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도 영월하면 첩첩산중 산골이 생각난다. 오죽하면 수양대군이 어린 단종을 강원도 영월 땅으로 유배를 보냈을까. 굽이굽이 사행천이 흐르는 동강과 서강의 물줄기에 막혀 섬이 되어버린 청령포, 그 안에 단종을 가두었던 것이다. 단종의 애절한 삶 때문에 영월로 넘어가는 고개의 이름은 소나기재이다. 구름도 고개를 넘다가 소나기 눈물을 흘리니 영월하면 떠오르는 것이 충절의 고장이요, 역사의 고장이란 수식어다.
하지만 이번 호에서 돌아볼 영월은 그 수식어가 다르다. 바로 ‘박물관의 고을, 영월’이다. 영월 곳곳에 크고 작은 이색테마 박물관이 자리하니 조선민화박물관, 동강사진박물관, 영월책박물관, 곤충박물관처럼 박물관을 명칭으로 사용하는 곳이 네 곳이며 단종의 능인 장릉 안에 자리한 단종역사관, 김삿갓 계곡에 자리한 난고 김삿갓문학관뿐 아니라 봉래산 정상의 별마로천문대, 국제현대미술관, 묵산미술관 등 박물관에 준하는 볼거리가 곳곳에 산재한다. 대한민국에서 인구대비 박물관 보유 밀도가 가장 높은 곳이 영월이라 하니 이 정도면 ‘박물관 고을’이란 수식어를 달아줄만 하지 않은가.
박물관 계곡, 김삿갓 계곡그럼 먼저 와석계곡으로 가보자. 삿갓 하나 눌러쓰고 평생을 정처 없이 떠돌아다닌 방랑시인 김삿갓! 경치 좋은 곳에 앉아 시 한 수 읊고 탁주 한 사발 마시던 전설적인 인물이다. 그가 생전에 ‘진정한 무릉계’라고 칭한 곳이 있으니 바로 영월의 와석계곡이다. 이곳의 또 다른 이름이 김삿갓 계곡이니 그 이유가 무엇일까. 잠시 궁금해진다.

김삿갓(김병연)은 순조7년 경기도 양주에서 태어났다. 다섯 살에 홍경래의 난이 일어나 선천부사겸 방어사였던 그의 조부 김익순이 홍경래 군에게 항복해 처형당하고 집안이 풍비박산 되어 영월 삼옥리(三玉里)에 숨어든다. 20세에 영월 동헌에서 열린 백일장에 나가 김익순을 신랄하게 탄핵하는 글을 지어 장원을 차지하나 자초지종을 들은 후 조상과 푸른 하늘을 똑바로 볼 수 없다며 삿갓 쓰고 죽장 짚고 정처 없이 떠돌다 전남 화순군에서 객사한 후 그의 아들이 찾아내 이곳 와석리 계곡에 묻었다. 그가 어릴 적 숨어살던 삼옥리가 지척이요, 생전에 무릉계라 칭하던 계곡이다. 야생화가 지천으로 피고 지며, 돌돌돌 계곡물 소리 청아한 산비탈에 소탈한 봉분과 다듬지 않은 자연석을 그대로 사용한 비석과 상석이 김삿갓의 생과 잘 어울린다. 계곡을 굽어보다 눈길이 닿는 곳에 그의 재기 넘치는 싯구과 기이한 행적을 모아놓은 난고 김삿갓 문학관이 자리하니 주인과 똑같이 삿갓을 쓰고 있다. 철따라 한시(漢詩)대회와 백일장이 열린다.
김삿갓의 기운(氣運)이 서린 때문인지 계곡을 찾는 시인묵객(詩人墨客)들의 걸음이 잦은 탓인지 이 계곡은 은근히 사람을 끈다. 계곡 초입 묵산 미술관 또한 실제 자연인지 그림 속 풍경인지 분간되지 않는 전통 한국화로 발길을 잡고 계곡 언덕배기에는 조선민화박물관이 독특한 매력으로 반긴다.
