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지금 어디에 서 있는 것일까? 현재는 과거의 산물이다. 미래는 오늘 우리가 무엇을 생각하고 무엇을 실행하는가에 따른 결정체이다. 대니얼 앨트먼 뉴욕대 경제학과 교수는 한국의 장래에 대하여 현재 상태로라면 일본의 경기침체를 그대로 답습하게 될 것이라고 이미 경고했다. 한국과 일본의 인구, 국내총생산(GDP) 등 경제 성장 과정을 살펴봤을 때 일본의 15~20년 전 경제 상황이 한국의 현재와 매우 비슷하다는 것이다.
그는 일본의 30년 전 경제상황은 지금의 중국 경제 상황과 정확히 일치한다고도 했다. 그는 “한국을 비롯한 신흥 국가는 모두 도시화를 통해 성장했고 값싼 노동력으로 상품을 수출해 발전해 왔기 때문”이라며 “일본이 이러한 성장동력이 소진되자 경제발전이 멈춘 것처럼 한국도 지금 기로에 섰다”고 말했다.
앨트먼 교수는 현재 직면한 한국 사회의 문제로 ‘혁신과 기업가 정신 부족’을 꼽았다. 그는 “지난 50년간 한국이 겪은 눈부신 성장을 앞으로도 계속할 수 있을 것 같은가”라고 되물었다. 그는 “한국은 교사나 부모가 학생이 창업하길 바라지 않는다”며 “학생 역시 아이디어로 창업하기보다는 대기업에 취직하기를 바란다”고 지적했다.
그는 “한국의 지적재산권 보호는 독일·싱가포르 등 경쟁국가에 비해 미흡하다. 또, 한국 경제에 10대 재벌이 차지하는 비중이 75%에 달하는 기업 풍토 역시 경쟁 활성화에 도움이 되지 못한다”면서, “이러한 환경이 한국이 신성장 동력을 찾는 데 걸림돌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한국이 가진 강점도 언급했다. 1인당 연구비가 높고 정부 출연 연구 프로젝트 등 연구 생산성이 뛰어나다는 점이다. 앨트먼 교수는 “앞으로 한국 정부는 한국이 가진 장점과 단점을 잘 파악해 교육과 경제 전반 정책에 창의성과 혁신이 강조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렇다면 한국이 일본의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해 어떤 국가를 ‘롤 모델’로 삼아야 할까. 그의 저서인 '10년 후 미래'에서 앨트먼 교수는 중국은 미국을 뛰어넘지 못할 것이고 결국 미국만이 세계 최고의 경제대국으로 남아 있을 거라고 전망한 바 있다. 그럼 한국 역시 미국을 롤모델로 삼아야 하는가’에 대하여 그는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한 국가만이 아니라 여러 국가를 보고 좋은 것만 뽑아 새로운 모델을 만들어도 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