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을 단순하게 표현하는 단어가 예전에는 ‘가깝고도 먼 나라’로 수식되었다. 그러던 일본이 요즘 젊은이들에게 ‘지리적으로 가깝고, 정서적으로도 매우 가까운 나라’로 변해가고 있다. 그런가하면 한국의 한류 가수 이름이 일본고등학교의 교과서에 나올 정도로 문화의 교류가 확장되고 있다. 이는 매우 바람직한 변화라 생각한다. 일본은 우리에게 숙명적인 이웃이기 때문이다. 일본 역시 마찬가지이다. 1998년 일본 대중문화 개방 이래, 만화·영화·드라마·음악 등 일본의 다양한 문화 콘텐트가 젊은이들의 일상에 자연스럽게 한국에 스며들었다. 이제 한국에서도 케이블 TV에서 일본 드라마를 언제든 만날 수 있고, 인터넷에서도 일본 후지TV의 애니메이션을 실시간 감상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이제 일본 문화는 우리에게 낯설지 않다. 젊은이들이 주로 모이는 홍익대,·이태원 등지에는 종업원들이 “이랏샤이마세~”라고 인사하는 라면집과 일식주점에는 젊은이들의 발길이 잦다. 일본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도 몰라보게 돌려 놓고 있다. 최근 동북아역사재단이 한국갤럽에 의뢰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한국인의 44.3%가 한국과 일본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는 2008년에 비해 22.3%포인트나 높아진 수치이다. 특히 30대(45.7%)의 긍정적인 답변이 다른 세대에 비해 높았다. 식민지 경험에서 비롯된 일본에 대한 피해 의식이나 뿌리깊은 적대감은 30대 이하의 젊은 층에서는 이제 찾아보기 힘들게 되었으며 한국인을 채용하는 일본 기업도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양국 대중문화 교류와 영토·과거사 논란이 각기 따로 움직이는 모양새마저 보이고 있지만, 최근 교과서 문제가 다시 양국 외교 현안으로 다시 불거지고 있는 현실이다. 사회 일각에선 이런 젊은이들의 대일 인식 변화가 “지나친 일본 추종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하지만 상대방의 문화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그 장점에 눈을 뜨기 시작했다는 것만으로도 새로운 한·일 관계의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의견도 힘을 얻고 있다. 일본에 거부감이 없는 세대들은 틀림없이 새로운 한일 관계를 만들어 갈 것이다.
문제는 국제사회에서 항상 힘의 논리가 작용한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개인도 조직도 국가도 마찬가지이다. 약하면 별소리 다하는 것이 국제사회를 움직이는 절대 법칙이다. 때문에 더 많은 것을 얻기 위해 북한은 주민 전체에게 몇달 동안 배불리 먹을 수 있는 돈을 한번의 불꽃놀이로 끝나버린 광명성 3호에 목숨을 걸지 않았는가?
최근 잘 나가던 일본의 대표적 기업 소니가 적자로 몸살을 앓고 삼성전자가 우위를 점하고 있어 일본이 한국에게 모두 뒤지는 것이 아닌가 생각할 수 있는 현실이지만, 일본의 경제 규모는 국민소득면에서 한국의 2배 수준에 달할 정도로 저멀리 달려가 있다. 그리고 정치적으로 아직도 일본은 독도를 일본의 영토라고 엄연히 주장하고 있다. 오직 이같은 현상을 극복하는 길은 힘을 기르는 길 외에 다른 방법이 없다. 이일을 제대로 수행하느냐 못하느냐에 따라 한국의 장래가 달려있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