호랑이, 까치가 친구? 조선민화박물관조선민화박물관은 이름 그대로 조선시대의 민화를 모아 전시한 곳이다. 영월시내에서도 떨어진 와석 계곡의 끝자락에 자리한 박물관이니 그저 이런저런 전시품 조금 모아놓고 박물관의 이름이나 달지 않았을까 싶은 의심이 든다. 하지만 선입견은 금물. 튼실하게 제대로 지은 목조 건물 안으로 들어가면 제법 많은 양의 전시품이 기다린다. 더욱 놀라운 것은 큐레이터가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산골구석에서 한 사람이 와도 설명을 해주는 큐레이터는 감동이다. 사실 박물관이나 전시관을 돌아볼 때 설명을 듣는 것과 듣지 못한 것과의 감동은 많이 다르다. 아는 만큼 보인다고 했던가.

제대로 된 설명을 들으며 박물관을 돌아보자. 가장 먼저 반기는 것은 작호도(鵲虎圖)이다. ‘작호도’는 ‘까치와 호랑이의 그림’으로 소나무 아래 조금은 우스꽝스러운 표정의 호랑이가 있고 그 옆 소나무 가지 위에는 까치 한 쌍이 앉아있다. 까치는 좋은 소식을 전해주거나 반가운 소식을 가장 먼저 알리는 새로 까치가 전해주는 기쁜 소식을 듣고 희죽이 웃는 모습의 호랑이는 신년보희(新年報喜)의 염원을 담은 그림이다. 잡기를 막아주는 호랑이와 좋은 소식을 전하는 까치를 가까이 두고 한 해 동안 좋은 소식만 많이 들으라는 새해 인사 선물로 인기 있던 그림이다.
그 옆에는 구름을 타고 가는 현란한 색채의 용 그림이 있으니 이는 운룡도(雲龍圖)이고 신라 선덕여왕의 영민함을 보여주던 모란도(牡丹圖), 어해도(魚蟹圖·물고기와 게 그림)가 있다. 충효예 등 유교덕목에 해당하는 글자를 그림으로 표현한 문자도(文字圖), 서책이 쌓인 방의 풍경을 그린 문방사우도(文房四友圖) 일명 책가도 등 약 320점의 소장민화 중 전시된 150여점의 민화가 갖가지 이야기를 전해준다. ‘구운몽도(九雲夢圖)’도 빼놓을 수 없는 볼거리다. 김만중의 소설 ‘구운몽’을 그린 그림으로 채색을 하면서 여인들의 가체에 금가루를 사용한 것으로 보아 왕의 하사품으로 추정된다. 일제 때 해외로 유출됐던 것을 미국 소더비 경매에서 오석환 관장이 거금을 주고 구입했다. 민화를 직접 그려보는 체험 코스는 조선민화박물관의 하이라이트다.
폐교의 변신은 무죄, 영월 책박물관 곤충박물관김삿갓 계곡에서 조선민화박물관, 묵산미술관, 난고 김삿갓문학관, 시비공원을 둘러보고 나서 59번 국도를 타고 영월시내 쪽으로 향해본다. 이 길에서 또 다시 두개의 이색 박물관을 만난다. 영월 책박물관과 곤충박물관이다.
1999년 4월 서지학자 박대헌 씨가 문을

연 영월 책박물관은 신천초등학교 여촌 분교를 빌려 박물관을 삼았다. 지원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 사설 박물관이라 도시 사람의 눈으로 보면 허술하기 짝이 없지만 철수와 영이가 등장하는 어린 날의 교과서를 비롯해 개화기 신식 인쇄술이 도입된 1883년부터 한국전쟁이 끝난 1953년까지 변천과정을 한눈에 보여준다. 한성순보 제36호 등 오래된 신문들이 있고 단기 4296년 계묘년에 경향신문이 배포한 1장짜리 달력을 비롯해 천재시인 이상이 서울 종로에서 '낙랑' 카페를 운영하던 시절 뿌린 광고전단, ‘남는 쌀을 팔읍시다’라는 미군정청 시절 포스터도 눈에 들어온다.
