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1 (목)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문화·탐방

다문화 가족, 인식 변화가 필요하다

한국사회가 급속도로 다문화 사회로 바뀌고 있다. 2012년 기준 다문화 가족은 약 70만명(결혼 이민자 및 인지·귀화자 약 27만명, 자녀 약 17만명, 한국인 배우자 포함)에 달한다. 한국인 100명 중 약 1.4명이 다문화 가족의 일원이라는 통계이다. 이같은 추세라면 2020년경에는 다문화 가족이 100만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는 것이다.



2000년대 초반부터 2005년까지 국제 결혼이 급격하게 늘어나면서 크고 작은 사회 문제들도 발생했다. 한국에 건너온 이주 여성이 남편에게 학대를 당하거나 일방적인 이혼 통보를 받는 경우도 있었고, 언어적·문화적 장벽에 부딪쳐 한국생활에 적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외국계 한국인을 수용하지 못하는 우리 사회 특유의 폐쇄성도 이들을 힘들게 한다.  대중교통 차량에서 이들 옆에 앉기를 주저하는 등 이주민들이 피부로 느끼는 차별은 심하다. 다문화 가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늘어난 반면 그들의 문화를 존중하고 그들을 이 사회의 엄연한 구성원으로 받아들이려는 노력은 부족한 것이다.

정부는 이같은 결혼 이주민들을 안정적으로 정착시키고 국제 결혼 문화를 건전하게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이어왔다. 2008년 다문화가족지원법이 시행된 이후 여성가족부는 법을 개정해 다문화 가족의 범위를 확대하고 지방자치단체에 전담 부서를 설치하는 등 이들을 지원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중개업소가 난립하며 국제결혼 과정에서 폐해가 생기는 것을 막기 위해 관련 법률을 개정하고 국제결혼 중개업 등록 기준을 강화했다.

한국어 교육과 통역 서비스 등 맞춤형 지원을 실시하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도 2009년 100개소에서 2012년 206개소로 배 이상 늘었다. 이곳을 이용하는 결혼 이민자 수도 전년보다 23퍼센트 늘어 2012년 6만5천여 명에 이르렀다고 한다.

제도가 개선되고 지원책이 이어지는 와중에도 다문화 가족이 겪는 가장 큰 어려움은 남아 있다. 바로 자신들을 바라보는 편견 어린 시선이다. 중국에서 온 한 이주 여성은 “한국 사람들은 자꾸 ‘중국에서 가난을 못 이기고 한국으로 시집왔다’며 불쌍하다는 시선으로 봐요. 대놓고 무시하는 경우도 많고요.”라며 차별을 털어놓은 내용이다. 결혼 이민자가 28만명에 육박하는 와중에도 이들은 이같은 편견과 왜곡된 시선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가정에서 자란 아이들이 학교에서 겪는 어려움도 많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친구들로부터 받는 상처는 지우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이들에게 따스하게 다가가는 손길이 되도록 지도하는 일은 교육의 몫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다문화 가정에서 자란 자녀 세대는 교육을 잘 받기만 하면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지닌 글로벌 인재로 성장할 수 있다. 취업에 성공한 이주 여성은 어엿한 경제 주체로서 사회 전체의 생산력 향상에 보탬이 될 것이다. 다문화 가족은 더 이상 소수자나 소외계층이 아닌 우리 곁에서 함께 생활하는 이웃이다. 그들에게 한국이 희망의 땅이 되도록 차이는 인정하고 차별을 없애는 인식의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