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5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좋은 질문은 좋은 체험에서 나온다

모처럼 남도 지역에 있는 섬지역을 찾아 가을의 정취를 느끼는 시간을 가졌다. 동행한 다른 한 가족은 할아버지가 손주 녀석 둘을 데리고 동행하였는데 옆에서 들어보니 할아버지에게 하는 질문이 참 많았다. 서울에서 산 아이는 시골의 자연 현상에 대한 것을 묻는 것이다. 산과 바다 그리고 풀과 숲이 어우러진 여수의 남쪽바다 금오도의 비렁길은 자연을 오감으로 체험할 수 있는 좋은 환경이었다. 게임과 휴대폰에 찌든 아이들이 이처럼 모든 것을 내려 놓고 땀을 흘리면서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은 그들의 성장에 소중한 체험이 될 것이다.

얼마전 학교에서 진로탐색 강의를 할 때 강사가 '선생님에게 질문을 많이 하는 것이 좋다'는 이야기를 듣고 강의를 마친 후 '어떻게 하면 질문을 잘 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한 적이 있었다. 질문이야 말로 아무 것이나 한다고 해서 끝나는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질문을 하는 수준을 보면 그 사람의 지적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가늠자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누구나 자신을 알아차려 가면서 아무것이나 질문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된다.

자연의 오묘함은 단순한 관찰의 대상만이 아니라 우주와 인간을 바라보는 철학을 낳는 영원한 교과서가 아닐런지! 깍아지른 절벽을 보면서 수만년이 넘는 시간을 바닷물과 접하면서도 변하지 않는 이유를 찾는 다던지, 밤에 볼 수 있는 은하계의 아름다움은 우주의 원리가 무엇인가를 깨닫게 하는 좋은 학습자료가 될 수도 있다. 이런 환경을 접하면서 알게 되는 자연은 경탄의 대상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경탄의 대상이 된다는 것은 사람의 가슴을 뛰게 한다. 단순히 무엇인가를 잘 아는 것과 가슴을 두드릴 정도로 무엇인가를 정열적으로 사랑하는 것은 완전히 다른 것이다.

게임을 좋아하는 아이는 누구보다 게임에 대해 많은 것을 알고 있을 것이다. 등산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웬만한 산이나 등산 장비에 대해 다른 사람들이 혀를 내두를 만큼 포괄적으로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카프카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카프카의 작품뿐만 아니라 그의 시시콜콜한 그의 삶에도 정통하게 될 것이다. 아마 그는 카프카의 도시 프라하도 몇 번이고 방문했을 것이다. 그렇지만 그 반대는 성립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다양한 게임과 그것의 작동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아는 사람이라고 해서, 그가 반드시 게임을 사랑한다고 말할 수는 없다. 그는 단순히 게임 업체에 다니고 있기에 그것을 알고 있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등산 업체를 운영하는 사장은 등산 장비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하여 그가 산을 좋아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는 단지 생계를 위해 등산 장비 사용법을 숙지해 두었을 뿐이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카프카의 작품과 그의 생애에 대해 잘 아는 사람이라고 하더라도 그가 카프카를 사랑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는 독문과 교수로서 강의를 위해 카프카를 요령껏 정리하고 있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우리는 중요한 사실 한 가지를 얻게 된다. 그것은 무엇인가를 안다고 해서 반드시 그것을 사랑하는 것은 아니지만, 반대로 무엇인가를 사랑하게 되면 우리는 그것에 대해 다른 사람이 넘볼 수 없을 정도로 잘 알게 된다는 교훈이다.

