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는 책임이 막중한 지도자이다. 그러나 교사의 수가 많아 희소성이 없어서인지 교사 자신이 스스로 지도자라는 인식이 약한 것도 부인하기 어렵다. 학기초가 되면 담임을 맡고 부장이 되고 여러 가지 업무를 맡는다. 그러나 크나큰 혁신을 하지 않아도 되는 작업환경이다보니 변화에 대한 감각이 무딘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아이들은 수시로 변화를 거듭하기에 지도자로서 성공하려면 자신의 방법을 항상 변화시킬 준비를 해야 한다.
과거 60, 70년대 우리는 너무 가난했기에 잘 먹고, 잘 사는 일, 성공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했다. 그래서 열심히 공부하고 일을 해서 돈을 벌고, 지식, 지위를 갖는 것이 중요했다. 잠을 줄여가면서 열심히 공부했다. 4시간 이상 잠을 자면 좋은 학교에 입학하는 것은 불가능 한 일처럼 보이기도 하였다. 우리 마을에서도 논밭을 팔아서라도 자식 공부만은 시키고 싶어 했다. 자식이 공부 잘하는 것, 유명대학에 들어가는 것이 부모들의 한결같은 소원이었다. 대학에 들어가는 것이 유일한 성공의 길처럼 보였다. 성공을 외치면서 장소와 밤낮을 가리지 않고 열심히 일을 했다. 베트남 전쟁터에서, 사막의 중동에서, 알래스카에서 목숨을 걸고 일을 했다.
잘 먹고 잘 살기 위해서 우리는 일에 속도를 냈다. 빨리 빨리 외치면서 전속력으로 달렸다. 앞차를 추월하기 위해서 우리는 모험을 하고 또 했다. 위험한 고비를 잘 넘기기도 했지만 악, 엇 하는 사이에 ‘쾅’하면서 저 세상에 먼저 간 사람도 있다. 사고로 인해서 평생 고생하는 사람도 있다. 속도를 내다보니까, 서두르다 보니까 서투르게 되었다. 그러다 보니까 건물도 붕괴되고, 인간관계가 깨지고 사람이 다치게 되었다. 건강이 상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그런 것들은 문제가 안 되었다. 배가 부르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좋은 집, 멋진 차, 돈, 지식, 지위를 얻을 수가 있었다. 많은 사람들이 우리의 성공을 칭찬하고 부러워했다.
2012년 5월 현재, 대한민국은 경제적으로 매우 풍요한 나라가 되었다. 일인당 국민소득 20,000불, 반도체 세계 1위, 조선 세계 1위, LCD 세계 1위, 자동차 세계 4위, 세계에서 10위권의 경제적으로 부유한 나라가 되었다. 징기스칸은 히틀러, 나폴레옹, 알렉산더 대왕이 차지한 영토를 합한 것 보다는 더 많은 영토를 차지한 칸이었다. 많은 사람들이 징기스칸이 이룬 업적을 위대하다고 하는데, 한국이 지난 50년간 이루어낸 역사는 징기스칸이 이룬 것보다도 더 위대한 업적이라고 많은 경제학자들은 이야기한다. 이러한 역사는 인류가 존재하는 한 앞으로는 이루어지기 힘든 역사라는 것이다.
이제는 못 먹어서 걱정이 아니라 많이 먹어서 걱정을 하는 시대가 되었다. 못 먹어서 생기는 병인 영양결핍, 결핵 등이 문제가 아니라, 많이 먹어서 생기는 병인 고혈압, 당뇨, 뇌졸중 등이 문제가 되었다. 암이 가장 무서운 병이 된 것이다. 가슴이 아플 때는 병원에 가서 진찰을 받아 보면 스트레스, 신경성이라고 한다. 처방은 스트레스 받지 말고 쉬라는 것이다. 그래도 성공, 성공 하면서 일을 하다보면 숨이 목에까지 차게 된다. 목에까지 숨이 차는 것을 목숨이라고 한다. 목에까지 숨이 차면 견딜 수가 없다. 자살을 하게 된다. 최진실, 정몽헌, 박용오, 노무현 등 연예인, 경제인, 정치인 많은 사람들이 자살을 선택했다.
