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교조 주축 교육시민단체, 교육운동과 색깔을 달리하며 교육의 공공선 추구 등을 모토로 한 새로운 시민단체 ‘교육과 시민사회’가 29일 출범했다.
교육과 시민사회는 창립선언문에서 “교육을 사적 이익의 도구로 이해하는 논리와 직업적 이해관계에 얽매이지 않고 교육발전을 위한 합리적이고 건강한 비판과 개혁활동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또 “교육의 본질을 훼손하는 제도와 정책 및 운동에 대해 올바른 관점을 정립해 교육정론이 사회적으로 확산되도록 하겠다”고 창립의미를 밝혔다.
단체는 강태중(중앙대 교수·경실련 교육위원장)·이기우(인하대 교수)·윤지희(전 참교육학부모회 회장) 공동대표와 강지원 변호사, 최현섭 전 교육개혁시민운동연대 공동대표, 김동춘 참여연대 위원, 송인수 좋은교사모임 총무 등 학부모, 교사, 교수, 시민운동가 31명이 회원으로 참여했다.
교육과 시민사회는 창립선언문에 담긴 의미와 참여 인사들의 면면을 볼 때 기존의 전교조 중심 교육운동과 일정거리를 두며 균형적 대안 모색과 정책 연구에 몰두할 것으로 보인다.
강태중 공동대표는 “그동안 전교조 중심의 교육시민운동에 한계를 많이 느꼈다고 보면 된다. 다소 노동운동과 같이 계급적 이해 관철에 치중하는 교육운동의 요소는 시민사회가 견제하고 정화해 내는 역할을 해야 한다. 그런 차원에서 집단적인 이익보다는 보다 공공선을 추구하고 시민사회를 응집시킬 리더십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7차 교육과정의 존폐 여부와 수석교사제, 교사평가제 도입 여부와 관련해 교육연대 내에서도 이견이 있었지만 한목소리를 내는 과정에서 한쪽의 의견이 묵살됐고, 이것이 또 다른 교육시민단체 태동의 발단이 됐다. 송인수 총무는 “직업적 이해관계에서 보면 교사평가는 절대 도입할 수 없겠지만 반대로 교사평가는 전체 교육을 위해서 필요한 것이고 교사에게도 긍정적인 요소가 많을 수 있다”며 이해관계에 얽힌 교육담론을 경계했다.
나아가 교육과 시민사회는 목소리를 높이기보다는 매달 한 번씩 교육현안을 주제로 한 포럼을 개최해 공론의 장을 마련하고 정론 만들기에 힘쓸 계획이다. △교육에서의 평등과 다양성 △교원정책 △대학입시제도 및 학벌 타파 △교육자치 △사립학교법 개정 등이 주제가 될 예정이다.
또 교사와 학부모, (예비)활동가 등을 대상으로 교육에 대한 바른 관점을 갖도록 하는 아카데미사업도 펼칠 계획이다. 한 학기 포럼을 구성해 시범운영한 뒤 6개월 후부터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할 예정이다. 편 교육과 시민사회는 이날 ‘시민사회와 교육정론’이라는 주제로 창립포럼을 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