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2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나는 오로지 '나'이기에 소중하다

교육은 유전과 환경의 작용이라는 개념을 바탕으로 한다. 유전과 환경의 영향 정도를 숫자로 규정하기는 어렵지만 유전성의 힘은 무시할 수 없다. 살다 보면 드물지 않게 이 같은 얘기들을 주변에서 들을 수 있다. “그 집 형제는 너무 달라. 분명 한 부모 아래 태어난 친형제인데 둘이 달라도 그리 다를 수 있을까.” 피를 나눈 사이는 아무래도 닮은 구석이 많게 마련이다. 그러나 일란성 쌍둥이 정도를 빼고는 세상에 똑같은 사람은 사실상 없다. 일란성 쌍둥이조차도 후천적인 영향까지 감안하면 생물학적으로 완전히 같다고는 할 수 없다.

최근 들어 이민족 혹은 다른 인종 간의 ‘혼혈’은 과거보다 한층 활발해지는 양상이다. 외모만 보고는 출신 민족은 말할 것도 없고 심지어 인종을 짐작하기도 어려운 예가 있을 정도이다. 도대체 사람은 어느 정도나 서로 다를 수 있을까. 개개인의 유일성이 유전자와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다고 가정하면, 유전자의 다양성은 곧 인간의 다양성을 유추하게 하는 유력한 잣대가 될 수 있다.

유전자를 이루는 기본 단위인 핵산(DNA) 기준으로 서로 다른 사람이 존재할 가능성을 계산하면 상상조차 하기 힘든 천문학적 숫자가 나온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미국 스탠퍼드 대학 연구팀의 계산에 따르면, 아주 낮춰 잡아도 DNA 차원에서 무려 2천 자리 숫자의 서로 다른 사람이 생겨날 수 있다. 1조는 13자리 숫자이다. 무려 2천 자리의 숫자 하나를 종이 위에 쓰려면 그 자체로 20~30분쯤은 걸리지 않을까.

때문에 같은 사람이 지구상에 존재할 확률은 ‘0’에 가까울 정도로 낮다는 건 거의 확정적이다. 그렇다면 그 많은 다른 사람들을 비슷한 그룹으로 무리 짓는 게 가능할까. 답은 알쏭달쏭하게도 그럴 수도 있으며 그렇지않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인류는 보통 동양인, 유럽인, 아프리카인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실제로 전문가가 아닌 사람이라도 인종 정도는 외모만 보고서도 가려낼 수 있는 경우가 흔하다.

하지만 유전자 차원에서 접근하면 얘기가 꼬인다. 단적인 예로 같은 민족 혹은 인종끼리가 다른 민족 혹은 인종보다 유전적으로 닮았는지에 대해서는 뭐라 확답하기 힘들다. 다시 말해 A라는 한국 사람이 B라는 중국 사람보다는 C라는 한국 사람과 더 닮았다고 유전적으로 결론 짓기 어렵다는 것이다.

미국 유타 대학에서 이뤄진 한 연구에 따르면 유럽인 가운데 아시아인들에게서 흔히 보이는 유전적 특징을 가진 사람들이 적지 않았다. 이 대학 팀은 1,056명의 유럽인들을 대상으로 337개 유전자 부위를 조사했는데, 유럽인을 닮았다기보다는 아시아인을 더 닮은 유럽인들이 38퍼센트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같은 민족끼리는 유전적으로 더 닮아 있을 개연성이 큰 것 또한 사실이다. 하지만 닮은 외모를 바탕으로 유전적으로 서로 닮아 있다고 추정하는 것은 섣부르다. 살다 보면 전적으로 남인데도 간혹 외모가 닮은 사람들을 발견할 수 있다.

하지만 외모를 결정하는 유전자는 인간의 수많은 유전자 중 극히 일부분일 수 있다. 바꿔 말해 겉으로 닮지 않은 듯한 두 사람이 DNA 배열 차원에서는 서로 더 많이 닮았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말이다. 일란성 쌍둥이를 제외하고는 세상에서 서로 가장 닮을 확률이 높은 사람은 부모·자식 간이다.

일란성 쌍둥이가 닮았다고 하지만 어떤 환경에서 자라 어떤 교육을 받느냐는 교육을 담당하는 사람들이 반드시 알아야 할 중요한 기본적 명제이다. 다수의 사람들은 무엇이 잘 안되면 타고난 것을 원망한다. 그러나 그 원망속에는 자신의 책임이 아니라는 속내가 들어 있기도 하다. 문제는 좋은 경험을 제공하는 환경이 교육에서 중요한가를 깨닫고 이를 찾는 노력이 교사들의 미션이 된다면 세상은 좀 더 달라질 것이다.

세상에 똑같은 두 사람이 존재할 가능성은 우주에서 똑같은 두 개의 별을 찾아내는 것만큼이나 적을지도 모른다. “나는 이 세상에 오로지 나”인 것이다. 그래서 내가 이처럼 귀하고 소중한 존재임을 알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소중한 존재이기에 아무렇게나 나를 방치하는 것은 청지기의 사명을 망각하는 일일 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