수는 2023년 대비 2027년까지 13%인 58만여 명이 감소할 것이라고 한다. 2038년 초등학생 수는 88만여 명(34%)이, 중학생 수는 86만여 명(46%)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교육부는 2023년 4월 12일 브리핑에서 “미래 교육 수요를 반영하기 위해 2018년에 마련한 ‘중장기 교원 수급 계획’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라고 했다. 출생률이 줄면 학령인구도 줄고, 그만큼 교원도 적게 뽑아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교육부에서 발표한 공립 교원 신규 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