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1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최후의 승리자가 되기 위해서는

우리 사회는 엄청난 경쟁사회이다. 그래서 아이들은 초등학생 때부터 심한 경쟁을 이기기 위해 다양한 것들을 배우느라 고생이 많다. 1등만이 살아남는 경쟁구도 속에서는 1등도 항상 쫒기기에 행복한 것이 아니다. 그래서 1등 자신을 포함한 그 누구도 행복해질 수 없다고 생각한다. 그렇다고 2등부터 꼴찌까지가 불행해야 하는 건 아니다. 필자는 중학교 1학년 딸 아이와 초4 아들을 데리고 일본에 갔다. 학교에 가서 보니 두 아이 모두 이중 장애를 겪고 있었다. 아무것도 들리지 않고 말하지 못하는 장애아로 살게 된 것이다.

아이들이 학교생활을 시작한 지 3개월이 채 못가 딸 아이가 중간고사를 보게 됐다. 영어,수학을 제외한 모든 과목이 10~30점대. 석차는 바닥이었다. 나라를 바꿔 전학을 할 때 초반엔 이처럼 고전을 하게 된다. 그러나 성적 때문에 크게 좌절하지도 실망하지도 않았다. 다행히 담임이나 교과지도 선생님들은 일본어가 유치원생도 안된다고 과외를 하라거나 학원을 보내어 부모에게 학습을 강요하지 않고 '넌 할 수 있어' 격려하면서 자상한 지도를 해 주셨다. 그 지도 덕분에 아이들은 학교생활을 하면서 때론 힘들때도 있었지만 무사히 마치고 귀국하여 성인이 되어 잘 적응하고 있다.

그런데 그 무렵에 나보다 먼저 귀국한 친구 자녀들은 귀국후유증을 심하게 앓고 있다는 연락이 왔다. 입학한 학교에서 그 시험석차에 따라 우열반을 나누기로 했단다. 수학과 영어 수업만 공부 잘하는 그룹과 못하는 그룹을 나눠 진행했는데, 40등인 아이는 당연히 ‘열(劣)’ 반이었다. 그렇게 얼마간 학교생활을 하면서 납득할 수 없는 일들이 눈에 띄기 시작했다니 대부분 귀국 자녀들이 겪는 아픔 가운데 하나일 것이다.

문제는 대부분의 선생님들이 공부를 잘하는 아이를 예뻐한다는 거였다. 어린 아이 눈에도 선생님의 행동은 문제로 보였다. 공부는 못해도 그림을 잘 그리는 아이, 운동을 잘하는 아이, 노래를 잘하는 학생도 있는데, 왜 선생님들은 꼭 공부를 잘해야 예뻐하는 걸까…. 궁금한 아이가 한 선생님에게 물어봤단다. "공부를 못하는 것도 속상한데, 선생님들의 미움까지 받으면 심정이 어떻겠느냐"고. 선생님은 빙긋 웃어 보이더니 “이 녀석아, 그러니까 열심히 공부해”라며 아이 머리에 가볍게 꿀밤을 때리고 돌아섰다는 것이다.

20년 세월이 훌쩍 흘렀지만 한국 사회는 그다지 달라지지 않았다. 상당수의 고등학교는 유명대학 합격을 목적으로 별도 관리를 하지만 그렇지 못한 대부분의 아이들에게는 별로 관심이 없어 보인다. 그저 모아서 자율학습을 하라는 것이다. 이처럼 학교와 직장 가릴 것 없이 모두가 최고를 향해 돌진하는 맹렬 사회다. 태어나는 순간부터 무한 경쟁을 해야 하는 게 우리의 운명이 돼 버렸다.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우리나라가 세계 10위권의 경제대국이 될 수 있었던 게 우리의 교육열이라는 사실을 부정하는 게 아니다. 하지만 이런 현상이 가열돼도 괜찮은 것은 분명 아니다. 우리보다 일찍이 저출산·고령화 사회에 진입하고 오늘날 정치·경제·사회 모든 분야에서 정체를 경험하고 있는 일본에서 보는 한국은 활력이 넘치는 부러운 존재다. 일본 선생님들은 한국학생들이 밤늦게까지 공부하는 것도 부러워한다.

최근에는 한국 기업들의 활약도 대단하지만 일본, 유럽보다 높은 83%에 이르는 대학 진학률, 세계에서 활약하는 스포츠·한류스타 등을 보고 있노라면 누구나 '한국은 레벨이 다르다'고 평가하기도 한다. 그러나 아직 우리는 학문 분야에서 이들보다 앞선 것은 결코 아니라는 사실이다. 우리는 우리의 자녀들이 초등학교 때 우등생이 되면 만족할 것인가? 아니면 중고 대학시절, 성인이 되어서 우등생이 되지 못하면 그 많은 노력을 하고 죽도록 고생을 해도 최종적으로 별볼일 없는 평가를 받는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이제 최후의 승리자가 되기 위해 지금까지 우리가 걸어온 길을 되돌아 보아야 할 때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