학교에서든 가정에서든 우리 교육의 가장 큰 병폐는 앎과 사랑 사이의 관계를 거꾸로 설정하고 있다는 데서 찾을 수 있다. 수학을 예로 든다면, 선행학습이든 뭐든 수학을 열심히 가르쳐서 그걸 잘 하게 되면 아이들이 수학을 사랑하고 있다고 착각하기 쉽다. 그렇지만 과연 그 아이는 나중에 수학을 전공하는 학자가 되어 경천동지할 공리를 발견하는 학자로 자랄 수 있을까? 아마 힘들 것이다. 오직 수학과 그것이 열어놓은 수적 세계를 사랑하는 학생만이 그 일을 해낼 수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결국 교육은 아이들에게 사랑할 수 있는 것을 찾아주는 것으로 시작되어 그것으로 끝나야 한다. 만일 아이들이 사랑하는 것을 찾는다면, 그들은 누가 시키지 않아도 그것을 알아갈 테니까 말이다. 이렇게 사랑하는 것을 찾는 순간부터 독창적인 지성으로 자라게 될 것이라 믿기 때문이다.

한 아이가 좋은 부모를 만났다. 사랑하면 알게 된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었던 부모는 아이가 사랑하는 것을 찾을 때까지 옆에서 끈덕지게 지켜봐 주었다. 그러니 방학 때처럼 여유가 있을 때, 아이는 다양한 곳과 다양한 것을 경험할 수 있었던 것이다. 여름방학 때 이 가족이 지리산에 올라간 것이 결정적이었다. 밤하늘을 수놓은 은하수를 보고 아이는 우주에 매료됐던 것이다. 마침내 아이는 사랑하는 것을 찾은 것이다. 이후 아이는 천체 망원경도 사고, 인터넷에서 자료도 검색하고, 가끔은 어려운 천문학 책도 구해 끙끙거리며 보게 될 것이다. 당연히 이 아이의 전공은 천문학이 될 것이다. 별을 그리고 우주를 사랑하는 사람이니 그가 어떻게 천문학을 포기할 수 있다는 말인가. 마침내 그는 대학 교수가 되어 강단에 서게 됐다. 첫 강의에서 그는 무슨 질문을 하였을까? 아마도 “여러분! 은하수를 본 적이 있나요? 멋지죠.”

다른 아이가 한 명 있다. 자본주의가 지배하는 우리 시대에는 절대로 그런 일은 없겠지만, 사회가 변해 천문학을 공부해야 대기업에도 다니고 고위 공무원이 되는 시대에 그 아이가 살고 있다고 하자. 아마 부모들은 아이의 출세를 위해 천문학을 공부시키려고 혈안이 될 것이다. 선행학습도 시키고, 대학에서 개최한 천문학 캠프에도 아이를 데리고 가며, 부모로서의 열정을 활활 불태울 것이다.

물론 여기서 아이가 무엇을 사랑하는지는 전혀 중요하지 않다. 마침내 부모의 노력이 헛되지 않아서인지, 이 아이도 천문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고 마침내 대학 교단에 서게 됐다. 강의를 시작할 때 그의 첫마디는 무엇일까. “여러분! 첫 페이지를 넘겨보세요. 여기에 우리가 한 학기 동안 공부할 전반적인 내용이 요약돼 있습니다.”가 나오지 않을까 가상해 본다.

요즘 아이들은 어린 시절부터 영어와 수학 등 자신들이 보기에 어려운 것들과 사투를 벌이고 있는 모습이다. 사실 필자가 자라던 시절은 '왜 영어를 해야하는가?'에 대하여 선생님의 진지한 이야기를 들어본 기억이 전혀 없다. 지금 돌이켜 보면 아마 그 선생님들 자신이 배운 영어 속에는 그러한 꿈이 녹아있지 않을 가능성이 높았기 때문이 아닐까? 그저 시험이 있으니까, 남보다 좋은 성적을 내야 하고 그것이 학습의 결과로 부모님에게 전달되기 때문이 아니었는가 생각된다.

오늘날 아이들도 그저 학습 진도에 얽매어 자신이 하는 일에 기쁨과 감동 그리고, 목표가 없이, 질문이 없다면 일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학습 시간이 얼마나 지루할 것인가를 생각해 본다. 그러는 사이에 우리 아이들은 물고기가 되어 세상의 여러 먹이감에 낚이고 있는 것은 아닌지 반성해 보는 시간이 필요해 보인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