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1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다독다독 읽으면 길이 보인다

세상은 날이 갈수록 복잡해지고 해결해야 할 문제가 단순하지 않다. 그래서 문제 상황에 맞고 시대에 적합한 해결책을 찾아야 하는 시대이다. 이 문제 해결력은 궁극적으로 교육을 통해 가능하다. 그 포커스가 자신의 능력을 키우는 것으로 어디에서 기를 것인가이다. 상당 부분은 자기 주변의 사람들을 통하여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사람이 항상 내 주변에 있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책을 많이 읽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지금 책을 누가 읽는가? 지식도 빈익빈 부익부 시대가 되고 있다. 문제 해결에는 필수적인 것이 문제에 대한 지식이 없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한다면 바로 한자로 ‘다독다독(多讀多讀)’은 글자 그대로 ‘많이 읽고 많이 읽는다’는 뜻으로 제대로 읽어야 한다. 다독다독의 저자인 한기호는 책의 서문에서 중국 명말청초의 계몽사상가 고염무의 말을 빌려 다독을 설명한다. ‘만 권의 책을 읽고, 만리 길을 다녀라(讀書萬卷 行萬里路·독서만권 행만리로).’

저자는 어떻게 만리행(萬里行)을 할까. '한기호의 다독다독'에 실린 글들은 다섯 가지 테마로 묶여 있는데, 각각의 테마 제목이 저자의 ‘만리행’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관(觀)-세상의 눈으로 책을 보다, 독(讀)-책으로 세상을 읽다, 감(感)-책, 감동의 순간을 느끼다, 락(樂)-책과 더불어 놀다, 창(創)-책, 상상력의 세계를 펼치다. 이 ‘관·독·감·락·창’을 저자는 ‘오감의 책읽기’라고 표현한다. 책과 세상을 환류하면서 느끼고 놀고 상상하는 저자 나름의 만리행 방법이다. 그런 점에서 ‘다독다독’을 세상과 인간사를 다독인다는 우리말로 읽어도 무방하다.

우리나라는 1980년대 말 국가적 어려움을 당했다. 바로 외환위기였다. 필자도 사업가는 아니지만 아이들을 대학에 보내면서 급여가 삭감됨으로 생활이 힘든 시기가 있었다. 외환위기 이후 실직과 취업난에서 벗어나지 못한 국민들이 ‘내가 못난 탓’이라며 너도나도 ‘스펙’ 쌓기 등 자기계발에 나섰기 때문이라고 분석한다. 그러나 '누가 내 치즈를 옮겼을까' 같은 자기계발서들에 대한 지나친 관심은 우리의 덫’이 아닐까? 외환위기로 ‘하루 아침에 해고 통보를 받고 쫓겨난 직장인은… 저항하지 말고… 새로운 치즈를 찾아 나서야 합니다. 그야말로 철저한 환경 순응의 철학을 가르치고 있다.’ 그만큼 개인의 역할만을 강조하는 것은 국가르 비롯하여 기업 등 공동체 사회가 제 역할을 잘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명박 정권이 들어선 뒤 ‘자기치유(셀프힐링)’란 키워드가 출판 시장을 점령한 현상도 마찬가지다. 세대를 가리지 않고 불안을 안고 사는 시대, 책을 통해서라도 ‘한 줄의 위로’를 받고 싶어했던 국민들의 심정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인생 수업> <마지막 강의> <엄마를 부탁해> <아름다운 마무리> 등 죽음에 관한 책들도 ‘삼초땡(30대 초반이면 인생 땡)’으로 상징되는 ‘막장 인생’에 대한 반영이라 할 수 있다. 한기호가 쓴 56편의 글은 경제 위기, 민주주의 후퇴는 물론 교육문제, 노령화 문제, 소셜네트워크 열풍, 싱글족 등 사회문제 이면의 모습과 그에 대한 비판을 책을 매개로 읽을 수 있다.

날이 갈수록 다양한 기기들이 우리 생각을 유혹하면서 우리의 뇌는 편안함을 추구하는 모드에 길들여져 가고 있다. 이는 잡코리아가 최근 조사한 일반 직장인들의 평균 독서량은 월 1권이 못된다하니 우리의 미래를 찾는 길을 모색해야 할 것 같다. 문제는 독서란 불편하고 고단하지만 주체적인 행위이다. 책을 고르는 일부터 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사고하고 되새기는 과정이 온통 그러하다. 더욱이 책을 읽은 뒤 세상을 보는 눈, 일에 임하는 자세와 방법이 달라지면서 삶은 능동적이고 풍부하게 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는 사실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