자살을 거꾸로 하면 살자가 된다면 말을 하던 최윤희씨도 자살을 했다. 자살을 하지 않으면 “너 때문이야” 하면서 상대방을 원망하게 되고 상대방을 쏘아 죽이게 된다. 미국 버지니아 공대 조승희씨 사건, “세상 사람들이 내 속 타는 것을 몰라준다고 하면서 숭례문에 불을 질러서 태워버렸던 사건, 왕따, 공부를 견디지 못한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들이 자살을 하는 사건이 아직도 진행중이다. 살만 한데 의식주 수준은 세계에서 3%안에 드는 잘 사는 나라가 되었는데, 불행하게도 자살율 세계 1위, 이혼율 세계 1위, 저출산율 세계 1위가 되었다. 왜 그런가? 일 일 하면서 일에 속도를 내다보니까 사람이 보이지 않게 된 것이다.
어머니의 손을 잡고 갓 입학한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물었다. “공부 재미있어요?” 학생은 “재미없어요, 죽기보다 공부하기 싫어요.” 아이들은 공부하기가 죽기보다 싫다고 하는 것이 아닌가? 아이들이 죽기보다 싫다는 공부를 우리는 어떻게 시키는가? 공부를 우리는 아이들에게 죽도록 시킨다. 아침부터 저녁, 밤까지 시키는 나라는 드물다. 학생들이 때리고, 맞고, 왕따 당하고, 자살하고 하니까, 인성이 중요하다고 너도 나도 외치고 있다. 그러면서도 학교에서는 공부(일)만 가르친다. 공부가 재미없다고, 죽기보다 싫다고 학생들이 이야기해도 죽도록 공부를 가르친다.
왜냐하면 속도를 내서 일을 하는 것에 익숙해 있기 때문이다. 사람, 인성이 중요하다 중요하다고 외치지만 사람, 인성을 중시하는 모범을 볼 기회가 별로 없었기 때문이다. 일을 잘 하는 모델은 많이 있는데, 사람을 보살피는 모델이 별로 없었기 때문이다. 부모님도, 선생님도, 선배도 일, 일, 일하면서 초스피드로 경제력을 키워왔기 때문이다. 그래도 필리핀, 아르헨티나, 같은 나라들과 같이 뒤집어 지지 않은 것이 얼마나 다행인가. 자살율 1위, 이혼율 1위 등 약간의 부작용만 있었을 뿐이다.
한국은 저력이 있는 나라다. 일을 하는 것이 힘들지 사람을 푸는 것은 정말로 쉽다. 일을 하는 것의 10분의 1, 20분의 1만 투자해도 된다. 이제는 느껴야 한다. 행복은 종착지에 있지 않다는 것을! 빨리 가는 것도 중요하지만, 천천히 지속적으로 가지 않으면 빨리 갈 수 없다는 사실을 말이다. 교육은 이제 사회가 지속적으로 발전을 가능하게 하는 것들을 생각하면서 가야 한다. 서두르면 서두를수록 더욱 더 서툴러 질 뿐이다. 일을 빨리 하기 시작하면 사람이 안 보이기 시작하고, 사람이 다치면 일이 안되다는 사실을 깨닫기 시작했다.
이제는 속도를 낸다고 해서 속도가 나는 시대가 아니다. 제대로 가야 한다. 10, 20, 30, 60,100 가속도를 내면은 100km/h에서도 여행을 즐길 수 있다. 오래간만에 친구와 이야기를 하면서, 음악을 듣고, 휴게소에서 맛있는 음식도 먹으면서 가는 과정을 즐겨야 한다. 현재 행복하지 않은데, 어떻게 미래가 행복할 수 있단 말인가? 데일 카네기는 “목장에 흐르는 음악이나 웅장하게 울리는 숲의 교향악에 귀를 기울 일 수 없을 정도로 바쁘고 급하게 살지는 말자. 이 세상에는 부보다 훨씬 더 소중한 것들이 있는데, 그 중의 하나가 사소한 것을 즐길 줄 아는 능력이다”고 말했다. 그래서 교육은 결과보다 과정을 따지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