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람아, 모든 사람에게 주어진 24시간은 신이 인간에게 공평하게 허락한 선물이다. 어느 사람에게도 25시간은 주어질 수 없다. 부자든 빈자든 유명한 사람이든 그렇지 않은 사람이든 간에 모든 사람에게는 24시간이라는 아주 균등한 선물이 주어진다. 그러나 그 선물을 어떻게 사용하는 것은 전적으로 개인이 책임을 지게 되는 것이다. 현재와 미래는 어떻게 하면 시간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것인가에 따라서 결정되지 않는가 생각을 할 때가 많다. 사람들을 만날 때마다 이런 질문을 자주 받는다.
“그 바쁜 속에서도 어떻게 그 많은 칼럼을 쓰면서도 생활할 수 있는가? 그 비결이 무엇인가?” 그런 이야기를 자주 받는다. 그럴 때마다 생각하는 것이 “시간 경영” 이다. 우리는 모두 자기의 경영자이다. 자기의 주체이다. 1인 회사이기에 내가 나를 경영하지 못하면 실패한다. 시간 경영이 자기경영이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자기 경영에 성공해서 자신이 원하는 꿈을 성취하는 사람들은 대부분이 시간을 경영하는 데 성공한다.
시간을 경영할 때 우리가 지켜야 할 몇 가지 원칙이 분명히 있다. 그것은 바로 항상 목표를 세워서 생활하는 것이다. 아주 작은 시간을 보내더라도 그 시간 동안 내가 해야 할 일을 명확히 할 수 있다면 누구든지 자신들이 사용하는 시간을 좀 더 효율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많은 사람이 어떻게 시간을 낭비하느냐는 부분을 조사해보면 가장 많이 등장하는 부분이 ‘목적이 없는 시간사용이다.’ 앞으로 어떤 일을 하던 하루를 보내든 일주일을 보내든 시간 내에 내가 도달해야 할 목표, 성취해야 할 목표들을 늘 기록하는 습관을 하게 된다면 큰 효과를 볼 수 있지 않을까.
시간이라는 것은 양적 개념이 아니고 질적 개념으로 이해하는 것이 좋다. 짧은 시간이라도 집중력을 높일 수 있다면 그만큼 업무라든지 무슨 일이라도 생산성을 크게 올릴 수 있다.
이따금 자신이사용하는 시간을 한번 기록해 보시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다. 시간을 기록해보면 어떤 부분에서 습관적으로 시간이 낭비되고 있는가? 그런 부분들도 찾아내게 된다. 대개 시간은 습관적으로 낭비된다. 그래서 어떤 면에서 보면 시간을 사용하는 것은 습관이다. 그래서 그 습관을 찾아내기 위해서 사용하고 있는 시간을 기록해 보는 습관을 한번 시도해 볼 필요가 있다.
모기업의 아주 높은 직책에 있는 임원 한 분이 스스로 시간도 관리해 가면서 규칙적으로 자기를 도와주는 비서로 하여금 자기의 시간 사용처 내용을 마치 돈을 쓰고 난 다음의 계산서를 받는 것처럼 한 달, 일주일 이렇게 보고를 받는 것을 보았다. 그것을 통해서 나도 전체적으로 24시간의 시간을 어떻게 하면 더 조정해 나갈 것인가. 이런 부분을 고민하는 것을 본 적이 있다.
또 한 가지 염두하여 둘 것은 자투리 시간을 가볍게 여겨서는 안 된다. 많은 사람이 1분, 5분, 10분 정도를 아주 우습게 여긴다. 언젠가 어느 분의 인터뷰에서 ‘직장인들이 저녁 6시부터 9시까지의 시간을 어떻게 보내는가를 보면 그 양반의 미래가 결정된다.’는 이야기를 들은 기억이 있다. 우리가 하루에 2~3시간 정도의 일과 후의 시간을 활용하기에 따라서 자신의 행복과 미래를 준비하는데 더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믿는다.
그렇게 잘 시간을 활용한다면 네가 현재는 어렵게 느껴지는 고교진학도 무사히 통과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 이제 3월이니 앞으로 시간 활용계획을 잘 세워 진학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