전시품 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영월 출신인 송광용 씨의 만화 일기다. 1934년 영월에서 태어난 송광용 씨는 만화가가 되기로 마음먹은 중학 1년 시절인 1952년 5월부터 1992년 2월까지 군대시절을 포함한 40년 동안 하루도 빠짐없이 만화 일기를 썼다. 만화가를 꿈꾸던 한 사람의 생을 엿볼 수 있다. 그 중 101권이 영월책박물관에 소장되어 그 일부를 볼 수 있다.
문포초등학교를 개조한 곤충박물관은 4개의 전시실로 이루어졌으며 도시에서 보기 힘든 나비, 잠자리, 딱정벌레 등 1만여 종 3만여 점의 곤충을 전시하고 있다. 소박한 모양의 ‘시골처녀나비’와 세련된 날개를 뽐내는 ‘도시처녀나비’, 한 번 날면 정신없이 떼를 지어 팔락거린다고 해서 ‘유리창떠들썩팔랑나비’ 등 재미있는 나비는 눈길을 끈다. 이곳에 전시되어있는 표본은 모두 관장 이대암 씨가 30년 동안 직접 표본한 것들이다.
영월 시내에 들어서면 영월군청의 이정표가 가장 많이 보인다. 이 이정표를 따라가면 또 하나의 박물관을 만날 수 있다. 영월군청 바로 옆에 자리한 동강사진박물관이다.
사진과 카메라가 주인공, 동강사진박물관우리나라 최초의 공립 사진 박물관으로 지난 2005년 7월에 개관했다. 이름 때문에 동강을 촬영한 사진이 주로 전시되었으리라는 생각을 하게 되지만 그보다는 진솔한 삶의 모습과 다큐멘터리적 사진, 동강사진축전 수상 작품 등을 주로 전시한다. 사진의 역사를 연표로 정리해 놓았으며, 기증받은 300여 점 클래식 사진기가 볼만하다. 2층에는 사진기의 셔터, 조리개, 렌즈의 기능을 체험을 통해 알 수 있는 체험실이 있고 안경을 쓰고 입체 사진을 보며, 영월의 자생식물을 슬라이드 상태로 감상한다. 또한 ‘영월을 배경으로 찰칵’ 코너에서는 블루 스크린 앞에서 원하는 영월 풍경을 배경으로 넣는 합성사진을 찍어 볼 수 있다.
동강사진박물관을 보고 나오면 바로 앞거리는 ‘라디오 스타’의 촬영지다. 청록다방, 세탁소, 철물점, 명동 화원이 모두 50m 안에 몰려 있고 KBS 영월 지국은 지척이다. 사진박물관에서 본 오래된 사진기처럼 휘황찬란한 TV의 영상보다 지지직거리는 라디오에서 흘러나오는 지나간 옛 노래가 더 잘 어울리는 영월거리다.
반짝이는 별이 친구, 영월 별마로천문대역시 ‘라디오 스타’의 촬영지였던 별마로천문대는 해발 799.8m의 봉래산 정상에 자리한다. ‘별’과 정상을 뜻하는 ‘마로’의 합성어로 ‘별을 보는 고요한 정상’이라는 의미다. 2001년에 개관한 별마로천문대는 천체투영실과 시청각교재실, 주관측실과 보조관측실을 갖추고 있다. 관측실에는 국내 최대규모인 직경 80㎝ 주망원경과 보조망원경 10대 등 총 11대의 천체관측망원경이 설치되어 낮에는 태양의 흑점을, 저녁에는 다양한 별자리를 관찰할 수 있다. 연간 관측일수 190일로 국내 최고 관측여건을 갖추고 있다.
