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11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체육수업에서 문화교육을 어떻게 해야 나요?

Mentee   김정희 | 서울공덕초 교사
개정 7차 교육과정을 보면 체육교과에 문화교육 부분이 있는데, 이 부분에 어떤 방식으로 접근해 지도해야 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어떻게 하면 체육수업에서도 문화교육을 할 수 있을까요?

Mentor    김인실 | 서울연희초 수석교사
개정 7차 체육과 교육과정에서는 ‘체육스포츠의 문화적 현상과 행동양식을 총체적으로 학습함으로써 신체활동의 의미를 발견하고 신체 활동과 삶과의 연관성을 체험할 수 있는 안목을 형성하여 평생체육의 실현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데 기여해야 한다’고 개정편찬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문화교육은 문화환경(Cultural Environment)으로 보면 이해가 쉬울 것 같습니다. 가치, 태도, 흥미가 포함된 정의적인 요소는 신체활동에 영향을 줍니다. 신체활동을 잘 수행하기 위해서는 운동기술과 강한 체력, 그리고 자신감이나 유능감 같은 심리적 요소와 팀 응집력, 의사소통 등의 사회문화적 배경 등이 필요합니다. 체육시간에 동기부여를 위해 우수선수 탐색 등을 해보는 것도 문화교육의 일환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 밖에도 그룹별 대화, 접촉, 협동과 규범, 선택, 윤리 등이 내재된 가치체계 및 사회봉사, 가족과 친구와의 관계, 영화, 사진, 음악 등의 예술 영역도 문화 환경에 포함됩니다.

진지한 상호평가로 상호존중의 미덕 체득
체육수업 마무리과정에서 학생끼리 우수 학생을 선정해 상장을 수여하게 하는 것도 문화교육의 한 가지 방법이 될 것입니다. 그룹별 혹은 전체가 서로의 활동을 관찰해 분석하고 점점 범위를 줄여가며 최종 선정한 까닭을 공책과 상장에 쓰고 정중하게 전달하는 활동을 통해 협동과 상호존중의 중요성을 익힐 수 있습니다. 이때 상장은 학생의 의사에 따라 지도교사에게도 줄 수 있는데, 이렇게 하면 체육수업에 대한 학생의 감정을 느끼게 돼 교사에게는 다음 수업을 위한 좋은 잠언이 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