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와! 교과서가 너무 얇다. 옛날에는 배우는 게 별로 없었나봐."
"저것 봐라. 아빠가 학교 다닐 때 친구들이란다."
경기 파주초등학교(교장 황덕순)에 마련된 파주교육박물관을 찾은 관람객들의 반응이다.
교육 변천 과정 한자리에 지난 4월 파주초에서는 개교 100주년을 맞아 파주교육박물관(이하 박물관)을 개관했다. 1년여의 준비기간을 거쳐 개관한 박물관은 '파주초등학교 100년 사관', '교육역사관', '파주교육관', '옛날 교실 체험관', '야외 전통놀이 학습장 및 야외전시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민속자료관'도 준비 중이다. 또 실물 전시자료 1900여점과 터치스크린, 3D 입체 영상자료 45점이 확보되어 있어 다른 박물관에 손색이 없다.
그동안 박물관에는 10여개 학교에서 단체 관람을 했고 일반인들도 400여명이 넘게 찾았다. 그중 가장 인기가 있는 것은 파주초등학교 100년 사관과 교육역사관. 100년 사관은 파주초가 설립된 이후부터 현재까지 주요 연혁을 중심으로 100년사를 한 눈에 체험할 수 있도록 파노라마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눈길을 끄는 것을 졸업한 동문들이 내 놓은 자료들이다. 이 학교 동문인 김순희 씨는 초등학교 시절 6년간 쓴 일기를 기증하기도 했고, 상장과 통지표 이외에 육성회비 납입통지서 등 지금은 보기 힘든 자료들이 모였다. 100년 전 학교와 학생들의 모습을 담은 사진도 전시되어 있다. 또 직접 찾아볼 수 있는 졸업 앨범(51~97회)과 바닥 유리를 통해 볼 수 있는 각종 메달 및 우승컵은 동문들에게 진한 향수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교육역사관은 삼국시대부터 7차 교육과정이 시행되고 있는 현재에 이르기까지 각 시대별 우리나라 교육제도의 변천과정을 보여주는 곳이다. 특히 1차 교육과정부터 7차 교육과정까지 실제 교과서, 교육자료 등이 전시되어 근대 우리 교육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는 기회가 되고 있다. 또한 실제 자료를 구하기 어려운 근대 이전의 교육 자료는 모형과 홀로그램을 통한 영상자료로 보충하여 학생들에게 인기가 많다.
校·民·官의 합작으로 탄생 12학급의 작은 초등학교에서 교육박물관을 만들게 된 것은 100주년 기념관을 계획하면서 시작되었다. 한때 40학급이 넘는 학교였지만 학생 수가 감소하면서 생긴 학교 내 빈 공간을 활용하고 100년의 역사를 기념하고자 준비된 사업이었다. 그러나 100년간의 역사 자료를 수집하던 중 박물관의 교육적 가치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파주시청과 파주교육청을 비롯한 파주지역주민들의 관심이 모아졌고, 경기교육청에서도 지원을 아끼지 않아 박물관으로 탄생했다. 지역단위에서 교육역사를 정리·보존하여 연구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된 것이다.
박물관을 만드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한 교무부장 박미영 교사(45)는 "우리 박물관을 세밀하게 관찰하면 교육의 과거, 현재, 미래를 볼 수 있기 때문에 많은 학교가 방문해 주길 바란다"며 "앞으로 학예연구사가 파견 배치되어 상주 근무하면서 전문적인 관리 체계를 마련해 진정한 교육의 장으로 활용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지난 9월에 이 학교로 발령을 받은 황덕순 교장(52)은 "전임 교장 선생님(김기풍 현 칠봉초 교장)을 비롯한 많은 선생님과 주민들의 노력으로 만들어진 박물관이니 만큼 더욱 많은 사람들이 찾는 전국적인 박물관으로 발전시킬 것"이라며 "우리의 교육 노하우를 후손들에게 전수하고 교육지표를 만들기 위해 해야 할 일이니만큼 계속해서 가치 있는 자료를 발굴, 보존하는 데 노력하겠다"고 다짐했다.
파주초는 앞으로도 실물 교육자료 및 민속자료를 계속해서 확보하여 박물관을 파주를 대표하는 문화재로 만들고 '파주향교'나 '수리홀 통일체험 학습장'과 연계한 체험 학습 프로그램 등을 개발하여 많은 사람들이 박물관을 찾도록 할 계획이다. 박물관의 단체 관람을 원하는 학교나 단체는 홈페이지(www.paju.es.kr)에서 신청 양식을 다운 받아 관람 15일 전까지 접수하면 된다. 일요일과 공휴일을 제외한 날(10:00~17:00)에 개방을 하고, 개인 방문도 가능하다. 관람 문의 : 파주초 교무실 031-952-4216 | 엄성용 esy@kft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