동강과 서강이 영월 도심에서 만나 남한강으로 흘러가는 것이 한눈에 들어온다. 천체투영실에서 가상 별자리 여행을 통해 사전 공부를 한 후 4층 관측실로 올라가 별이 빛나는 밤하늘을 보면서 토성, 오리온성운, 좀생이, 시리우스를 찾노라면 그 어느 순간보다 황홀해진다. 하루 5회 정도의 기본 프로그램이 있으며 예약은 필수. 따뜻한 겉옷을 준비하고 별관찰에 방해가 되는 아이들의 반짝이 신발이나 핸드폰 사용은 주의를 요한다. 천문대 주변을 천문공원으로 만들어 다양한 별자리 설명을 하고 있는 것도 인상적이다.
그 외 12살 단종이 유배되었던 청령포와 장릉역사관에는 단종의 흔적이 있고 4억년의 신비를 간직한 고씨동굴이 볼만하며 한반도 지도를 닮은 선암마을과 거대한 기암괴석인 선돌이 장관이다. 시간의 여유가 있다면 불상 대신 부처님 진신사리를 모셔진 법흥사를 방문해볼만하다. 양산 통도사, 오대산 상원사와 더불어 3대 적멸보궁에 속하는 곳이며 오가는 길에 신선과 노니는 정자 요선정 등 풍광이 수려하다.|chorani7@chol.com
알·아·두·면·좋·아·요 ------------------------ 조선민화박물관관람시간 오전 9시~오후6시(동절기 5시), 관람료 어른 3000원, 중고생 2000원, 초등학생 1500원. 연중무휴 033-375-6100 www.minhwa.co.kr
영월책박물관관람시간은 오전 10시~오후 7시(동절기는 5시) 관람료는 어른 2,000원 중고생 1500원, 어린이1000원. 연중무휴. 033-372-1713,1714 www.bookmuseum.co.kr
곤충박물관관람 시간 오전 10시~오후 6시(동절기는 5시). 월요일과 화요일은 휴관. 입장료 어른 3,000원, 청소년 2000원, 어린이 1,500원. 033-374-5888 www.insectarium.co.kr
동강사진박물관
관람시간은 오전 9시~오후 6시. 관람료는 어른 1000원, 어린이 500원. 1월1일은 휴관. 033-375-4554 www.dgphotomuseum.com
영월별마로천문대
천문대 이용시간은 오후 3시부터 오후 11시이고 매주 월요일과 공휴일 다음날, 명절에는 휴관한다. 이용요금은 성인 5000원 청소년과 어린이 4000원이다. 주차는 무료.
문의 033-374-7460, www.yao.or.kr
난고 김삿갓문학관 033-375-7900,
묵산미술관 033-374-7249,
단종역사관 033-370-2619
먹을 것 : 영월군청 앞 청산회관(033-374-3030)에서 곤드레 나물밥을 먹어볼만하다. 취나물과 비슷한 모양의 곤드레 나물을 섞어 밥을 하는 것으로 양념장에 비벼 먹는데 맛이 너무 좋아 취할 정도여서 ‘곤드레’라는 이름이 붙었다. 법흥사 가는 길에 지나는 주천에서는 가난한 시절 물리게 먹어 ‘꼴두 보기 싫다고 해서’ 이름 붙은 신일식당(033-372-7743)의 꼴두국수가 별미다.
잠잘 곳 : 영월 청령포 옆에 자리한 청령포 모텔(033-374-4114)은 ‘라디오 스타’촬영지로 일박에 3만 원 선이고 주천에서 법흥으로 이어지는 서마니강변에 자리한 서마니관광농원(033-764-1139, www.sumani.co.kr)은 축구장. 수영장, 식당을 갖추고 있어 단체로 머물기 좋은 곳이다. 4~10명이 사용할 수 있는 객실 10여개가 있으며 숙박료는 6~10만 원 선이다.
영월 가는 길 : 영동고속국도를 타고 남원주 IC-치악휴게소-신림IC로 나와 38번국도 영월방면표지판 따라 가면 영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